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지기로부터 네이버 메일에 PDF 문서를 첨부하려는데 PDF 문서에 악성 코드가 있다고 첨부가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PDF 문서 형식이 워낙 복잡하니 내부적으로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기능도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추측을 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일을 직접 목격하고 나니 관련 자료를 적극적으로 찾아보게 되었다. PDF 문서가 다양한 환경에서 문서 교환 방식으로 표준으로 자리 잡다 보니 PDF 통한 다양한 악성 코드 배포와 공격이 이루어지고 있는 모양이었다. 어도비사에서도 공식적으로 PDF 문서를 통해 악성코드가 배포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고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도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카드 명세서, 전기료 고지서, 지역 의료 보험 및 국민 연금 고지서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인화 P..
프로그램 개발자 입장에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시스템을 이야기하다 보면 마치 거대한 산을 앞에 두고 있는 느낌이 있습니다. 가도 가도 나오지 않는 정상처럼, 저 깊숙한 계곡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없는 거대한 산처럼 느껴집니다.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와 법규와 함께 다양한 기술이 녹아 있는 ERP/CRM 시스템을 산으로 느끼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많은 비용과 위험을 수반하는 ERP 도입을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최근의 ERP 패키지들은 내부에 재무/회계, 생산, 인사, 물류, 자산관리뿐만 아니라 CRM 기능을 통..
리포팅 도구는 다양한 형태의 보고서를 손쉽게 제작 및 배포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도구입니다. 보고서 출력은 화면이나 인쇄, 파일 등을 대표적인 대상으로 하며 입력은 주로 데이터베이스를 그 원천으로 합니다. 개발자가 보고서 작성 도구를 활용하여 보고서 양식을 작성해 놓으면, 사용자가 조회한 정보를 해당 양식에 맞게 자동 출력해 주는 형태입니다. 개발자는 출력 양식을 프로그램 코드로 일일이 코딩할 필요없이 양식 작성과 데이터 필드 설정 등 만으로 필요한 작업을 모두 끝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상업용 리포팅 도구들을 살펴보면 비주얼스튜디오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크리스탈 리포트(Crystal Reports), 액티브리포트(ActiveReports) 등의 전문 리포팅 도구 제품과 함께 IBM, SAP, Or..
이번 포스팅은 대부분의 서브버전 사용자는 거의 사용할 기회가 없거나 구경조차 할일이 없을 가능성도 있는 기능인 병합(Merge)과 잠금(Locking) 기능입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체크아웃, 업데이트, 커밋이면 대부분의 필요가 해소됩니다. 하지만 때로는 복잡한 상황과 현상을 단순화 시켜 줄 수 있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 병합(Merge) 앞선 포스팅("서브버전(Subversion) 브랜치와 태그" 참조)에서 태그는 특정 시점의 리비전에 표시를 해둔 것으로 태그에 대한 수정 작업을 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는데, 브랜치는 메인 trunk 및 다른 브랜치와는 별개로 독자적인 개발 프로세스를 진행 합니다. 브랜치에 대한 개발 프로세스가 안정화되고 완료되면 다시 메인 trunk나 다른 브랜치와 합치는 작업이 필요..
살아 있는 프로젝트는 끊임없이 진화 및 발전해 나갑니다. 가장 원천적인 속성과 특성, 모양은 유지해 나가면서도 때로는 본류는 아니지만 곁가지를 쳐서 별도의 모습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상용 프로그램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윈도우 시스템의 경우에도 윈도우 XP, 윈도우 7, 윈도우 10등의 발전적 과정이 있지만 각 윈도우 시스템 별로 별도의 업데이트를 운영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제품을 릴리즈한 시점의 코드가 정확히 보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러한 중요 시점별로 태그를 붙여 놓으면 추후 피드백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브랜치와 태그(Branches/Tags) 앞선 포스팅에서 서브버전 저장소를 생성할 때 trunk/branches/tags라는 폴더를 기본 폴더로 자동 생성하도록 했는..
이번 포스팅은 형상 관리하고 있는 저장소를 작업 사본을 통하는 방식이 아니라 특정 버전 상태를 내보내기 해서 전달하거나 프로젝트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을 외부에서 프로젝트 내부로 들여오기 하거나, 변경 사항을 패치 파일로 만들어서 외부로 전달하거나 내부에 반영 시키는 방법을 다룹니다. ■ 들여오기(Import)와 내보내기(Export) 들여오기(Import)와 내보내기(Export)는 기존에 형상 관리 대상이 아니었거나 다른 프로젝트에 있던 파일들을 저장소로 들여오거나 현재의 작업 사본을 일반 파일로 내보내는 명령 입니다. 들여오기는 CLI로 "svn import -m 로그메시지 들여올경로 서브버전URL" 명령으로 수행하거나 저장소 생성때 처럼 일반 파일 폴더의 팝업 메뉴에서 TortoiseSVN>Impo..
