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랑길 19코스에서 무안군 청계면에 들어서며 시작했던 무안군 서해랑길은 34코스를 지나며 끝나고 드디어 함평군으로 들어간다. 외현화마을과 내현화마을을 차례로 지나며 북쪽으로 이동하던 길은 무안군 북쪽 끝자락인 현경면 해운리로 들어선다. 무안과 함평의 경계를 이루는 자명천을 지나면서 함평군 함평읍으로 들어가고 해안길을 걸어 돌머리해수욕장에 이른다. 현화천을 건너온 길은 현화천을 따라서 해안으로 향한다. 아직까지는 푸른 하늘이지만 구름이 많아지는 모양새가 비를 몰고 올 모양이다. 해안으로 나오니 모래사장인지, 갯벌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황토갯벌이 넓게 펼쳐 있다. 무안 북쪽 끝자락의 해운리 해변은 독특한 갯벌 형태를 볼 수 있는 곳이다. 쉐니어(Chenier)라고 부르는 지형인데 갯벌 위에 모래나 조개껍질 ..
목포에서 무안군으로 넘어오면서 시작했던 무안군 서해랑길은 신안군 증도까지 걷고 이제 34코스를 마지막으로 무안군을 떠난다. 송정리에서 시작하는 34코스는 해제만 바다를 감싸고 돌아서 북쪽으로 향한다. 현경면 읍내를 남쪽으로 두고 무안읍내로 향하는 국도 북쪽을 국도와 나란히 걷는다. 북쪽으로 들길을 걸어 유수정마을과 외현화마을, 내현화마을을 차례로 지난다. 이른 아침 33코스를 걸을 때만 해도 하얀 눈이 덮였던 길은 눈이 모두 녹아서 촉촉함만 남았다. 원래의 33코스 종점과 34코스 시작점은 현해로 큰길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현해로 쪽으로 나오다가 다시 24번 국도 쪽으로 좌회전하는 곳이다. 그리고 이후로 24번 국도와 나란히 이어지는 농로를 따라서 송정교차로까지 걷는다. 그런데 우리는 이 부분을 건너뛰..
국도 24호선이 지나는 용정교 아래에서 이어가는 서해랑길 33코스는 용정4리, 용정 2리 마을을 지나면서 동쪽 해안선 인근의 완만한 들길을 걷는다. 두동마을과 석북마을을 돌아가면서 다시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송마로 국도 방향으로 걷는다. 수양촌 마을을 지나서 국도 아래 굴다리를 통과하여 삼수장 3반 정류장으로 나와서 코스를 마무리한다. 3월에 무안에서 눈을 만나다니, 황당하면서도 놀라운 풍경에 감탄하며 오늘의 걷기를 시작한다. 어제 용정교 앞에서 여정을 끝내고 무안 읍내로 나가서 하룻밤 쉬고 다시 돌아온 것인데 오늘의 눈을 예고라도 하듯 어제 오후는 예상치 못한 강추위가 몰아닥쳤다. 어제 오후 여정을 끝내고 용정교 남쪽의 버스 정류장으로 나가니 찬바람은 쌩쌩 불고 다음 버스까지는 한 시간 넘게 남은 상황이..
무안황토갯벌랜드를 출발하는 서해랑길 33코스는 무안군 해제면을 벗어나서 홀쭉한 지형이 독특한 현경면으로 진입한다. 해제면으로 들어갈 때는 이 좁은 지형의 서쪽을 걸었다면 해제면을 나올 때는 동쪽 해안선을 따라서 내려간다. 가입리와 마산리 들길을 걷다가 24번 국도 송마로 아래를 굴다리로 통과하고 국도가 지나는 용정교에 도착해서 무안읍내로 나가서 하룻밤 쉬고 다시 돌아와 길을 이어간다. 무안군 해제면으로 들어와서 신안군 지도와 증도를 돌고 32코스로 해제면도 한 바퀴 돌아 나온 서해랑길은 33코스를 걸으며 해제면을 떠나간다. 해제면은 독특한 지형을 가진 섬처럼 생긴 육지였다. 섬처럼 느낄 수도 있지만 무안에서 북서쪽으로 뻗어나간 해제반도에 위치한 분명한 육지 맞다. 무안황토갯벌랜드 입구를 떠나서 현해로 큰..
