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시스템에서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프로그램 빌드와 실행 이외에도 여러 가지 분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좋은 도구들을 활용할 줄 아는 것은 시간을 아끼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아이디어와 지식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몇 가지 도구들을 메모해 둔다. ■ 파일 형태 파악하기(file)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which" 명령은 특정 실행 파일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file"명령의 인수로 file 실행 파일의 위치를 전달하면 ELF(Executable and Linkable Format) 파일, 즉 바이너리 파일이란 것을 알려주고 운영체제에 호스트 이름을 등록하는 /etc/hosts 파일을 인수로 전달하면 단순 아스키 텍스트 파일임을 알 수 있다. 실행 파일처럼 동작하지만 실제로..
윈도우 작업 관리자에서 CPU과 메모리 사용량이 많은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었다면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top 명령을 활용할 수 있다. 콘솔에서 "top"를 입력하면 시작할 수 있고 일단 위의 화면처럼 시스템 모니터링이 시작되면 기본적으로 3초 주기로 화면을 갱신한다. [스페이스] 키를 누르면 즉시로 화면을 갱신하고 [d] 키를 누르면 기본 3초인 갱신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그램 종료는 [q] 키를 누른다. vi 에디터에 대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라면 컨트롤 모드와 입력 모드가 구분되는 vi에디터처럼 컨트롤 모드에서 다양한 옵션을 활용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top 명령에서 중요하게 확인하는 것은 시스템 평균 로드로 "load average" 우측에서 최근 1분, 5분, 15분간의 로드를 확인할 ..
리눅스/유닉스 시스템에서 현재 시스템의 성능 사용 상황을 분석하는 간단한 방법은 위의 그림처럼 "top"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다. 로드 평균으로 CPU의 사용 상황을 판단할 수 있고, 메모리의 여유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시스템의 자원을 쏙쏙 빨아먹고 있는 프로세스는 최상단으로 올라오기 때문에 어떤 프로세스가 문제인지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윈도에서도 작업 관리자> 프로세스 탭에서 CPU나 메모리를 가장 많이 소모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문제는 시스템 자원이 거의 남지 않은 상황이라 작업 관리자 수행 자체가 어렵거나 아예 키보드 마우스가 먹통이 되어버린 경우이다. 그래서, 이런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한두 가지 팁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윈도+r 단축키를 누르고 "po..
평상시에는 라즈베리 파이에서 빌드해도 전혀 문제가 없던 프로젝트인데 갑자기 별다른 에러 코드도 없이 컴파일이 중단되었다. 이런 황당한 일이! 소스 코드의 오류가 아닌데 빌드가 되지 않다니.... 몇 번 재시도하면서 살펴보니 조금 사이즈가 큰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는 시점에 시스템 메모리가 거의 소모되면서 컴파일이 중단되는 것이었다. "g++: fatal error: 죽었음 signal terminated program cc1plus" 또는 "g++: fatal error: killed signal terminated program cc1plus" 메시지가 나올 뿐 별다른 힌트를 제공하지 않았다. 찾아보니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현상이 많다고 한다. 실제 메모리를 늘려주면 좋겠지만 가상 메모리를 늘리는 쉬운 ..
필요한 설정을 위해서는 먼저 터미널로 접속하거나 ssh로 접속해야 한다. 위의 그림은 ssh로 접속하여 sudo raspi-config를 입력한 것이다. 방향키로 "Interface Options"를 선택하고 엔터를 누른다. 방향키로 VNC를 선택하고 엔터를 누른다. VNC 서버 가동 여부에 [예]로 엔터를 누른다. [확인]을 누르고 첫 화면으로 돌아와서 [Tab] 키로 [Finish]로 이동하여 엔터를 눌러 종료한다. "netstat -tnlp" 명령으로 현재 시스템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22번 포트가 SSH이고 5900번이 VNC 서버이다. 이제 https://www.realvnc.com/en/connect/download/viewer/에서 VNC 뷰어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접..
