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두리 해수욕장에 도착한 서해랑길 70코스는 신두리 사구 센터를 지나 신두리 해안 사구 지역으로 진입한다. 태안 해안 국립공원 지역을 걷는다. 해안 사구를 지난 이후에는 해안으로 이어진 작은 산들을 따라 이어지는 숲길을 걸어서 먼동 전망대에 닿는다. 신두리 해수욕장 끝자락에 이르면 신두리 사구 센터를 만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곳으로 주차장도 넓도 벤치도 넉넉하게 있어서 쉬어가기 좋은 곳이었다. 바람은 세지만 벤치에 앉아서 이른 점심을 먹으며 넉넉한 휴식 시간을 가졌다. 광활한 모래 해변에서 이제는 기름 유출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지만 기름 뒤범벅이 되었을 그때를 생각하면 아찔하다. 세찬 바람에도 국내 최대 규모라는 신두리 해안 사구를 찾은 사람이 많았다. 신두리 해안 사구 지역은 태안 해안..
10월의 서해랑길 걷기는 매주 이어지고 있다. 태안군청에 차를 세워두고 시내버스로 이동하여 걷기 여행을 할 수 있어 부담이 덜한 까닭인지도 모르겠다. 개목항, 의항 포구에서 시작하는 서해랑길 70코스는 해안선을 따라서 남쪽으로 돌아서 신두리 해안 사구로 향하는 길이다. 원래의 서해랑길은 의항각지 저수지를 지나면 수망산 자락의 숲길을 넘어가지만 우리는 물이 빠진 상태라 그냥 산 아래의 해안선을 따라서 내려갔다. 간척지 중간에 있는 웅도를 지나면서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에서 소근리로 넘어간다. 소근리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는 길은 다시 간척지 둑방길을 지나면서 원북면 신두리로 진입하여 신두리 해수욕장의 신두 해변길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한다. 이른 아침 의항포구의 하늘은 구름이 가득하다. 다행히 비는 ..
태안군 소원면의 해안을 걸었던 이번 여정도 끝을 향해서 가고 있다. 의항 해수욕장에서 큰재산과 태배산을 돌아서 의항 포구에 닿는 여정이 남았다. 태안 해안 국립공원 경계를 따라 태배전망대까지 올라간다. 개미허리 같은 지형을 가져서 의항, 개목항이라 부르는 곳이다. 의항 해수욕장을 지난 길은 구름포 방면으로 북쪽으로 이동하다가 갈림길에서 구름포로 가지 않고 우측의 큰재산(117m) 임도로 진입한다. 큰재산과 태배산 자락의 임도에 태배길이라는 이름을 붙여 놓았는데, 이태백이 도취하여 걸을 만큼 아름다운 풍광을 가진 곳이라는 해설이다. 조형물과 시구가 조금은 어설픈 모양새다. 숲을 깎아서 자동차가 다닐 수 있도록 임도를 넓히고 전봇대를 박아 전기를 끌어오는 곳을 풍광이 아름다운 곳이라 광고하기에는 한계가 있..
천리포를 지나는 서해랑길 69코스는 태안 해안 국립공원 지역 안에서 천리포 1길 마을길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한다. 백리포 해안 위쪽을 걸으며 숭의로 도로를 만나면 얼마간 도로를 따라 걷다가 수망산(140m) 자락으로 들어가고 산길을 내려오면 다시 숭의로 도로를 만나면서 의항해수욕장에 닿는다. 길은 천리포 해변으로 나가지 않고 시내버스가 다니는 마을길을 통해서 북쪽으로 이동한다. 천리포 종점을 출발한 시내버스가 태안 시내를 향해서 나가고 있다. 펜션들이 즐비했던 천리포 마을을 빠져나온 길은 천리포 1길 마을길을 따라서 북동쪽으로 마을을 빠져나간다. 만리포와 천리포는 2007년 있었던 기름 유출 사고의 직격탄을 맞았던 곳인데 20여 년이 흐르고 있는 지금은 그 흔적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천리포 마을을..
