히말라야 트레킹의 마지막 산장 숙소는 톨카(Tolka)의 나마스떼 투어리스트 게스트 하우스(Namaste Tourist Guest House)였습니다. 숙소 입구의 꽃나무는 이곳만의 특징입니다. 보라색 전체가 꽃은 아니고 가운데 작게 나온 것이 꽃입니다. 부겐빌레아(Bougainvillea)로 보입니다. 길에 붙어 있는 숙소이기는 하지만 널찍한 정원이 아름다운 숙소였습니다. 지도에 보면 텐트도 칠 수 있는 숙소로 표시되어 있었는데 정말 1인용 텐트가 있었습니다. 주인장의 정원에 대한 자부심은 "지역에서 최고의 정원"이라는 문구에서도 묻어납니다. 이곳에서 배낭을 벗고 쉴 때 숙소를 검토하면서 "지역에서 최고의 정원"이 괜히 과잉 영업 아닌가 싶기도 했습니다. 제 눈에는 정원을 정성 스럽게 가꾸기는 했지만 ..
란드룩(Landruk) 끝자락에서 톨카까지는 3Km 내외로 가끔 오르막 산길로도 가지만 대부분은 완만한 큰길을 걷습니다. 지도에서 보듯이 중간에 큰길과 작은 산책로가 갈라졌다 만났다 하므로 어떤 길을 선택해도 대세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산책로로 가면 거리가 조금 짧아질 뿐입니다. 란드룩에서 톨카로 가다가 뒤를 돌아보면서 만난 환상적인 풍경입니다. 페디나 칸데에서 트레킹을 시작하여 란드룩을 거쳐 촘롱으로 가는 트래커들이 트래킹 초반에 누릴 수 있는 전경이겠지요. 트래킹 초반에 이런 풍경을 만나니 이후 일정이 얼마나 설레었을까요? 촘롱에 가까이로 가면 볼 수 없는 풍경을 이곳에서 누립니다. 란드룩으로 오는 길을 찾지 못하고 간드룩에서 그냥 포카라로 빠졌으면 저희는 이런 풍경을 만날 수 없었을 것입니다. 힘들..
란드룩에 들어서며 계곡 건너편의 간드룩으로 올라가는 길을 바라보면서 트레킹을 시작했던 때의 감회에 잠시 젖어 있었지만 톨카까지 가려면 아직 멀었습니다. 마을길을 따라 본격적인 오르막 길이 시작됩니다. 저분들도 이곳을 통해서 하산하는 모양입니다. 란드룩 직전 다리에서 만난 커플은 에너지가 넘칩니다. 란드룩 직전 계곡을 건너는 다리는 출렁다리가 아니라 트러스 인도교였습니다. 트러스교는 한강 철교처럼 삼각형 형태로 무게를 지탱하게 만든 교량을 말합니다. 기차가 다니는 트러스교는 여럿 보았지만 사람과 당나귀 전용의 트러스교는 처음입니다. 그리고 ABC 트레킹 경로에서 대부분의 다리는 출렁다리이지만 트러스교는 이곳이 유일했습니다. 란드룩을 통해서 톨카로 가는 길은 마을 길을 가로질러가야 합니다. 11월이지만 노란..
촘롱에서 톨카로 가는 저희는 지누단다 출렁다리에서 뉴 브리지와 시와이 방면으로 길을 잡아야 했지만, 길을 잘못 들어서 간드룩 근처까지 갔었습니다. 다행히 현지분들을 통해 문제점을 알게 되었고 네팔 학생의 도움과 행운의 길 찾기 덕분에 시와이로 가는 경로에서 히말 파니(Himal pani)로 건너와서 원래의 여정대로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출렁다리를 통해 모디강(Modi River)을 건너서 뉴 브리지 쪽으로 내려오는 경로와 합류합니다. 다리 건너편의 히말 파니 마을은 무슨 동화에 나오는 마을처럼 산을 병풍처럼 두르고 있고 앞에는 강이 흐르고 한쪽 뒤로는 멋있는 폭포가 있습니다. 출렁다리에서 바라본 안나푸르나 남봉과 모디 강의 모습입니다. 절경이 따로 없습니다. 출렁다리에서 강 하류 쪽을 바라본 모습..