라즈베리 파이가 동작하려면 라즈베리 파이 OS가 들어가 있는 부팅용 SD카드를 만들어야 한다. 참고로 라즈베리 파이 OS는 라즈베리 파이 전용 운영체제로 이전에는 라즈비안(Raspbian)으로도 불렸다. OS 이미지 메이커로 간편하게 만들수 있는데 OS 이미지 메이커는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윈도우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Install]로 설치 시작. 설치는 간단하게 끝난다. [Finish]로 설치 종료. 설치가 종료되면 자동 실행되며 추후 다시 사용할 경우에는 위의 그림처럼 시작>Raspberry PI Imager를 선택하면 된다. 운영 체제로 "Raspberry PI OS"를 선택한다. 저장소로 삽입한 SD카드 ..
나의 첫 가상 머신은 VMWare였지만 얼마 전부터 가상 머신으로 버추얼박스(VirtualBox)를 사용하고 있다. 성능도 안전성도 불편함이 없다. 무엇보다 미리 설치된 상태로 배포하는 이미지들이 많다 보니 필요에 따라 적절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사용되니 참 편하기도 하다. 그런데, 오랜 시간 사용하던 리눅스 가상 머신의 실제 용량에 비해서 가상 머신 이미지의 용량이 상당히 컸다. 이것을 정리해서 줄여 보기로 했다. 117GB까지 늘어난 가상머신 이미지 파일이다. 그러나, 리눅스 내부의 용량은 10GB에 이를 뿐이고, 여러 가지 도구가 깔려있지만 이 정도가 맞다. ■ 리눅스 자체 파일 시스템 정리하기 일단 리눅스 자체에서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에는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삭..
개발자에게 좋은 성능의 컴퓨터에서 작업하는 것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지만 고성능의 CPU와 그래픽 카드, 대용량의 메모리를 누구나, 언제든지 장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주어진 환경에서 할 수 있는 성능 개선 요소를 찾아 적용하는 것은 마땅해 시도해야 할 것이 아닌가 싶다. 필자의 경우 리눅스 시스템을 가상 머신으로 돌리고 호스트 시스템에서 웹 브라우저로 검색이라도 할라치면 페이지가 버벅거리기 시작했다. 물론 메모리가 넉넉하다면 해소될 수 있는 일이기는 하지만, 웹검색 과정에서 페이지가 버벅 거리는 상황의 하드디스크의 사용량을 보면 거의 100%를 오르락내리락했다. 생각해 보면 크롬 웹 브라우저가 페이지 캐시를 하면서 하드 디스크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을 하기 때..
상당히 오래전에 저렴했던 가격에 구입했던 DVD 플레이어가 한대 있다. 물론 중국산 OEM 제품으로 기종은 "HD-6500 PLUS"이다. 다락에 쌓여 있는 오래된 CD에 담긴 영화들을 가끔씩 보곤 했다. 이 놈은 USB 메모리에 담긴 영화도 볼 수 있으므로 그 옛날 추억의 미드인 에어울프 시리즈도 보았었다. 문제는 어딘가에 담겨 있던 한국 드라마를 보려고 했더니 파일을 아예 인식을 못한다. 물론 컴퓨터에서는 잘 플레이할 수 있다. 그래도 보는 맛이 있지 VLC 미디어 플레이어로 이 방식, 저 방식으로 파일을 변환을 해보았지만 여전히 플레이어에서는 파일을 인식할 수 없었다. 결국, "되는 방식"으로 인코딩하는 것이 간단한 방법이므로 잘 되는 미디어의 속성을 살펴보니 비디오 인코딩은 XVID이었고, 오디오..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다 보면 직렬 포트(Serial Port)를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장애도 많고, 테스트하기도 쉽지 않다. 스펙에 맞게 작성해 놓았더라도 상대편 장비에서 약속한 대로 반응하지 않으면, 양쪽에서 서로의 잘못이라고 문제를 떠넘기기가 쉽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서 내가 보내는 전문은 스펙대로 작성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상대편의 다양한 전문에 대한 대응은 적절한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대 장비에 대한 접근이나 테스트가 어려운 경우는 가상 포트를 통해서 상대 장비를 에뮬레이트 하는 방법을 통해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Null-modem emulator"를 사용하고 싶었지만 윈도우 10에서는 한계가 있었다. 시간도 없는 관계로..