형상 관리 시스템 하에서 본격적으로 코드 작성이나 문서 수정 등의 작업을 하려면 저장소에서 작업 사본을 받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개발이나 작업이 여러날에 걸쳐 이루어 지고 있다면 그 사이에 다른 사람들이 작업한 내용이 저장소에 등록 되었을 수도 있는데 이를 내가 작업하고 있는 작업 사본에 반영하는 작업이 업데이트입니다. 자주 업데이트 할 수록 작업의 혼선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내가 수행하는 작업이 일정한 단계를 지나거나 완료되었다면 저장소에 커밋하는 것으로 작업을 완료 합니다. ■ 작업 사본 받기와(Checking out) 작업 사본 만들기는 CLI로는 "svn checkout 서브버전URL 내려받을경로" 명령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서는 토터스 SVN 컨텍스트 메뉴 >SVN Checkout으..
최근에는 분산 형상 관리 시스템인 깃(Git)을 사용하는 개발자가 많아 졌지만 여전히 서브버전을 애용하는 개발자들도 많습니다. 본격적으로 서브버전(Subversion) 사용법을 다루기 이전에 핵심 용어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서브버전이 설치되어 있는 곳이라면 어떤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명령행 도구(CLI, Command Line Interface)와 윈도우용 도구인 TortoiseSVN 사용법을 모두 다룹니다. ■ 토터스 SVN(TortoiseSVN) 설치 서브버전을 시스템에 설치한다는 의미는 외부의 서브버전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자신의 컴퓨터를 서브버전 서버로 가동시킨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소를 생성하여 서브버전..
트랙(Trac)에서는 프로젝트 내의 이슈나 버그를 추적하기 위해 티켓 시스템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버스나 기차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 티켓을 구입하듯이, 프로젝트 내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크던 작던 모두 티켓 단위로 기록 및 관리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이슈 트래킹 시스템의 이슈를 티켓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아래의 링크들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을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 관련 글을 읽을때 참고할 만한 시스템 설치와 기본 운영에 관련한 글입니다.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를 사용하기 위한 일반적 지식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 꼭 필요한 것중에 하나라면 현재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과 함께 목표 대비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위험을 관리하는 것일 것입니다. 트랙(Trac)의 타임라인과 로드맵은 이러한 필요를 채워주는 기능 입니다. 아래의 링크들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을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 관련 글을 읽을때 참고할 만한 시스템 설치와 기본 운영에 관련한 글입니다.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를 사용하기 위한 일반적 지식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간단한 MySQL 설치 요령Trac 및 서브버전 에지 환경에서 형상관리 도구 사용하..
지난 포스팅에서는 Trac의 위키 페이지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위키 페이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키를 사용하면서 알아두면 편리한 팁과 자주사용하는 기능들을 정리해 볼까 합니다. 아래의 링크들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을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 관련 글을 읽을때 참고할 만한 시스템 설치와 기본 운영에 관련한 글입니다.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를 사용하기 위한 일반적 지식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간단한 MySQL 설치 요령Trac 및 서브버전 에지 환경에서 형상관리 도구 사용하기 Trac UI 변경과 설정 변경하기Tra..
서브버전 에지와 Trac 설치를 통해서 협업 개발 시스템 준비를 했다면 이제는 본격적으로 핵심 도구인 Trac의 사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 첫번째 기능으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키(Wiki)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위키는 여러 사용자가 협업하면서 문서를 작성해 갈 수 있는 아주 효과적인 도구로 위키 백과(http://www.wikipedia.org/)처럼 위키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는 도구들도 있어서 기술적인 배경을 모르는 사람들도 익히 접해 보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들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을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 관련 글을 읽을때 참고할 만한 시스템 설치와 기본 운영에 관련한 글입니다.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를 사..