지누단다에 도착하면 트레커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287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출렁다리입니다. 엄청난 계곡을 가로지르는 다리는 워낙 다리가 길다 보니 다리 자체로도 내리막과 오르막이 있었습니다. 아래가 뻥 뚫린 철제 다리는 비가 올 때면 미끄러워서 공포감이 극대화되겠구나 싶었습니다. 트래커에게도 도움이 되겠지만 현지인들을 위한 다리인 만큼 다리의 이용자는 사람뿐만 아니라 짐을 나르는 당나귀도 있습니다. 다리 앞에 있는 표지판이 인상적입니다. 당나귀가 다리를 건너고 있을 때는 멈추어서 당나귀가 다리를 모두 건널 때까지 기다리라는 안내입니다. 아무 생각 없이 다리를 건너다가 다리 중간에서 당나귀를 마주치는 장면은 상상만 해도 아슬아슬한 장면입니다. 실제로 나귀를 모는 마부는 사람이 없을 때를 골라 당나귀들을 ..
노천 온천이 있는 지누단다(Jinu Danda)를 거쳐 톨카(Tolka, 1,700m)까지 걷는 10Km가 넘는 여정을 시작합니다. 촘롱을 떠나 지누단다까지 내려가는 길은 700미터의 고도를 내리는 급한 내리막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이 길을 걸어 올라가지만 저희는 내려가기만 하네요. 이 길을 올라간다면 진을 빼는 코스겠지만 가벼운 발걸음으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겠습니다. 헤븐 뷰 게스트 하우스 앞은 간드룩, 지누단다, 시누아 및 촘롱으로 갈라진 삼거리로 첫날에는 시누아로 향했었죠. 이제는 지누단다, 지누 온천을 향해서 걷습니다. 고도를 700미터가량 하강시키는 급경사이다 보니 초반부터 아찔한 계단의 연속입니다. 이 계단이 오르막이 아니라는 점이 감사할 뿐이었습니다. 무릎에 무리가 되지 않도록 조심조심 발..
촘롱으로 가는 길, 킴롱 계곡으로 가는 길, 지누단다로 가는 길이 만나는 삼거리에 위치한 헤븐 뷰 게스트 하우스(Heaven View Guest House and Restaurant)는 촘롱에 도착한 첫날에도 촘롱을 떠나는 날에도 이틀 밤을 묵게 된 산장이었습니다. 주인장도 부엌에서 요리하는 분도 데스크를 담당하는 분도 모두 여성인 그런 숙소였습니다. 항상 노래하면서 즐겁게 데스크를 보고 있던 주인장의 딸은 숙소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방을 저희에게 내주었습니다. 5시를 바라보는 시간에 방을 얻을 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었습니다. 2층에 있는 방이었는데 방 열쇠를 찾아주고 돌아가는 주인장 딸내미에게 혹시 백숙이 얼마냐고 물었더니 4천 루피가 넘는 가격이었습니다. 거의 3일간 설사 복통으로 고생했던 몸 회복을 ..
뱀부에서 촘롱까지는 9.19Km로 시누아까지는 무난하고 시누아에서 촘롱으로 건너가는 다리를 지난 다음 촘롱을 오르는 오르막이 고비입니다. 몸의 땀을 내고 수분을 공급하며 중간중간 간식으로 에너지를 보충하다 보니 복통과 설사 이후로 최악으로 치닫던 몸 상태는 차츰 좋아지고 있었습니다. 산은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기 마련이죠. 뱀부에서 시누아로 하산하는 길에도 가끔씩 오르막 계단을 만납니다. 올라갈 때만큼 오르막 계단이 지루하게 이어지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지만 긴 내리막 계단을 천천히 걷다 보면 와! 어떻게 우리가 이 계단을 올라갔을까? 하면서 며칠 사이의 일로 감회에 젖습니다. 저희 ABC 트레킹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고 의심, 아니 확신의 지탄을 받았던 계곡물을 다시 만났습니다. 촘롱에서 ..