QT 응용 프로그램을 우분투 리눅스에서 개발하다가 중간중간에 이상한 경고 메시지를 만나게 되었다. "Gtk-Message: 14:16:49.392: GtkDialog mapped without a transient parent. This is discouraged." 메시지 내용을 보면 내가 프로그램을 작성을 하면서 뭔가를 잘못한 것 같은데....... 하는 추측을 하게 한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일단 현상을 재현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언제 이 경고 메시지가 나오는지 여러 번 테스트를 진행했다. 드디어 현상이 재현 되었는데, 알고 보니 위의 그림과 같은 색상 선택창을 띄울 때마다 발생하고 있었다. 폰트 선택이나 색상 선택처럼 QT 대화창을 통해서 값을 선택받고자 하는 경우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데, QCol..
닷넷(.NET) 프레임워크가 윈도우즈를 넘어서 리눅스 진영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닷넷 프로그램들은 내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는 합니다. 바로 닷넷 프레임워크의 버전 때문입니다.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시점에서도 어떤 닷넷 프레임워크의 버전을 기준으로 할지를 지정하기 때문에 당연히 닷넷의 버전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전에 "시스템 요구 사항"에 있는 닷넷 프레임워크의 버전을 반드시 확인해야만 합니다. 현재 내 시스템에 설치된 닷넷 프레임워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닷넷 디텍터(.NET Detector)를 실행시키는 방법, 레지스트리를 확인하는 방법,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설치된 목록을 확인하는 방법, 닷넷 디렉토리의 목록..
"리눅스 서버(우분투) 설치하기", "리눅스 서버(우분투)에 서브버전 설치하기", "리눅스 서버(우분투)에 트랙(Trac) 설치하기" 에 이은 글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는 Ubuntu 16.04 32비트 서버 시스템을 설치하고 서브버전을 웹서버 기반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준비한 다음에 파이썬 및 웹 기반 협업 개발 시스템인 트랙(Trac)을 설치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웹 서비스 환경인 APM(Apache + PHP + MySQL) 환경을 apt-get으로 간편하게 설치하고 MySQL DBMS를 웹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인 phpMyAdmin을 설치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apt-get 기반으로 시스템 설치 작업을 수행하려면 항상 sudo apt-get update 명령으로 업데이트 ..
"리눅스 서버(우분투) 설치하기"와 "리눅스 서버(우분투)에 서브버전 설치하기"에 이은 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협업 개발 시스템의 하나인 파이썬 기반의 트랙(Trac)을 설치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시스템을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WSGI 모듈 및 Trac 설치 파이썬으로 개발한 Trac 시스템을 웹으로 서비스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WSGI 모듈을 적용합니다. 아파치 웹서버의 WSGI(Web Server Gateway Interface)과 함께 Trac은 sudo apt install trac libapache2-mod-wsgi 명령으로 설치합니다. The following additional packages will be installed: ..
"리눅스 서버(우분투) 설치하기"에 이은 글입니다. 형상 관리 시스템중의 하나인 서브버전(Subversion)을 설치하고 형상 관리 리포지토리를 생성한 다음에 다른 컴퓨터에서 네트워크로 체크아웃 받고 커밋하는 과정까지를 다룹까 합니다. 우분투 서버에 서브버전 및 트랙 설치는 Ubuntu 16.04 32비트 버전에서 수행 했습니다. 모든 설치 작업 이전에는 일단 sudo apt-get update 명령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한 다음에 작업을 진행합니다.sudo apt-get update받기:1 http://security.ubuntu.com/ubuntu xenial-security InRelease [109 kB]기존:2 http://us.archive.ubuntu.com/ubuntu xenial InRele..