만리포에서 하룻밤 휴식을 취한 우리는 만리포 해변을 시작으로 69코스 걷기를 이어간다.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에서 의항리로 넘어간다. 해변 끝자락에 이르면 163미터의 국사봉을 넘어 천리포로 향한다. 국립공원 지역이므로 좋은 숲길을 걷는 코스이다. 길은 천리포 해변으로 나가지는 않고 해변 뒤의 마을길을 통해서 북쪽으로 이동한다. 만리포 해수욕장 중앙에 있는 워터 스크린을 보면서 여정을 시작한다. 한 방송사에서 시보 방송을 내보낼 때 카메라는 이 워터 스크린을 관통해서 바다를 조망하는 방식이었다. 만리포를 방문하기 전에는 저게 무엇일까? 하는 호기심만 있었는데 알고 보니 워터 스크린이었던 것이다. 낮에는 그냥 조형물일 뿐이지만 해가 지면 그 진가를 제대로 발휘하는 존재이다. 워터 스크린 안에서 바다로 잠기는..
태안 해안 국립공원 지역인 파도리 해수욕장을 지난 길은 93미터의 망미산을 넘는다. 망미산을 내려온 이후 어은돌 해변부터는 국립공원 지역을 벗어나지만 계속 북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국립공원 경계와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 또는 경계선을 오락가락하며 함께 간다. 어은돌 해변 이후로 모항저수지와 모항항구를 차례로 지나고 모항의 북쪽 산을 돌아가면 만리포 해변에 닿는다. 원래의 서해랑길에서 벗어나 해안을 걸으며 파도리 해변의 아름다움을 만끽한 우리는 해변 끝자락에서 서해랑길로 올라가서 여정을 이어간다. 높지 않은 망미산 산책로 걷기를 시작한다. 국립공원 구간이라 그런가? 아니면 그냥 느낌인지 몰라도 탐방로가 깔끔하다. 탐방로 좌측으로는 서해 바다를 보고, 숲 위로는 새파란 가을 하늘을 보면서 상쾌한 숲길을 걷는..
금소만의 길목에 위치한 통개항까지 내려온 서해랑길은 남서쪽으로 뒤끈이산 아래 자락을 따라 내려가서 아치내에 이른다. 아치내 캠핑장을 지나면 뾰족산 파도리 산책로를 걷는다. 태안 해안 국립공원 지역의 경계를 걸으면서 북쪽으로 이동한다. 70여 미터의 높지 않은 뾰족산을 내려오면 파도리 마을길을 거쳐서 파도리 해수욕장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한다. 통개 해변을 나와서 남서쪽으로 아치내를 향해서 가는 길, 우리는 통개 입구 버스 정류장에서 잠시 쉬어 가기로 했다. 서해랑길에서는 이런 한적한 곳에서 만나는 버스 정류장이 좋은 쉼터가 되곤 한다. 정류장에서는 버스 승차 알림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었다. 처음 보는 시스템이었는데 버튼을 누르면 불이 켜져서 멀리서 오는 버스가 저곳에 버스에 탈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 수 ..
쉼 없이 겨울을 향해 빠르게 달려가는 가을을 만끽하러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도 태안으로 향한다. 소근만 바다 위쪽의 소원면 해안을 걸어 만리포 해수욕장까지 걷는 여정이다. 송현마을에서 시작하는 68코스는 서쪽으로 이동하며 간척지의 둑방길을 걷는다. 남쪽으로 화도를 만나는 구간이다. 어은돌 마을에 이르면 남쪽으로 방향을 잡아 파도 2리 해안길을 걷어 통개해변에 닿는다. 태안 터미널에서 소원면 방면의 시내버스를 타면 68코스의 시작점인 송현마을 갈 수 있다. 송현 마을로 가는 버스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 많은 편이다. 송현마을에서 버스를 내리면 32번 국도 서해로를 건너서 송현마을로 들어가며 여정을 시작한다. 68코스는 22Km가 넘는 긴 코스 이므로 컨디션 조절을 잘해야 한다. 어은돌 해변까지는 서쪽으로 ..