데우랄리 샹그릴라 게스트 하우스에서의 이틀째 밤은 식당에 딸린 방에서 나름 깊은 잠을 이루었습니다. 잠에는 피곤이 약이었습니다. 저녁 시간에는 조금 시끄럽고 방문 밖에서 온갖 일이 있었지만 깊은 밤과 새벽 시간에는 조용했습니다. 늦게까지 놀고 싶어도 산장에서는 소등 시간이 있으니까요. 시끄럽다고 불평할 일이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덜 추운 방이었으니까요. 모든 일에는 양면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른 새벽 시간 식당에는 어제 방을 잡지 못해서 식당에 잠자리를 마련한 트래커가 홀로 깊은 잠에 빠져 있었습니다. 하루를 일찍 시작하는 포터들의 움직임이 분주합니다. 부엌과 데스크는 이제 정신없이 하루를 시작하고 있었습니다. 촘롱까지 16Km가 넘는 길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욕심부리지 않고 일단 가보기로 했습니다. 이..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ABC, Annapurna Base Camp, 4,130m)에서 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MBC, Machhapuchhre Base Camp, 3,700m)를 거쳐 데우랄리(Deurali, 3,230m)까지 다시 돌아가는 길은 6.5Km에 이르는 길로 완만한 오르막이었던 것만큼 걷기에는 정말 좋았습니다. 가파른 계단 걷기였다면 힘들었을 텐데 완만한 내리막이다 보니 지면에서 발만 떼면 중력의 힘으로 저절로 발이 앞으로 가는 경쾌한 길이었습니다. 당연히 속도도 빨랐습니다. 올라가는데 5시간이었지만 내려오는데 3시간이었으니 거북이걸음 치고도 빠른 편이었습니다. 정오를 조금 지난 시간에 하산을 시작한 저희는 어제저녁부터 복통과 설사로 속도 좋지 않았고 하산 길의 걷기 속도가 빠른 상태여서 마차..
ABC 트레킹은 8,091m의 안나푸르나 봉우리를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가는 길목에 있는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ABC, Annapurna Base Camp, 4,130m)까지 다녀오는 트레킹 코스입니다. 안나푸르나 1봉의 거의 절반 높이 까지만 다녀오는 것입니다. 통상 안나푸르나라고 하면 안나푸르나 1봉(8,091)를 지칭하고 주변의 높은 봉우리들과 함께 안나푸르나 산군을 이루는데 안나푸르나 산군이 활처럼 둘러싸고 있는 있는 지역을 안나푸르나 생추어리라 하고 이 지역으로 들어가기 위한 허가증이 ACAP인 것입니다. 베이스캠프에서 안나푸르나 봉우리까지 가려면 높이도 높이지만 수많은 빙하지대를 지나야 하는데 세계에서 가장 등반하기 위험한 산이라고 할 만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악인들이 이곳에서 많이 희생당했..
어제저녁 복통과 설사로 몸 컨디션이 말이 아니었지만 MBC(Machhapuchhre Base Camp, 3,700m)와 ABC(Annapurna Base Camp, 4,130m)를 앞두고 일정을 포기할 수는 없었습니다. 다행히 무거운 배낭을 내려두고 물과 초코바만 들고 가볍게 걸을 예정이기 때문에 가벼운 몸과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MBC를 거쳐 ABC까지 갔다가 다시 데우랄리로 돌아오는 13Km에 이르는 여정입니다. 결코 쉽지 않은 여정입니다. 가파르지는 않지만 MBC까지는 3.63Km의 거리로 오르막이 끊임없이 이어집니다. 고도를 5백 미터 가량 올리는 코스이므로 천천히 걸어야 합니다. 오전 7시를 바라보는 시각, 산장 주변으로는 여명이 천천히 밝아 오고 있습니다. 저 멀리 산 아래로..