범바위산에서 내려온 길은 신풍마을을 거쳐 다시 삼복산(108m)을 넘는다. 산을 내려오면 신만마을을 거쳐서 남쪽으로 이동하며 해안길을 따라 무안황토갯벌랜드에 이른다. 낙엽 가득한 산길에 봄을 깨우는 생명의 신호가 있다. 손이 시린 날씨, 새벽이면 서리가 내리는 날씨인데도 식물들은 봄이 오는 것을 아는 모양이다. 범바위산에서 내려온 길은 신풍마을의 들길을 거쳐서 정면으로 보이는 삼복산으로 향한다. 넓은 갯벌이 드러난 함해만(함평만) 바다를 보면서 신풍마을의 들길을 걷는다. 신풍마을을 지나온 길은 다시 삼복산을 오르기 시작한다. 높지 않은 산이라도 오르막길은 늘 피할 방법이 없을까? 하며 잔꾀를 구상하게 한다. 옆지기에게 그냥 도로로 갈까? 넌지시 물어보니 그냥 가자고 한다. 힘들어하면서도 단호하다. 희한하..
송계어촌체험마을을 지난 길은 칠산대교가 있는 도리포에서 길을 돌려서 남쪽으로 내려가기 시작한다. 등산로에 진입하여 망대봉(104m)과 범바위산(121m)을 차례로 지난다. 솔숲이 병풍처럼 둘러있고 모래 해변이 길게 이어진 송계 해변에 서서 한동안 참 좋다! 를 연발한다. 깔끔한 해변에 주차장과 화장실도 훌륭했다. 북적대는 해수욕장의 상점과 편의시설은 없지만, 한적한 해변을 즐기고 싶은 이들에게는 딱인 공간이다. 송계 해변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우리는 해변 끝자락에서 송계 해변을 빠져나간다. 송계 해변을 빠져나온 길은 만송로 도로를 따라서 도리포로 향한다. 송계 해변 주위로는 유채나 메밀을 심어서 여행객들을 유혹하는 모양인데, 2월을 넘기고 있는 지금은 꽃을 볼 수는 없어서 아쉽지만 포토존 뒤로는 유채가 ..
삼강공원을 출발하면 외분마을의 감동저수지를 지나며 들길을 걸어 서쪽으로 이동한다. 간척지의 논길을 가로질러 염전 외곽을 돌아 해변으로 나간다. 해변 둑방길을 따라 북서쪽 해제면 끝자락으로 이동하다 보면 삼봉마을을 거쳐 송계마을해변에 이른다. 이번 여행은 밤기차를 타고 무안역에 내려서 택시로 무안 읍내로 이동하여 하룻밤 쉬고 여정을 시작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읍내에서 떨어진 곳이라서 그런지 대부분의 여행객은 고속버스나 시외버스를 이용하는지 무안역에서 내리는 승객은 거의 없었다. 무안역 앞의 거대한 양파 모형만이 우리를 반길 뿐이다. 이번 여행에서는 해제면 일대를 걷지만 저렴한 숙소는 대부분 무안 읍내에 있기 때문에 읍내에서 숙소도 정하고 숙소 근처의 김밥집에서 식사도 해결하고 점심 도시락을 위한 김밥도 확..