오랜만에 집에서 리눅스 서버를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없이 전원만 넣으면 필요한 서비스를 가동시키고 터미널에서 셧다운 시키는 방식으로 적용하려다 보니 리눅스 시스템이 최적의 선택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물론 스틱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아두이노와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도 좋기는 한데 집에 굴러 다니는 본체를 간편하게 설치해서 사용하고 성능이 뒷받침되는 시스템을 확보한다는 시각에서는 리눅스 서버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인 선택이었습니다. 시스템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전체적인 도움말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help.ubuntu.com/lts/serverguide/index.html.ko ■ 시스템 설치 시스템 설치를 위해서는 우선 *.ISO로 배포하고 있는 설치 파일..
DBMS 엔진들은 각기 나름의 분석을 위해 수행 과정을 로그로 남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두고 있는데, DBMS에 전달된 SQL문의 처리 과정 중에 일부 이벤트를 로그로 남길도록 하여 응답이 너무 느린 쿼리를 찾거나(SQL 튜닝), 응용 프로그램의 DB 사용 패턴을 코드와 무관하게 분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Microsoft SQL Server(MS-SQL)를 기준으로 쿼리 로그를 남기고 조회하는 방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예제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Microsoft SQL Server Express edition과 Microsoft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Express를 사용했습니다. 우선 Microsoft SQL Server M..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에 테스트용 데이터가 없거나, 엑셀로 만들어진 자료를 테이블에 직접 입력하고 싶을 때는 SQL Server에서 제공하는 Import and Export Manager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필요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로 다른 DBMS의 자료를 Migration 해야하는 경우에도 ODBC 설정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Import and Export Manager를 통해서 손쉽게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DBMS Migration) 또는 윈백(DBMS Winback)도 가능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든 테이블 스키마와 동일한 형태로 작성한 엑셀 파일을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우선 SQL Server manage..
모르는 한자가 있을때 옥편을 찾지 않고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우선 포털의 사전 페이지에서 지원하는 필기 인식으로 찾는 방법이 있습니다. 마우스로 한 획, 한획 그려서 해당하는 한자를 찾는 방법입니다.("모르는 한자 찾기" 참조) 한획씩 그려서 찾으므로 정확하게만 그리면 한자를 제대로 찾을 수 있지만 마우스로 그리는 것이 의외로 쉽지 않고 한자가 여러개라면 이 방법이 조금 짜증 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마우스로 한자를 그리거나 하는 것이 귀챦거나 여러 한자를 한번에 찾고 싶은 경우에는 사진을 통한 한자 자동 인식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제일 먼저 해야하는 작업은 한자를 찍은 해상도 좋은 사진을 확보해서 되도록 확인하려는 한자가 있는 부분만으로 사진을 자릅니다. 편집 도구가 없으시면 "가볍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문서들을 워드, 엑셀이나 파워포인트 문서로 작성하다가 발주처나 타사에게는 대부분 PDF파일로 제공합니다. 보안성, 파일 크기, 호환성 등 여러모로 PDF로 전달하는 것이 장점이 많습니다. 그런데, 저장할 문서가 많거나 매일 매일 리비전 문서를 웹에 자동 게시하는 경우등에는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일괄로 PDF로 저장하는 방법이 필요 합니다. 이런 필요를 채울 수 있는 방법으로 전문 문서 변환 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구에 따라 문서의 형태가 이상해지거나 하면 낭패를 볼 수도 있으므로 가장 안전한 방법은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제작사의 도구를 활용하는 방법 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오피스 2007을 발표할 시점에는 오피스 도구들에 PDF로 저장하는 기능을 기본..