ABC 트레킹을 계획하면서 뱀부에서도 데우랄리에서도 숙소를 잡지 못하는 것 아닌가 하는 염려가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두 군데 모두 하루에 걷는 거리를 길지 않게 조절하고 아침 일찍 출발하는 방법으로 오후 2시 이전에 산장에 도착하다 보니 무리 없이 숙소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저희가 묵은 숙소는 샹그릴라 게스트 하우스(Shangrila Guest House)로 미국의 흑인 배우를 닮은 인상 좋은 아저씨가 주인장이었습니다. 이틀 밤을 묵어도 되냐고 했더니 문제없다고 하셨습니다. 저희는 내일 산장에 배낭을 놓고 빈 몸으로 ABC까지 다녀올 계획이었기 때문입니다. 미리 이틀 밤을 묵겠다고 말씀드려서 다행이었지만 다음날 아침에 아저씨에게 가니 단체 손님 때문에 방을 옮겨야 한다고 하더군요. 부랴 부랴 짐을 싸서..
뱀부(Bamboo, 2,310m)의 트레킹 게스트 하우스 산장을 오전 7시경에 떠나 히말라야(Himalaya, 2,920m)에 도착한 시간이 10시경이니 3시간가량이 소요되었습니다. 저희의 거북이걸음 치고는 잘 걸었던 여정입니다. 오늘의 목적지인 데우랄리까지는 1.95Km 정도 남았고 해발 고도 3천 미터를 넘어서게 됩니다. 등짝으로 진하게 배인 땀 때문에 서늘하기는 하지만 히말라야 산장에서 간식을 먹으며 넉넉하게 쉬어가기로 했습니다. 히말라야는 산맥의 이름이지만 이곳은 두어 개의 산장이 자리하고 있는 히말라야라는 이름의 작은 마을입니다. 히말라야 산장들의 전경입니다. 해를 가린 산 그림자가 이제 산 중턱을 넘어서 산장 근처까지 내려왔습니다. 며칠 걸어보니 오전 9시에서 12시 사이가 해를 받으며 맑은 ..
간드룩-촘롱-뱀부에서 이어지는 ABC 트레킹 3일 차는 데우랄리(Deurali, 3,230m)까지 걷는 것으로 6.39Km로 길지 않은 경로이지만 고도가 3천 미터를 넘기는 지점이라서 조금은 긴장이 되기도 합니다. 경사가 급한 부분이 조금 있지만 전체적으로 계곡을 따라서 완만한 오르막이 이어지는 경로입니다. 포리지와 삶은 계란으로 가볍게 아침 식사를 마치고 나온 저희를 맑은 하늘이 반갑게 맞이해 줍니다. 계곡 속에 자리한 산장이라 산 그림자가 여전히 해를 가리고 있지만 맑게 개인 하늘 아래 최상의 날씨를 마음껏 즐기며 걸을 수 있을 듯합니다. 드디어 3천 미터 고도를 넘기는 날인 만큼 나름 긴장감도 있기는 하지만 길지 않은 거리를 걸을 예정이므로 마음의 부담은 적습니다. 뱀부(Bamboo)의 고도가 2,..