서해랑길 63코스 천북굴단지에서 시작했던 이번 여행도 끝이 나고 있다. 자염 복원으로 유명한 낭금리 마을을 지난 길은 해안길을 따라서 태안군 근흥면 마금리에서 소원면 법산리로 넘어간다. 금소만 바다를 보며 법산리 해안길을 돌아가는 서해랑길은 법산리에서 송현리로 진입하면서 32번 국도를 만나고 국도변에 있는 송현마을 버스정류장에서 여정을 마무리한다. 낭금마을 언덕을 넘어온 길은 해안길을 따라 북쪽으로 방향을 잡는다. 보슬보슬 내리는 비가 겨울을 재촉하는 듯하다. 보슬비가 내리는 흐린 날씨 가운데 걷는 가을 여행길에 운치가 더해진다. 창밖으로 내리는 가을비를 바라보며 따뜻한 커피 한잔 하는 분위기를 상상해 보지만 지금은 그런 분위기에 취할 때가 아니다. 67코스 종점까지 약 8Km를 더 가야 한다. 정오를 ..
도황리 앞바다에 있는 둑길을 따라서 직선으로 바다를 건너가서 마금리로 넘어가고자 했던 무모한 시도는 철저히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다시 원래의 경로로 돌아와서 해안 둑방길을 따라 걷는다. 근흥면 도황리에서 용신리로 넘어가고 오리목길 인근에서 근흥로 도로로 나왔다가 용봉산에 오르면서 도로를 벗어난다. 70여 미터의 용봉산을 내려오면 마금 3리의 광활한 염전 지대를 가로지르고 낭금리 마을로 넘어간다. 바다를 건너서 마금리로 직접 넘어가고자 했던 무모한 시도가 실패로 끝난 후 원래의 도황리 해안가로 돌아오니 게 한 마리가 선착장 위에서 대결 자세를 갖춘다. 잠깐의 무모한 호기심 때문에 시간과 힘을 낭비한 것도 서러운데 작은 게 한 마리까지 대결하자고 달려드니 땅이 꺼질 것 같은 한숨이 절로 쏟아진다. ㅠㅠ. ..
오래 묵혀 놓았던 서해랑길 여행기를 다시 쓰기 시작한다. 여행 다녀온지 거의 5개월 만이다. 그때의 기억을 더듬으며 추억을 곱씹어 본다. 연포 해수욕장에서 하룻밤 묵었던 우리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연포항 뒷산의 임도를 걷는 것으로 여정을 시작한다. 임도에서 내려오면 산 아래를 휘감아도는 도황리 길을 걸으며 도황 2리 마을회관을 지나고, 도황길 마을길을 통해서 근흥로 도로에 합류한다. 근흥로 도로를 따라 걷던 길은 도황 경로당 방면으로 좌회전하며 해안으로 나가는데, 해안길을 쭉 걸으면 될 일을 필자와 옆지기는 혹시 노두길을 통해서 바다를 건너갈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호기심에 시간과 힘만 낭비하고 말았다. 물론 얻은 것도 있지만...... 연포해수욕장 주차장에서 67코스 걷기를 시작한다. 구불구불한 태안군..