유닉스나 리눅스 장비를 만져본 개발자에게 가장 전통적인 도구 vi(vim). vi 도구의 중요성이나 유용성을 다시 강조할 필요는 없지만 오랜 만에 다시 만질 기회가 있어 꼭 필요한 기능들을 다시 정리해 봅니다. 일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오리지널 vi만 제공하는 시스템도 있지만 대부분의 플랫폼에서 Vim을 지원하고 있으므로(윈도우용 vim도 있고, 이클립스용 플러그인도 있습니다. https://www.vim.org/ 참조) vim을 통해 편리한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기능들을 메모 형식으로 적어두고자 합니다. vim을 통해 프로그램 분석이나 디버깅을 하고 있다면 ctags 또한 꼭 알아 두어야 할 것 입니다. vi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가장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바로 vi의 입력 모드와 컨트롤 ..
얼마전 프로젝트에서는 영문 윈도우 개발환경을 사용해야 했는데, 영문 환경에서 이전 프로젝트의 공통 모듈을 사용하려다 보니 한글로 기입했던 주석들이 모두 깨져 보이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물론 영문 윈도우 환경에서 비주얼스튜디오를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jEdit 텍스트 편집기로 해당 소스를 불러보았더니 정상적으로 표시되었습니다. jEdit에서는 EUC-KR을 기본 인코딩을 설정해 놓았기 때문이었는데 이것을 UTF-16 인코딩으로 바꾸어서 저장한 다음 비쥬얼스튜디오에서 다시 열어보니 정상적으로 보여졌습니다. jEdit에서의 인코딩 변환은 화면 우측 하단에 있는 인코딩 표시를 더블클릭하여 위의 화면과 같이 조정하신후 저장하시면 됩니다. 문제는 헤더, C/C++소스, 텍스트등 한글이 포함된 것을 일일이 하나씩 ..
개인적으로 프로그램을 제작 하거나, 오픈 소스로 자유롭게 코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프로젝트나 개발조직에서는 프로그램 제작 지침이나 표준을 만들어서 개발자들로 하여금 상호 약속한 형식에 맞게 코드를 작성하도록 가이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짜증내며 힘들어 하는 일이지만, 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코드의 가독성(Readability)을 향상시키며개발자 스스로에게도 디버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일단 개발자는 가이드로 부터 자유롭게 개발하고, 디버깅까지 수행한 다음 Code Beautifier를 통해서 일괄 정리하는 방법이 있기는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단 약속한 코드 작성 표준에 따라 코딩하는 과정에서 한줄에 너무 긴 코드 작성이 되지 않..
비주얼스튜디오를(이하 VS) 사용하는 VS 고수분들은 자주 사용하는 기능 일 수 있지만 아직 이 기능을 접해보지 않은 개발자에게는 마술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이런 경우를 상정해 볼까합니다.PutLog( ERROR, 1, "Program started!!!"); 같은 형태로 프로그램 실행중 계속적으로 로그를 찍는 프로그램을 쭉 작성해 놓았습니다. 전체 프로그램 개수와 라인은 몇 천일지 몇 만 일지 모르고요. PutLog함수 호출시 첫번째 파라미터는 로그의 종류, 두번째는 심각성을 설정하기로 했었는데 #define문을 찾기도 귀챦고 대부분 GENERAL(1)이어서 Name을 쓰지 않고 그냥 값을 쓴 경우도 허다한 상황이 입니다. 그런데, 코드 리뷰 과정에서 코딩 규칙을 ..
스마트폰이 일상화되면서 우리도 모르게 우리 생활에 깊숙하게 들어온 장비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GPS 센서입니다. 미국에서 쏘아올린 24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받아서 현재의 위도와 경도를 계산해내는 장치입니다. 지구 주위를 일정하게 돌고 있는 GPS위성 중에 최소 3개의 신호를 잡으면 위도와 경도 뿐만아니라 고도와 현재 시간 까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하처럼 신호를 받을 수 없거나 빌딩숲, 나무숲처럼 전파가 방해 되는 곳이 아니라면 지구 어떤 곳에서도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PS Test"와 같은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면 현재의 좌표 뿐만아니라 수신 가능 위성의 개수를 비롯한 GPS 센서의 상태를 쉽게 알수 있습니다. 위의 두화면은 ..