협업 개발 시스템이 준비된 상태에서 개발자들의 입장에서 형상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요령을 다룰까 합니다.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을 다루고 있는데 아직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았다면 시스템 설치는 아래의 두 글을 참조합니다.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 형상 관리 도구 사용은 코드를 체크아웃(check out) 받아 개발을 수행하고(문서 수정이나 코드 수정) 형상 관리 서버에 커밋(commit)하는 단계로 이루어 집니다. ■ 윈도우 환경에 서브버전(Subversion) 설치하기 리눅스나 윈도우등 운영체제에 관계없이 서브..
서브버전 에지(Subversion EDGE)와 MySQL 기반의 Trac 설치로 협업 개발 시스템의 틀이 준비된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절차를 다룹니다.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을 다루고 있는데 아직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았다면 시스템 설치는 아래의 두 글을 참조합니다.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 협업 개발 시스템이 모두 정상 가동 중임을 전제로 새로운 프로젝트의 생성 절차를 다룹니다. Trac 프로젝트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생성, Trac 프로젝트 환경 생성, 관리자 권한 부여, 형상 관리 저장소 설정등의 절차로 ..
서브버전 에지(Subversion EDGE)를 사용하면 사용자 관리와 저장소(리포지터리, repository) 관리 및 모니터링을 콘솔 모드가 아닌 GUI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지만 개별 저장소에 대한 접근 권한 관리는(Repository Access Rules) 서브 버전(Subversion)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 오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텍스트 파일에 접근 권한을 기술하는 요령을 다룹니다.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을 다루고 있는데 아직 설치 이전이라면 시스템 설치는 아래의 두 글을 참조합니다.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Trac과 서브버전의 사용자 관리하기 입니다. 시스템 설치는 아래의 두 글을 참조합니다.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 서브버전 에지 기반으로 Trac을 설치한 환경에서는 기본적인 사용자 관리는 서브버전 에지에서 수행합니다. Trac의 사용자 인증을 서브버전 에지에서 관리하는 인증 체계를 활용하도록 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서브버전 에지에서 사용자 추가/삭제등의 기본 작업과 형상 관리 리포지토리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고, Trac에 대해서는 각 프로젝트의 기능에 대한 권..
이번 글에서는 협업 개발 시스템의 얼굴 역할을 담당하는 Trac의 UI를 변경하는 요령과 Trac의 동작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을 다루고 있습니다. 시스템 설치는 아래의 두 글을 참조합니다.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 Trac 시스템은 각 프로젝트 폴더 아래의 conf 폴더에 있는 trac.ini를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조정할 수 있고 동작 방식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용 방법은 https://trac.edgewall.org/wiki/TracIni를 참조합니다. ■ 프로젝트..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앞선 글에서는 DBMS와 서브버전 에지를 설치하여 기반 환경을 준비했다면 이번 글에서는 본격적으로 파이썬을 사용하는 Trac을 설치 합니다. ■ 파이썬 레지스트리 등록과 기본 도구 설치 Subversion EDGE에 파이썬이 포함되어 설치되는 과정에서 환경변수에 파이썬 경로를 설정하는 작업은 하지만 레지스트리에 등록하는 작업은 누락되어 파이썬 배포판을 설치하거나 기타 여러 작업에서 레지스트리를 통해서 파이썬의 설치 여부와 버전등을 확인하는 작업이 있으면 파이썬이 서브버전 에지에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작업들은 모두 실패 합니다. 그래서, 레지스트리 등록 작업이 꼭 필요한데 아래의 코드를 setreg..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환경에서 여러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이슈 트래커 등을 포함하는 협업 개발 시스템을 검토하는 곳을 대상으로 Subversion EDGE, Python 및 Trac, MySQL(XAMPP 기반)을 설치하여 고성능의 협업 개발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나눌까 합니다.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Git(http://git-scm.com/)나 Mecurial(http://mercurial.selenic.com/)와 같은 분산형 형상 관리 도구도 있지만 오랜 기간 개발자들로 부터 사랑받아온 대표적인 형상 관리 도구로 CVS(http://www.nongnu.org/cvs/)와 Subversion(http://subversion.apache.org/)을 들 수 있습니다. Sub..