촘롱에서 출발한 지 5시간 20분여의 시간만에 뱀부(Bamboo)에 도착하니 익숙한 풍경을 가진 마당이 저희를 반겨줍니다. 누렇게 익은 들깨를 털기 위해 펴놓고 햇빛에 말리고 있었습니다. 곳곳에 한국과 비슷한 구석이 많은 ABC 트레킹 코스의 농촌 풍경입니다. 오후 1시에 도착한 뱀부에도 산장이 여러 개 있었습니다. 산장에는 저희보다 조금 더 일찍 도착한 트래커도 있었지만 산장에 일찍 도착한 덕택에 숙소는 넉넉했습니다. 한국에서 여행을 계획할 때는 촘롱 이후 산장에서 숙소를 잡지 못하면 어떻게 하나? 하는 염려가 조금 있었지만 일찍 도착하면 큰 문제가 없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2시 내외로 산장에 도착하면 대부분의 산장에서 숙박은 문제가 없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저희가 뱀부에서 묵었던 숙소는 트레킹 게스트..
아랫마을 시누아(Lower Sinuwa)에서 잠시 목을 축이며 휴식을 취한 저희는 다시 뱀부(Bamboo)를 향해서 여정을 이어갑니다. 어젯밤 숙소에서 정수제로 만들어 놓은 물이 나름 마실만 합니다. 멀리 마차푸차레(6,997m)가 보이지만 ABC까지 가는 길은 마차푸차레 쪽 산들과 모디 계곡(Modi Khola)을 사이에 둔 이쪽 산들의 허리를 타고 올라갑니다. 맑은 11월의 아침, 짐을 옮기는 포터들의 발걸음들이 분주합니다. 당나귀가 사람보다 덩치가 크다고는 하지만 등에 상당한 무게의 짐을 둘러메고 걷는 모습은 실제 무게만큼이나 무거워 보입니다. 산장이 새로 하나 들어 서기라도 한다면 차가 들어올 수 없으니 이런 당나귀들의 무거운 걸음은 상당한 시간 이어져야만 할 것입니다. 아랫마을 시누아(Lower..
히말라야에서의 첫날밤을 보낸 숙소 헤븐 뷰 게스트 하우스(Heaven View Guest House and Restaurant) 바로 앞은 지누단다(Jhinu Danda), 촘롱, 킴롱 계곡이나 간드룩으로 가는 길이 만나는 삼거리로 촘롱을 향해서 ABC 2일 차 걷기를 시작합니다. 6.8Km의 거리입니다. 저희가 묵었던 헤븐 뷰 게스트 하우스는 촘롱 이기는 하지만 촘롱 고개 정상에서 보면 지누단다로 내려가는 길에 있는 숙소이기 때문에 촘롱을 지나 뱀부까지 가려면 일단 촘롱 정상까지 올라야 합니다. 촘롱 정상까지 두 갈래 길로 나뉘었다가 다시 합쳐지는데 저희는 계단을 통해서 여러 게스트 하우스가 있는 방향으로 길을 잡았습니다. 계단과의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촘롱 고개 정상 근처에 이르니 맑은 하늘을..
콤롱 고개(Komrong)와 킴롱 계곡(Kimrong Khola)을 거쳐서 촘롱(Chhomrong) 초입에 도착한 저희는 지누단다(Jhinu Danda)로 가는 길, 촘롱으로 가는 길, 킴롱 계곡에서 오는 길이 만나는 삼거리에 위치한 헤븐 뷰 게스트 하우스(Heaven View Guest House and Restaurant)에서 묵어 가기로 했습니다. 오전 11시에 간드룩 버스 터미널을 출발하여 오후 5시 정도에 산장에 도착했으니 간드룩에서 촘롱까지 6시간 가량이 소요되었습니다. 헤븐 뷰 게스트 하우스는 깔끔한 2층짜리 건물이었는데 침대 3개가 놓인 방을 두 명이 사용하도록 내어 주었습니다. 나름 깔끔하고 한식을 제공하는 숙소라서 하산 길에도 이 숙소에서 하루 더 묵어 갔습니다. 저녁에 도착해서 우선 ..