2024년11월 말과 2025년 1월 초까지 이어진 두번의 대만 걷기 여행을 총정리한다. 한번은계속 화창한 날씨가 이어지고 다른 한번은 계속 흐린 날씨 속에 있었지만 나라 나라에 비하여 만족도가 높았던 여행이었다. 편리한 대중 교통, 저렴한 음식 물가도 좋았지만 자유 여행객을 위한 럭키 드로우는 여행의 재미를 더해 주었다. 과연 나는 대만을 다시 갈까? ■ 대만 1차 여행대만 1차 여행기 - 타이베이 도착과 타이베이 대종주 시작대만 1차 여행기 - 타이베이 대종주 1코스 궈화(國華) 골프 클럽까지대만 1차 여행기 - 타이베이 대종주 1코스 칭수이궁(清水宮)까지대만 1차 여행기 - 타이베이 대종주 1코스 얼지핑(二子坪)까지대만 1차 여행기 - 스린야시장(士林夜市)대만 1차 여행기 - 시티투어 버스와 스..
대만 2차 여행의 마지막날 여정은 다안 삼림 공원, 주말 꽃시장과 옥시장을 지나서 이제 국립 타이베이 과학기술 대학교를 돌아서 중앙 예문 공원(中央藝文公園)을 거쳐서 타이베이 메인역으로 향한다. 1백 년의 역사를 가진 타이베이 과기대의 입구에는 교훈 성박정근(誠樸精勤)을 크게 새겨 놓았다. 성실함, 순수함, 우수함, 근면함을 의미한다고 한다. 학교 인근의 거리는 학교의 역사만큼이나 울창한 가로수가 인상적인 곳이다. 타이베이 과기대 북쪽의 골목길을 통해서 방향을 돌려 이제 타이베이 메인역을 향해서 서쪽으로 이동한다. 대만 여행의 마지막 점심 식사는 즉석 라면집으로 정했다. 한국에서도 남파랑길이나 서해랑길을 걸을 때 한두 번 방문했던 경험을 생각하면서 대만의 즉석 라면집은 어떨까? 하는 호기심이 크게 작용했..
대만 2차 여행의 마지막 날이다. 오늘 여정의 시작은 다안 삼림 공원(大安森林公園)이다. 북쪽으로 두서너 블록을 올라가면 여기보다는 훨씬 작지만 다안 공원이라는 곳도 있어서 다안 삼림 공원이라 구별해서 부르는 모양이다. 지난 여행 때도 방문했던 곳인데 다시 와도 좋다. 이곳에서 동쪽을 바라보면 멀리 101 타워도 시야에 들어온다. 도심에 있는 아주 큰 공원으로 타이베이의 센트럴파크라 불릴만한 곳이다. 원래는 숙소 근처의 스키야에서 조식을 먹고 여정을 시작할 계획이었지만 앉을자리가 없어서 포장해 왔다. 다안 삼림 공원 벤치에 앉아서 공원 풍경을 보며 아침 식사하는 느낌도 나쁘지 않다. 대만의 1월도 쌀쌀할 수 있다는 것이 약간의 문제였지만 춥다는 느낌은 아니었다. 소고기 덮밥으로 든든하게 속을 채우고 여정..
2차 대만 여행의 삼일째 날도 서서히 끝나가고 있다. 예류 지질 공원에서 남쪽으로 걸어 내려온 해안 산책길은 외목산 전망대를 지나면서 끝이 나고 지룽시 시내 구간으로 진입한다. 정면으로 거대한 석유 제품 보관 시설이 해안선을 가로막고 있다. 도로를 따라서 내륙으로 들어간다. 이곳에도 버스가 있기는 하지만 자주 있는 것이 아니어서 버스가 많은 중산 고등학교까지 시내 구간을 1.5Km 정도 걸어갈 예정이다. 무섭게 휘몰아치던 바다와 세찬 바람과도 이제 안녕이다. 정면으로 보이는 발전소의 굴뚝을 보니 바람이 세차게 부는 날 해파랑길을 걸을 때 만났던 동해의 원자력 발전소를 만났던 추억이 떠오른다. 멀리 보이는 지룽섬을 뒤로하고 내륙으로 들어간다. 거대한 석유 보관 탱크 앞을 지나 내륙으로 들어가는 길, 언덕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