MYSQL DBMS 설치를 검토하는 사람이라면 일단 MySQL 홈페이지(https://www.mysql.com/downloads/)의 다운로드 페이지를 뒤지기 시작하지만 오래전 이미 오라클로 주인이 바뀐 MySQL은 상용 버전의 제품들이 페이지의 중앙을 차지 하고 있습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버전은 MySQL 커뮤니티 에디션(MySQL Community Edition)으로 https://dev.mysql.com/downloads/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DBMS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DBMS 가동/중단도 쉽고, DB 관리도 용이한 환경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데 MySQL 홈페이지에서 배포하는 것으로는 용량도 크고 조금 복잡한 느낌을 받습니다. ..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참여 주체간의 원활한 소통은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 중의 하나라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고객 및 사용자, 기획 및 설계자, 개발자, 품질 보증 조직 등 참여 주체간에 커뮤니케이션을 명확히 하여 혼선을 막고, 요구 사항 또는 이슈의 처리 결과를 예측 가능하도록 하여 각 주체가 수행 할 역할에 각 자원을 집중 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 하는 것이 필요 합니다. 이런 필요를 돕는 도구로 이슈 트래커, 형상 관리 도구, 위키 등과 같은 협업 도구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에 초점을 맞추어서 일반적인 사항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 이슈트래커 이슈트래커(Issue tracker)는 버그 트래커(Bug tracker)라고도 불리는..
협업 개발 시스템인 Trac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협업 개발 시스템 Trac 수정을 위한 개발 환경 준비하기"를 통해 개발 환경을 준비해야 합니다. 프로그램 분석 과정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바로 프로그램의 시작점을 찾는 것입니다. Trac 프로젝트의 프로그램의 시작점은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trac-admin이고 다른 하나는 웹 인터페이스를 관장하는 tracd 입니다. Trac의 핵심 기능은 웹서버나 tracd를 통해서 플러그인 형태로 제공되는데 관련 정보는 설치 코드 위치의 Trac.egg-info\entry_points.txt에 있으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console_scripts] trac-admin = trac.admin.console:run tracd =..
젠시(Genshi)는 웹 출력을 위하여 HTML, XML등의 텍스트 기반 자료를 분석, 처리 및 생성 할수 있는 파이썬 라이브러리로 핵심 기능은 태그, 속성, 내용을 분리해서 처리할 수 있는 템플릿 언어 입니다(http://genshi.edgewall.org/). Tra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개발되었지만 별도의 라이브러리 형태로 배포 되고 있어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로고에서 젠시의 이름을 유추해 보면 젠시는 직물을 만드는 원료가 되는 실을 가리키는 원사(原絲)의 중국어 발음에 따온 모양입니다. 템플릿이 하는 역할에 비추어 보면 의미가 통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Trac에서 실제 사용된 젠시의 기능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 마크업 스트림(Markup strea..
"Trac 수정을 위한 개발 환경 준비하기"는 대표적인 협업 개발 도구인 Trac(http://trac.edgewall.org/)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을 넘어서 직접 코드를 수정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과정입니다. 개발 환경이란 실제 사용자들이 사용중인 시스템과는 별개의 시스템으로 개발 과정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 가능성과 장애로 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Trac은 자체적인 서비스 대몬을(tracd) 소유하고 있으므로 Trac 코드 수정을 위한 시스템을 실제 시스템과 동일하게 구축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래의 개발 환경은 윈도우 시스템을 기준으로 했으며 텍스트 편집기로 소스 코드를 수정한다는 가정하에 진행했습니다. ■ 파이썬 환경 설치 "파이썬(Python) 실행 환경 준..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는 사람의 두뇌에 해당하는 것으로 컴퓨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위의 그림은 국내에서 퍼스널 컴퓨터 붐이 처음 일어날 당시 주로 장착되던 Z80 CPU의 아키텍처입니다. 1976년에 등장 했을 정도로 오래된 CPU이지만 이 칩을 제조하기 위해서 라이선스를 받은 회사가 한둘이 아닐 정도로 인기가 있었기 때문에 CPU를 공부하기 위한 참고 자료로 주목할만 합니다. CPU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어 장치(CU, Control Unit) : 메모리에서 명령을 받아 해독과(Decode) 실행을 지시하는 핵심 요소입니다.연산 장치(ALU, Arithmetic Logic Unit) : 제어 장치의 지시에 따라 산술, 논리..
시스템 분석 과정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DBMS에 요구하는 여러가지 SQL문장을 분석하는것은 데이터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도구 입니다. 모든 SQL을 로그로 남기도록 DBMS에 지시만 하면 되기 때문에 어렵지도 않습니다. 특히 개별 응용에서 SQL 문장 뒤에 "Call trace"를 SQL 주석 형태로 남기게 되면 해당 SQL을 어떤 코드에서 호출했는지도 알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더 분석 과정을 효율화 시킬 수 있습니다. function _execute($sql) { $sql = $this->_prep_query($sql); $trc = debug_backtrace(); $rst = ""; foreach($trc AS $idx => $ary) { if (array_key_exists('fil..