어떤 트레킹이고 트레킹 하는 사람의 등에 땀을 배이게 하고 두 다리를 후들거리게 하는 것은 "고개"입니다. 고개를 넘다 보면 트레킹 여정은 끝을 보이기 마련입니다. 간드룩에서 시작한 히말라야 ABC 트레킹에서의 첫 고개는 콤롱(Komrong, 2,250m) 고개였습니다. 고도가 2천 미터가 넘다 보니 산장에서 배낭을 벗고 휴식할 때면 서늘한 바람이 흥건하게 땀이 배인 등짝을 타고 지나가면서 추위를 느낄 정도였기 때문에 외투를 챙겨 입어야 했습니다. 포리지(Porridge)와 삶은 계란 2개로 산장에서 점심을 해결한 저희는 오후 1시쯤 산장을 나서서 촘롱으로 향했습니다. 이제 콤롱 고개에 도달했으니 킴롱(Kimrong) 계곡까지 400미터가량 급한 내리막을 부지런히 내려갔다가 계곡을 지나 다시 고도 2,3..
포카라-나야풀-간드룩으로 이어지는 기막힌 타이밍 덕택에 로컬버스를 타고 간드룩까지 이른 시간에 도착해 버렸습니다. 원래 포카라의 바그룽 버스 터미널에서 간드룩으로 가는 버스는 오전 9시 30분 정도가 첫차이기 때문에 그 차를 선택했더라면 11시 이전에 간드룩에 도착하는 것은 상상도 못 하는 일이었을 것입니다. 뜻하지 않게 포카라에서 나야풀 가는 첫차를 탈 수 있었고 나야풀에서도 행운과 같이 다른 노선의 간드룩행 버스를 만난 덕분에 아주 이른 시간에 간드룩에 도착해서 간드룩에서는 숙박하지 않고 일정을 하루 당겨 바로 산행을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간드룩에서 촘롱까지 가는 길은 9km가 조금 넘는 길로 촘롱에 조금 늦게 도착하더라도 촘롱은 숙소가 많은 곳이니 문제가 없겠다 싶어 버스에서 내리자마자 바로 촘롱..
포카라의 바그룽 버스 터미널(Baglung bus station)에서 첫차를 타고 나야풀(Naya Pul)에서 버스를 내리니 오전 8시가 되었습니다. 거의 2시간 30분이 걸린 셈입니다. ABC, MBC, 푼힐, 간드룩 트레킹 방향을 알려주는 표지판을 보니 이제 히말라야 트레킹이 시작되는구나 하는 실감이 납니다. 저 멀리 산과 논, 밭이 보이는 풍경을 보면서 우리가 저길 을 가야 하는구나! 하며 잠시 마음을 가다듬어 봅니다. 나야풀 버스 정류장에는 음식점들이 몇 개 있었는데, 한 식당에 들어가 라면이 있냐고 물으니 있다고 해서 계란이 있는 라면을 시켰는데 계란을 같이 끓인 것이 아니라 프라이를 해서 얹어 놓았더군요. 아무튼 한국 라면 맛은 어디 가나 마찬가지이지만 가격은 하나에 400루피로 결코 싼 가격..
발라주 촉에 위치한 바트 바트니(Bhat Bhateni) 슈퍼마켓 4층에 있는 이탈리안 레스토랑에서 야간 버스를 기다리며 넉넉한 휴식 시간을 가진 저희는 큰길을 건너서 마트 건너편에서 포카라행 야간 버스에 승차했습니다. 특별한 버스 정류장 표시가 있는 것도 아니고 가로등도 없는 길가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것이라서 어떤 버스가 오는지 식별하기도 어려워서 버스가 오는 대로 자가담바 야간 버스가 맞냐고 계속 물어보았습니다. 다른 회사의 야간 버스도 있기 때문에 잘 확인해야 합니다. 직접 물어보는 게 최고입니다. 네팔에서는 웬만하면 영어 소통이 되기 때문에 편리했습니다. 자가담바 버스 두대가 나란히 출발하는데 미리 예약해서 인쇄한 티켓을("카트만두, 포카라 야간 버스 예약하기" 참조) 보여주니 21석짜리 버스로 ..