백학산을 돌아온 길은 평탄한 들길을 걸어 남동쪽으로 걷는다.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신사마을 입구에서 봉대로 도로와 만나지만 이내 마을길을 통해 슬산마을을 지나고 슬산제, 사야마을, 내분마을을 차례로 통과하여 매곡마을에 있는 삼강공원에서 여정을 마무리한다. 아름다운 숲길이 있었던 백학산 임도를 벗어나 신사마을 앞의 구릉지를 걷는 길은 언덕길을 내려가 해안 평야지대로 향한다. 평야 지대는 논이 있기는 하지만 약간의 경사가 있는 구릉지는 어김없이 양파밭이다. 무안에서 양파가 본격적으로 재배된 것은 일제 강점기로 무안군 청계면 출신의 한 젊은이가 일본에서 가져온 양파 씨앗이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당시에 양파 재배에 성공하면서 보리농사의 다섯 배에 해당하는 수익을 얻었다고 한다. 양파는 원산지가 분명하지 않고 그..
송전마을을 지난 서해랑길 31코스는 백학마을 포구까지 해안으로 나갔다가 백학산 주위의 임도를 걷는다. 오르막 길이 있기는 하지만 고도가 높지는 않다. 아름다운 풍경을 만날 수 있는 곳이었다. 백학산 주위를 돌아가면 신사마을부터는 남쪽으로 이동한다. 무안군 해제면 북쪽 끝자락에 있는 백학산으로 향하는 길 밤새 내린 겨울비로 가끔씩 헉! 하는 물웅덩이를 만나지만 길에서 이런 구간을 넘어가는 것도 걷는 재미의 하나이다. 비를 맞지 않고 걸을 수 있다는 것이 감사할 따름이다. 길은 백학산 아랫자락에 자리한 백학마을을 가로질러 북쪽으로 이동한다. 비가 그쳐서 그런지 동네 강아지들이 마실을 나온 모양이다. 마을 먼 곳에서 우리를 발견하고는 거리를 두고 우리를 쫓아온 강아지들이다. 들개는 아닌 모양이고, 집에서 키우..
무안군 해제면으로 다시 돌아온 서해랑길은 해제면 중앙의 봉대산 주위를 돌아간다. 수포마을을 출발한 31코스는 북쪽으로 들길을 걸어서 석산마을, 감정마을, 석용제를 차례로 지나고 송전마을에 이른다. 서해랑길 무안 31코스까지 걷고 집으로 돌아가는 것이 이번 여행 계획이었지만 하루 종일 겨울비에 시달리다 보니 오늘처럼 비를 맞으며 하루를 더 걷는 것은 무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늦지 않은 시간에 30코스 걷기를 끝냈으니 집으로 돌아가는 것은 문제가 될 것이 없었다. 그런데, 막상 일기 예보를 보니 밤새 비가 많이 내리다가 내일 오전 중에는 날이 흐리기는 하지만 비가 소강상태 일 것이라는 예보가 있었다. 31코스가 길지 않다는 장점도 있으니 해제면 읍내에서 하루 쉬고 31코스를 이어 걷기로 했다. 무안의 군내버..
지도읍 북쪽 끝자락을 걷고 있는 서해랑길은 참도방조제를 지나서 해안 둑방길을 계속 걷는다. 박동산 자락을 지나며 잠시 오르막 길을 걸어야 하지만 대부분은 평탄한 길이다. 박동산을 지나면 원래의 서해랑길은 남쪽으로 내려가서 연육제방을 건너 해제면으로 가지만 우리는 북쪽 연육제방의 도로를 따라서 해제면으로 들어가서 원래의 경로와 합류한다. 무안군 해제면으로 돌아온 길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임치마을을 거쳐 수포마을에서 코스를 마무리한다. 참도를 지나온 길은 좌측으로 밖갈우섬, 소갈우섬, 안갈우섬과 함께 펼쳐진 갯벌을 보면서 걷는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갯벌이다. 앞서 지나온 참도 앞바다의 신풍도, 작은 포작도, 큰 포작도 주변의 갯벌과 함께 등재된 곳이다. 물이 빠지면 밖갈우섬부터 소갈우섬, 안갈우섬..
