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바델로 산티아고 교회(Iglesia de Santiago de Barbadelo)를 떠난 여정은 렌테(Rente) 마을, 세라(A Serra) 마을, 페나(A Pena) 마을, 페루스칼료(Peruscallo) 마을에 이릅니다. 사과나무가 우리나라 과수원에 있었다면 순례길 가로수로 심기워진 사과 나무가 가지고 있는 모습은 상상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열매는 봄에 사과 꽃따기로 이미 상당량이 솎아 졌을테니 저렇게 작은 열매들이 오밀조밀, 주렁주렁 매달려 있을 까닭이 없을 것이고 농약이 살포되면서 잎이며 열매며 벌레가 접근할 수 없어 깔끔하고 이쁜 모양 이었을 것입니다. 최근에는 과수원처럼 관리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놓아둔 상태에서 수확하는 사람들도 있기는 하지만 상업성을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죠. 바닥에..
아스페라 다리(Ponte da Áspera)를 건너 숲길로 들어온 순례길은 빌레이 마을을 향합니다. 오늘의 첫 휴식지가 될 곳입니다. 순례길의 오랜 역사 만큼이나 길가에 넘어진 커다란 나무에는 이끼가 가득입니다. 땀은 조금 나지만 이런 숲길을 걷는 기분은 정말 좋았습니다. 숲길에 들어선 순례길은 빌레이(Vilei) 마을 가는 길에 고개를 하나 넘어야 합니다. 길가에 가지런히 심어진 나무와 돌에 붙은 이끼는 마치 어르신이 아이를 타이르듯 이방인 순례자의 마음이 너무 들뜨지 않게 가라 앉혀주고 힘내라고 격려를 더해주는 듯 합니다. 남은 거리가 111.571Km. 몇킬로미터씩 성큼 성큼 줄어든 표지석을 만날때 마다 얼마나 반가운지, 시작부터 걷기가 마냥 즐거운 것만은 아닙니다. 숨을 쉬듯 걷습니다. 아찔 할 ..
잠을 편안하게 푹 잔 덕택에 이른 아침이지만 산티아고 순례길 첫날의 여정을 여유있게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7시를 바라보는 시간 숙소에서 간단하게 요기를 하고 길을 나섭니다. 쉬멍, 걸으멍 천천히 순례길의 첫날을 만끽할까 합니다. 첫날 여정이 총 길이가 22Km에 이르기 때문에 중년의 부부에게는 결코 얕볼 수 없는 거리입니다. 이국 땅에서의 첫 경험을 앞두고 설레임과 함께 긴장감도 함께 밀려 옵니다. 빠른 길로 갈 수도 있지만 이왕 이곳까지 온것 사리아 시내를 약간 둘러보는 코스를 선택합니다. 교차로에서 직진하면 짧게 가로질러 갈수도 있지만 사리아 시청과 성당등이 몰려 있는 장소를 거쳐 갑니다. 사진에서 좌측으로 걸어 갑니다. 사리아 시청 근처에 놓여 있는 재활용 수집통들. 다른곳에서는 본적인 없는 깔끔..
약 6시간에 걸친 기나긴 질주 끝에 루고(LUGO)행 기차는 드디어 저희의 산티아고 순례길 출발지인 사리아(SARRIA)에 도착했습니다. 아랍 에미리트의 아부다비와 두바이, 스페인 마드리드에 걸친 사전 걷기에 쌓인 피로는 순례길을 시작하는 도시에 들어선 설레임으로 온데 간데 없어 졌습니다. 저희가 타고온 루고행 기차에서 내린 수많은 순례인들. 시골역에 이 많은 사람들이 내렸으니 사리아 시내의 숙소는 꽉꽉차겠습니다. 대부분은 마드리드에서 기차를 탔지만 일부는 오우렌세(Ourense)에서 타기도 했습니다. 순례길을 혼자 길을 나선 사람도 일부 있었지만 친구들과 함께 온 일행들, 가족이나 친지들과 함께 온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이 사람들 중에 누군가는 순례길에서 또 만나겠지요? 역에 내리니 보슬비가 살금 살금..
마드리드 차마르틴(Madrid Chamartín)역에 올라오니 저희처럼 배낭을 메고 기차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꽤 있었습니다. 저희가 탈 기차는 13시 05분 루고(LOGO)행 기차입니다. 이 기차는 사연이 조금 있습니다. 한국에서 렌페를 통해 기차표를 예매 했는데 여행 출발하기 몇주전에 메일이 하나 날라 왔습니다. 공사 때문에 중간 구간을 버스로 이동한다는 내용이었죠. 표를 반환하고 비행기로 이동해야 하나? 하는 고민도 있었습니다. 기차를 예매 했는데 중간에 어떻게 가는지도 모르는 버스를 탄다니? 조금 황당했죠. 그렇지만 어떻게든 목적지인 사리아까지 데려다 준다니까 그냥 가기로 했습니다. 그랬더니 여행 출발 직전에 원래 일정대로 기차를 운행한다는 메일이 다시 날라 왔습니다. 다행이었죠. 그런데 기차를 타..