TIMS와 ACAP 발급 과정은("네팔 입국과 TIMS, ACAP 발급기" 참조) 공항 환전소의 조기 마감과 네팔 관광청의 마감 시간이 임박한 까닭에 정말 심장 떨리는 시간이었지만 네팔 관창청 경비원도 고마웠고, 30년 된 택시를 모는 아저씨도 감사했으며 기사분이 소개해준 환전소도 좋았습니다. 관광청에서도 퇴근 시간이 임박했지만 신청을 받아 주어서 감사했습니다. 아무튼 여러분의 도움 덕택에 무사히 카트만두에서 TIMS와 ACAP를 발급받고 계획된 여정을 이어 갈 수 있었습니다. 혹여라도 카트만두에서 발급을 하지 못하면 포카라에 가서 하면 되기는 하지만 그렇게 되면 일정이 불필요하게 뒤로 미뤄질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이후 여정은 야간 버스 시간까지 카트만두 시내를 걸으며 야간버스 정류장으로 이동하기로 ..
비자 면제 국가로만 여행을 다니다가 비자를 발급해야 하는 네팔을 방문하다 보니 여행 이전부터 문제없이 잘 처리될까? 하는 조마조마함이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막상 네팔 입국 절차를 거치고 보니 비자 발급 비용이 탐탁지 않아서 그렇지 절차는 그리 복잡하지 않았습니다. http://online.nepalimmigration.gov.np/tourist-visa 에서 여행 출발 전에 온라인으로 비자 신청을 하고 비자 신청 확인서를 출력하여 여권, 비자발급비 영수증과 함께 "Without VISA 15일&30일 체류 입국 심사 카운터"에 제출하면 간편하게 비자 발급과 입국 심사를 모두 끝낼 수 있었습니다. 비자 사본이나 입국신고서도 제출해야 하나? 했지만 실상 여권 사본도 필요 없었고 입국 신고서는 태국 쪽에서 ..
청두 공항에서 출발하는 에어차이나 비행기들도 온라인 체크인을 지원하기 때문에 청두 공항에서도 긴 줄을 서지 않고 간편하게 짐을 붙이고 빠르게 보안 검사와 출국 수속을 끝낼 수 있었습니다. 에어차이나를 이용할 경우에는 미리 온라인 체크인을 하고 인천 공항에서도 중국 청두 공항에서도 위의 사진처럼 온라인 체크인이나 셀프 체크인이 표시된 데스크에서 빠르게 체크인을 하고 짐을 붙이면 됩니다. 청두 공항에서는 셀프 체크인도 서비스하지만 여전히 줄 서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어쩔 수 없는 모양입니다. 아무튼 저희는 온라인 체크인 카운터에서 배낭을 보내고 티켓을 받아 카트만두로 향합니다. 중국 청두와 카트만두 간에는 A319-100을 투입하고 있었습니다. 비행기 창밖으로 들어오는 정오의 햇빛이 강렬합니다. A319-1..
인도의 디트로이트, 인도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 첸나이로 여행을 떠납니다. 동생이 해외 지사에 근무하고 있는 동안 한번 방문해야 할 텐데 하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는데 인도 근무가 끝나 간다고 하니 숙제하듯 일주일간 첸나이에 다녀오기로 했습니다. 한국에서 인도 뉴델리나 뭄바이로 가는 직항편은 있지만 콜카타나 첸나이로 가는 직항 항공편은 없기 때문에 환승 통해서 인도 첸나이로 가야 합니다. 이번 여행은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저가 항공사인 에어아시아를 이용해서 저렴하게 다녀오기로 했습니다. 기간만 잘 선택하면 아주 저렴한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었습니다. 나중에 호주 트레킹 때도 이 항공사를 선택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주말/평일 단위로 운행하는 항공편과 가격이 차이가 있으므로 본인 일정을 조정할 수 있으면 ..