신안군 지도의 북쪽 해안을 돌아가는 서해랑길 30코스는 점암항에서 출발하여 삼암봉 끝자락의 언덕길을 넘어가는 것으로 시작한다. 고개를 넘으면 원래의 서해랑길은 소금출저수지를 돌아서 가지만 우리는 가던 봉리길 도로를 계속 걸어서 두순재뒷산 고갯길에서 원래의 경로와 합류하여 길을 이어간다. 봉리의 해안길로 돌아가는 길은 원동마을을 거쳐 서동제를 지나 참도선착장에 이르고 이어서 광활한 염전밭을 만든 참도 방조제 길을 걷는다. 서해랑길 30코스는 점암항 뒤편으로 올라가 임자대교 방면으로 이동한다. 국도 24호선이 이곳에서 시작한다는 표지판이 있다. 이곳 임자교차로에서 울산 태화강의 삼호교남 교차로까지 서해안에서 동해안까지 한반도 남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404Km에 이르는 도로이다. 24번 국도의 종점인 상호..
최근의 프로그램들은 설정 파일이나 데이터를 XML 파일에 저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XML 파일 내용이 동일한 것 같은데도 해당 파일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프로그램이 다르게 동작하는 현상을 만났다. 차이점이라면 하나는 파일이 읽기 좋게 들여 쓰기가 잘 되어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이 보는 파일이 아니므로 XML 규칙에 맞게 공백을 최소화한 것이다. XML이나 HTML에서 태그 규칙 말고 태그 외부의 공백은 구조와 내용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1만 라인이 넘는 파일 내용을 사람의 눈으로 비교할 수는 없는 노릇이고 diff 도구를 사용하면 좋겠지만 공백하나라도 차이가 있으면 서로 틀린 것으로 간주하여 메시지를 출력하므로 이런 상황에서는 단순 diff ..
솔섬을 떠난 서해랑길 29코스는 신안의 관문인 지도로 넘어가서 지도 북단으로 돌아간다. 해안 인근의 들길을 따라서 고사마을, 조비마을을 차례로 지나고 임자대교 앞의 점암항에서 코스를 마무리한다. 증도를 떠나서 사옥도를 거쳐 송도에 들어온 서해랑길 29코스는 송도 끝자락에 이르니 지난 25코스로 걸었던 지도 해변이 보이기 시작한다. 어제는 26코스, 27코스와 28코스 초반 일부까지 걷느라 조금 무리한 일정이었다면 오늘은 오후 3시를 바라보는 시간에 여정을 일찍 끝내고 송도 끝자락에 있는 펜션에서 넉넉한 휴식을 취한다. 어제 묵었던 증도 민박집에서는 인터넷이 없어서 조금은 답답한 휴식 시간을 가질 수밖에 없었는데, 인터넷이 터지는 환경만으로도 해방감을 느낀다. 인터넷 환경에 익숙해진 우리네 삶을 돌아보게..
증도를 한 바퀴 돌아온 서해랑길은 증도를 떠나 사옥도를 거쳐서 솔섬으로 들어간다. 무안을 거쳐서 들어왔던 길을 약간 다른 코스로 돌아간다. 26코스로 증도로 들어왔던 서해랑길은 29코스를 통해서 증도를 빠져나간다. 증도대교 부분이 중첩되니 헷갈리지 말라는 안내문도 붙어있다. 증도대교로 향하며 29코스를 시작한다. 26코스와 길이 중첩되기는 하지만 증도로 들어올 때는 반대편 길로 들어오기 때문에 많이 혼란스럽지는 않다. 증도로 들어온 것이 어제라 하루 차이에 불과하지만 감회가 새롭다. 증도대교에 들어서니 물이 빠진 시간이라 그런지 넓은 갯벌이 드러나 있다. 이제의 증도의 갯벌도 안녕이다. 증도와 사옥도 사이의 바다는 잔잔하게 흐르는 강처럼 평화롭다. 증도대교를 넘어온 길은 고가도로 옆으로 내려가서 길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