드디어 마드리드 걷기를 끝내고 산티아고 순례길 걷기를 위해서 사리아(SARRIA)로 이동합니다. 사리아는 산티아고 순례길 프랑스길 중에서 목적지를 110킬로미터 정도 앞둔 지점으로 100킬로 미터 이상을 걸으면 인증서를 받기 때문에 이곳에서 순례길을 걷는 사람이 많습니다. 저희는 중년의 나이도 그렇고 옆지기와 함께하는 여정이고 휴가 일정도 있기 때문에 무리하지 않기 위해서 사리아(SARRIA) 부터 걷기로 했습니다. 숙소 근처가 솔 광장이고 솔 광장에 세르카니아스(Cercanías) 역이 있기 때문에 마드리드 시내와는 이곳에서 작별이네요. 장거리 렌페 승차권을 끊으면 환승용으로 세르카니아스를 무료로 탈 수 있는 보너스가 있기 때문에 세르카니아스 전철을 타는 것이기도 합니다. 마드리드 메트로가 마름모형 로..
산 페르난도 시장을 떠나 마드리드 걷기의 마지막 코스로 라바피에스 광장과 안톤 마르틴 시장을 향해서 걷습니다. 산 페르난도 시장에서 라바피에스 광장으로 가는 길에서는 세워진지 180년이 넘어가고 있는 아파트를 만날 수 있습니다. 솜브레레테 하우스(La Corrala del sombrerete)라는 이름으로 국가 기념물로 보존하고 있다고 합니다. 19세기 노동자들의 거주 공간이었던 장소로 그들의 삶의 애환이 서려있는 장소를 그냥 부수지 않고 보존하고 있는 이 지역 사람들의 생각에 경의를 표하고 싶었습니다. 3~4층 집들이 연달아 붙어 있는 주택들 사이로 이어진 작은 길을 따라 라바피에스 광장으로 향합니다. 라바피에스 광장(Plaza de Lavapiés)은 예전에는 유대인들이 몰려 있던 곳이었는데 지금은 ..
톨레도문을 지난 마드리드 걷기는 고급 아파트들이 들어선 동네와 공원을 거쳐 산 페르난도 시장을 향합니다. 아파트 베란다에 내걸린 스페인 국기. 아마도 카탈루냐 독립 문제로 시끄러웠던 스페인의 상황을 설명하는듯 합니다. 카탈루냐기를 내걸면 독립에 찬성하는 의미이고 스페인기를 내걸면 독립에 반대한다는 의미였다고 합니다. 카탈루냐 독립 문제는 스페인에서는 아직도 현재 진행중인 이슈입니다. 예전 같으면 톨레도문 바깥인 지역이라서 그럴까요? 아파트도 깔끔하고 건물간의 간격도 있고 길도 넓직합니다. 맨션 또는 아파트를 피소(piso)라고 하는데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이 길 근처의 79제곱미터 아파트의 시세가 7억이 넘더군요. 정말 억소리나는 가격입니다. 위의 그림은 아파트 단지들 사이로 배치된 공원의 모습 입니다...
드디어 산티아고 순례길의 본 궤도에 오르는 날입니다. 마드리드 걷기 3일차이고요. 오전에는 마드리드 시내를 하고 오후에는 기차를 타고 산티아고 순례길의 시작점인 사리아로 이동합니다. 오전 8시 20분. 마드리드 시내의 골목은 지난밤의 때를 씻어 내듯 물청소가 한창이었습니다. 드문 드문 여전히 술에 취해 흔들거리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누군가는 많은 이들이 마드리드에 대한 좋은 인상을 남기기를 바라며 자신의 맡은 바 책임을 하다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커다란 물탱크와 고압 물세척 만큼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골목을 청소하는 방법이 또 있을까 싶을 정도로 소수의 인원만으로 골목을 정말 깔끔하게 청소하면 지나갑니다. 티르소 데 몰리나 광장과 카스코로 광장을 거쳐 톨레도문까지 걸으면서 마드리드 골목 골목을 누비는 여정..
레이나 소피아 미술관 관람을 끝내고 숙소로 돌아가는 길은 야트막한 언덕길인 산타 이사벨 길(Calle de Santa Isabel)을 따라 올라갑니다. 산타 이사벨 길의 시작점에는 산타 이사벨 왕립 수도원(Real Monasterio de Santa Isabel)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좌측에 있는 건물로 건물은 17세기에 세워진 것입니다. 두 기관이 있는데 여학교(Casa del Recogimiento de Santa Isabel)와 수녀원(convento de clausura de monjas agustinas recoletas)이 자리하고 있다고 합니다. 밤이면 양쪽으로 마주 난 잎들이 포개진다고 해서 합환목(合歡木), 야합수(夜合樹)라고도 부르는 콩과의 자귀나무입니다. 콩과 식물답게 ..