중국 청두를 거쳐서 네팔 카트만두로 가는 환승 비행기는 환승 대기 시간이 길기 때문에(청두 도착 다음날에 카트만두로 출발) 미리 무료 환승 호텔을 예약했습니다. 2년 전 파리로 갈 때의 경험을 생각하며 국내선인 청두 공항 2 터미널 출국장 R열에서 "Air China Transit Hotel Service"라고 적힌 창구를 찾아보았지만 그런 창구는 따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91번 창구에서 처리를 해주기는 하는데, 확실하지 않지만 환승 호텔을 미리 예약해 놓으면 청두 공항 1 터미널의 안내데스크에서 배정된 호텔에서 직접 나와서 저희 이름이 들고 서있는 모양입니다. 올 때, 갈 때 두 번 모두 청두 공항의 무료 환승 호텔 서비스를 받았는데 두 번 모두 호텔에서 나온 분이 저희 이름이 적힌 종이를 들고 있었습..
히말라야 트레킹을 위해서 경유지인 중국 청두로 가는 하늘길은 구름 한 점 없는 풍경 속에서 지상의 여러 가지 모습을 보여 줍니다. 가끔씩 창밖을 구경하기도 하지만 스마트폰에 담아온 네팔 숫자 읽기와 기본 회화를 익혀 보지만 쉽지 않습니다. 엑, 두이, 띤, 짤, 빠쯔, 처, 사뜨, 아트, 너우, 더스, 지천명의 나이에 바위 같은 머리에 네팔 숫자 읽기를 열심히 밀어 넣어 보지만 숫자 읽는 소리는 머리를 타고 흘러내리고, 이마에서 튕겨 나갑니다. 아이들을 키우며 하나, 둘, 셋을 가르치던 때의 기억을 소환해 봅니다. 백일을 보내고 돌을 지나 직립보행을 기적처럼 만난 다음에도 한참의 시간이 지나야 손가락을 겨우 접어가며 따라 했던 하나, 둘, 셋이 아니던가? 걸음마를 배우면서 수십, 수백 번 들었을 하나, ..
경기 이남 지방에서 부부가 공항버스를 타고 인천공항에 가는 것과 경차를 가지고 공항으로 이동하여 장기 주차장에 자동차를 두고 이동하는 것을 비교하면 기름값, 통행료, 경차 하루당 4,500 원하는 장기주차장 비용을 감안해도 비용과 시간적으로 모두 자동차 이동이 장점이 많았습니다. 이번에도 장기 주차장에 주차를 했는데 낮이다 보니 주차 타워 근처에는 자리가 없었고 4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무료 셔틀버스로 출국장으로 이동했습니다. 자동차를 세워둔 곳을 기억하기 위해서 근처 위치를 사진으로 남겨 놓습니다. 출국장에 도착하여 먼저 저희가 이용할 항공편의 체크인 카운터를 확인합니다. 카트만두로 가는 직항편을 이용했다면 2 터미널로 가야 했겠지만 저희는 직항의 절반이 안 되는 가격으로 카트만두로 가기 때문에 1 터..
- 큰도움받고갑니당~
- PictureBox를 두개 겹치고, 위에 있는 이미지를 이미지 회전 시⋯
- 파일을 다시 올렸습니다. 즐거운 여행되세요.
- 귀한 자료 감사합니다 혹시 kml 자료가 다운이 안되고 링크로 옮겨지는데⋯
- 글 잘보고 갑니다~
- 경로에 드라이브 이름을 포함한 경로인지를 확인해야 할듯합니다. 파일명이 ⋯
- 구글 지도와 맵스닷미(Maps.Me) - https://yaraba.ti⋯
- 남파랑길을 준비하면서 야라바님의 T스토리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야라바님께⋯
- 저희는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만 사용하니 광고가 많은 줄을 몰랐네요. 아⋯
-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최근에는 Maps.Me에 광고가 너무 많아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