컴퓨터 메모리에 2진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를 문자를 비롯한 다양한 코드값으로 인식할 수도 있지만("코드와 데이터 표현 - 정보처리 필기 해설 7" 참조) 값 자체를 수치로 인식할 수도 있습니다. 이와같이 컴퓨터 메모리를 가지고 수치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소수점 위치의 고정 여부에 따라 고정 소수점(Fixed point) 표현과 부동(浮動) 소수점 또는 유동(流動) 소수점(Floating point) 표현으로 나뉘고 고정 소수점 표현의 경우에는 2진 표현 방식과 10진 표현 방식으로 나뉩니다. 물론 표현에 사용하는 저장소의 크기에 따라 표현 가능한 수치의 범위도 달라집니다. ■ 고정 소수점(Fixed point) 표현 컴퓨터 내부에서 정수 표현에 사용하는 것으로 부동 소수점에 비해 연산 속도가 빠르고..
주기억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의 최소 단위는 바이트입니다. 물론 기억소자나 통신 과정에서는 비트 단위까지 다루어지 지지만 사람이 인지하는 대부분의 데이터 표현은 바이트 단위가 기본입니다. 그런데 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데이터는 단순 바이너리 값으로 숫자나 이미지 데이터를 표현하는 정보일 수도 있고, 십진수를 저장하는 값일 수도 있으며(BCD),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EBCDIC, ASCII). 한 바이트가 아닌 둘 이상의 바이트를 가지고 고정 소숫점을 표현하는 이진값을 나타낼 수도 있고, 더 큰 범위의 수를 표현하기 위한 부동 소숫점을 표현할 수도 있을 뿐만아니라 한국어(CP949, EUC-KR, UTF-8)와 같은 다양한 언어를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0과 1로 정보를 표현하는 디지털 시대에서 정보의 최소 단위는 비트(Bit)입니다. "순서 논리 회로와 보수 - 정보처리 필기 해설 5"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플립플롭을 사용해서 저장하는 정보의 최소 단위는 비트입니다. 이 비트들을 모아서 다양한 정보의 단위로 사용하는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니블(Nibble, nybble) : 4비트. 4비트는 16진수의 한자리와 같기 때문에 상위 니블, 하위 니블식으로 정보를 나누어 저장하기도 합니다.바이트(Byte) : 8비트.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최소 단위. 워드(Word) : 컴퓨터의 정보 처리 단위라 할 수 있습니다. CPU의 레지스터 크기나 CPU가 메모리를 한번에 읽을 수 있는 단위에 따라 달라지므로 중앙처리장치(CPU)의 아키텍처가 워드의 크기를..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해설 4 - 조합 논리 회로"에서 다룬대로 논리 회로는 출력을 결정하는데 있어 현재 입력만을 대상으로 하는지, 아니면 현재 입력과 함께 과거 자료(메모리)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현재 입력만을 가지고 출력을 결정하는 조합 논리 회로(Composite Logic Gate)와 메모리도 출력 결정에 사용하는 순서 논리 회로(Sequential Logic Gate)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부의 입력과 현재 상태(기억 기능, Memory)에 따라 출력을 결정하는 순서 논리 회로는 통상 메모리로 사용하는 플립플롭과 논리 게이트로 구성 되므로 메모리를 가진 조합 논리 회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순서 논리 회로에는 플립플롭, 카운터, 레지스터, RAM, CPU등이 있습니다. 신호의 타이밍에..
- 경로에 드라이브 이름을 포함한 경로인지를 확인해야 할듯합니다. 파일명이 ⋯
- 구글 지도와 맵스닷미(Maps.Me) - https://yaraba.ti⋯
- 남파랑길을 준비하면서 야라바님의 T스토리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야라바님께⋯
- 저희는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만 사용하니 광고가 많은 줄을 몰랐네요. 아⋯
-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최근에는 Maps.Me에 광고가 너무 많아지다 ⋯
- 진짜 고맙습니다.......^^
- 런타임 에러 76은 경로를 찾을수 없다는 메시지 이군요. 입력하신 경로를⋯
- Set folder = fso.GetFolder(sFolder) 에서 런⋯
- [승인대기]
- 표준 시간은 제주 올레 홈페이지를 참조하시는 것이 좋을듯 하네요. 이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