모야노 거리 또는 모야노 언덕에 있는 헌책방 거리를 지나서 저녁이면 무료로 입장할 수 있는 레이나 소피아 미술관을 향합니다. 지도에서 보듯이 아토차역 건너편에 있기 때문에 찾기도 어렵지 않습니다. 낙서들과 함께있는 레이나 소피아 미술관의 입구입니다. 국립 소피아 왕비 예술센터(Museo Nacional Centro de Arte Reina Sofía, http://www.museoreinasofia.es/en)는 병원이었던 건물로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 모나리자가 있다면 마드리드 레이나 소피아 미술관에는 2층에 피카소의 게르니카가 있습니다. 파리의 퐁피두 센터처럼 20세기 및 현대 미술 관련 미술품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소피아 미술관 앞은 버스 정류장이 있는 대로변으로 아토차역 건너편인 만큼 유동 인구가 ..
산 안토니오 데 라 플로리다 성당(Ermita de San Antonio de la Florida, Panteón de Goya)과 주변을 둘러보고 프린시페 피오(Príncipe Pío)역에 도착하면 국립 소피아 왕비 예술센터의 저녁 무료 관람을 위해서 아토차(Atocha)역까지 통근 전철인 세르카니아스를 타고 이동합니다. 세르카니아스(Cercanías)는 마드리드 시내와 외곽을 이어주는 메트로와 기차의 중간 레벨 정도입니다. 우리나라도 승객이 많은 주요 기차역에는 대형 쇼핑 센터와 영화관이 함께 있듯이 프린시페 피오(Príncipe Pío)역도 영화관, 음식점, 마트, 쇼핑센터 등이 몰려 있었습니다. 저희는 시간이 그렇고 맘에 드는 음식 메뉴도 눈에 들어오질 않아서 무료 화장실만 들렀지만 이곳 사람들에..
캄포 델 모로(Campo del Moro) 정원을 나서면 산 안토니오 데 라 플로리다 성당(Ermita de San Antonio de la Florida, Panteón de Goya)으로 향합니다. 플로리다 길(Paseo de la Florida)을 따라 쭉 올라가면 만날 수 있습니다. 교차로에는 1995년 콘크리트와 화강암으로 복원된 산 비센테 문(La Puerta de San Vicente)이 위치해 있습니다. 옛날에는 마드리드로 통하는 문 중의 하나로 문의 역사는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현재 위치에 서 있는 것은 복원된 것이라 합니다. 우리나라의 숭례문이 화재후 복원 과정을 거치면서 국보 1호의 가치에 대한 논란이 있었던 것처럼 문화재는 잘 보존되어야 그 가치를 가지게 마련입니다. 많은 돈..
공원 벤치에서 넉넉한 쉼을 가졌던 비스티야스 공원과 아테나스 공원을 지나면 마드리드 왕궁과 알무데나 대성당의 서쪽에서 넓직한 녹지를 제공하고 있는 캄포 델 모로(Campo del Moro) 정원으로 향합니다. 아테나스 공원을 지나서 대로를 따라 캄포 델 모로 정원의 입구로 걸어가는 길은 위의 그림과 같이 공원의 울타리를 따라서 걷습니다. 높다란 나무들도 함께하는 길입니다. 길에서 만난 독특한 휴지통입니다. 일반 쓰레기 뿐만아니라 측면에는 반려견의 뒷처리를 위한 구멍이 있고 상단에는 담뱃재를 털수 있도록 배려한 정말 친절한 쓰레기통입니다. 홍콩 산책로에서 반려견 뒷처리를 위한 작은 공간을 마련해 둔것을 본적은 있지만 쓰레기통에 개똥을 처리하는 공간이 있는 것은 처음 봅니다. 하긴 우리나라도 애견인이 늘면서..
알무데나 대성당에 이어진 여정은 성당 남쪽으로 잠시 돌아서 캄포 델 모로(Campo del Moro) 정원을 들러 산 안토니오 데 라 플로리다 성당까지 강을 따라 북쪽으로 쭉 걷는 것으로 캄포 델 모로 정원을 가기 전에 마드리드의 작은 공원들을 거쳐서 갑니다. 마드리드 남쪽에서 마드리드 왕궁과 알무데나 대성당으로 이어지는 바일렌 거리(Calle de Bailén)는 상당한 높이를 가진 세고비아 다리(Viaducto de Segovia)를 통해서 남북이 연결 됩니다. 세고비아 다리 위에서 바일렌 거리만을 바라 본다면 다리 양쪽으로 유리벽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곳에 다리가 있는지 모를 정도이지만 아래에서 보면 최대 높이가 23미터에 이를 정도를 상당히 높은 다리입니다. 1874년에 처음 다리가 세워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