저는 요즘 한달에 한두번씩은 제어판>프로그램 추가/삭제를 통해서 불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삭제합니다. 한달에 한두번 인터넷뱅킹을 하기 때문입니다. K뱅크, 카카오뱅크의 등장과 함께 스마트폰으로 뱅킹을 하는 시대가 더욱 가까이 왔지만 2G폰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스마트폰 뱅킹은 아직 먼시대의 이야기 입니다. 대부분의 뱅킹앱들은 공기계 스마트폰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아무튼 스마트폰 뱅킹의 제약성과 인터넷 뱅킹의 편리함 등의 이유 때문에 아직 인터넷뱅킹을 사용하고 있는데 인터넷 뱅킹의 가장 큰 문제는 인터넷 뱅킹을 위해서 익스플로러를 사용하든 크롬을 사용하든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보안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특정 은행만의 문제는 아니고 한국의 대부분의 은행들이 비슷한 형태를 ..
임베디드 리눅스나 일반 리눅스 서버에 ssh가 설치되어서 putty등으로 콘솔 접속이 가능한 환경에서는 대부분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으로 ssh를 통해서 파일 전송을 수행합니다. ssh 서버가 파일 전송을 중개하는 것인데 통상 이를 SFTP라 부릅니다. 파일질라등의 주요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은 TCP 21번 포트를 사용하는 원래의 FTP 전송 프로토콜과 함께 SFTP 전송 방법을 지원합니다. 그런데 ssh를 통해서 서버에 콘솔 접속이 가능한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SFTP 파일 전송이 않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원인중 하나는 ssh 서버와 함께 SFTP 서버를 설치해야 하는데 SFTP 서버가 가동되지 않은 까닭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소스 코드를 내려받아서 간편하게 빌드 및 실행 시킬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 임베디드 장비의 콘솔을 열어서 커널이나 장치 드라이버의 디버깅 등의 작업을 하려면 RS-232C 시리얼 케이블 사용합니다. 정식 케이블이 아니더라도 TX, RX 두가닥 케이블로라도 콘솔을 열어서 작업을 하곤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보드의 경우에는(이번 글에서는 IMX6를 사용)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충전이나 데이터 케이블로 사용하는 아미크로 USB(microUSB) 케이블로 PC에서 간편하게 콘솔을 열수 있습니다. 일단 필요한 것은 microUSB 케이블과 함께 putty(다운로드 링크) 프로그램입니다. Putty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시키면 위의 그림과 같이 연결창에서 연결을 위한 몇가지 설정을 합니다. Speed : 115200Connection type : SerialSerial..
CentOS 만큼 서버 운영체제로 인기가 높은 것은 없을것 같습니다. 이곳 저곳에서 사용해 보았지만 리눅스 서버를 운영한다고 하면 많은 경우 CentOS를 사용했습니다. CentOS의 경우 "yum update"로 간편하게 시스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었는데 최근 작업에서 업데이트 오류가 떨어지더군요. # yum upgradeLoaded plugins: fastestmirror, securityLoading mirror speeds from cached hostfilehttp://ftp.daum.net/centos/5/os/i386/repodata/repomd.xml: [Errno 14] HTTP Error 404: Not FoundTrying other mirror.http://ftp.daum.net..
- 경로에 드라이브 이름을 포함한 경로인지를 확인해야 할듯합니다. 파일명이 ⋯
- 구글 지도와 맵스닷미(Maps.Me) - https://yaraba.ti⋯
- 남파랑길을 준비하면서 야라바님의 T스토리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야라바님께⋯
- 저희는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만 사용하니 광고가 많은 줄을 몰랐네요. 아⋯
-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최근에는 Maps.Me에 광고가 너무 많아지다 ⋯
- 진짜 고맙습니다.......^^
- 런타임 에러 76은 경로를 찾을수 없다는 메시지 이군요. 입력하신 경로를⋯
- Set folder = fso.GetFolder(sFolder) 에서 런⋯
- [승인대기]
- 표준 시간은 제주 올레 홈페이지를 참조하시는 것이 좋을듯 하네요. 이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