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타 산장(Refuge Elisabetta, 2,197m)에서의 중요한(?) 용무를 끝낸 옆지기와 저는 서둘러서 TMB 걷기 4일 차를 마무리하기 위한 길을 나섭니다. 쿠르메이유(Courmayeur)까지 계속 걷는 것이 아니라 라 비자이(La visaille)에서 버스를 타고 쿠르메이유까지 이동할 예정인데 막차가 19:40이라 버스 시간은 여유가 있지만 한 시간에 한대인 버스 시간에 맞추어 숙소에서 빨리 쉬고 싶은 마음에 조급 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엘리자베타 산장에서 미아지 호수까지 가는 길도 위의 사진처럼 산장 근처에서의 내리막 길을 벗어나면 평탄한 계곡 지대의 도로를 걷습니다. 자동차가 다닐 수 있는 널찍한 길을 걷는데 경사길을 보완하느라 열심인 공사 차량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TMB 걷기 4일 차는 이제 완만한 내리막 길을 여유 있게 내려갑니다. 위의 지도에서 보는 것처럼 양쪽에 높은 봉우리들을 두고 계곡을 따라 내려갑니다. 라 카제르메따 산장(Rifugio La Casermetta, 2,365m)을 떠날 때는 의도치 않게 한 무리의 고등학생들과 길을 함께 걷게 되었습니다. 교사로 보이는 인솔자가 뒤를 따라가고 산악 가이드로 보이는 두어 명의 여성이 이 그룹을 이끌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극기 훈련 같은 것을 다녀가는 모양인데 중간에 한두 명이 넘어지거나, 처지는 것쯤은 대수롭지 않게 길을 이끌고 가더군요. 터프한 산악 가이드였습니다. 우리 아이들도 이렇게 산과 친하고 과잉보호가 아니라 나름의 강한 삶을 개척하도록 키우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했습니다. 프랑스, 이..
클래식 TMB경로가 아닌 GR5 경로 중에 있는 로베르 블랑 산장을 출발하여 프랑스-이탈리아 국경인 세이뉴 고개를 지나서 이탈리아 쿠르메이유까지 이동하는 TMB 4일 차 걷기는 세이뉴 고개를 앞둔 지점까지 왔으니 큰 고비는 넘긴 것입니다. 14Km가 넘는 걷기 일정 중에서 눈길과 암벽 타기, 쇠줄 타기가 있었던 초반 4Km의 난 코스를 지나왔기 때문에 남은 거리가 10Km가 넘기는 하지만 완만한 내리막 길이기 때문에 마음에 부담은 없는 길입니다. 쇠줄을 붙잡으면서 절벽을 타고 오르면 완만한 내리막 아래로 멀리 세이뉴 고개가 보입니다. 저희 TMB 걷기 일정중에는 계속 날씨가 좋았는데 오늘은 조금 흐린 지 아침에는 눈이 내렸고 세이뉴 고개에 이르니 강한 바람과 함께 안개가 자욱합니다. 아무래도 고개가 구름..
글레이셔 빙하(Le glacier des Glaciers) 아래 부분을 가로지르는 과정에서 망가진 출렁다리 덕택에 없어진 길을 등산화를 물에 적셔가며 겨우 건넜는데 TMB 걷기 4일 차는 이제 산등성이를 하나 넘고 계곡을 가로지러 다시 산등성이를 하나 오르면 위험한 구간은 완전히 벗어나서 세이뉴 고개에서 클래식 TMB 경로와 합류하게 됩니다. 길 없는 계곡을 뚫고 지나오니 드디어 쇠줄을 붙잡고 지나야 하는 구간이 나타납니다. 무거운 배낭을 뒤에 매달고 쇠줄을 타는 것은 보기와 달리 긴장감 가득이었습니다. 다행히 손아귀의 힘은 누구 못지않은 옆지기도 차분하게 잘 따라 오릅니다. 힘들기는 하지만 가파른데 아무런 장치가 없는 구간보다는 나았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가파른 산비탈을 아슬아슬하게 가로지르더라도 길의..
로베르 브랑 산장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이탈리아 국경인 세이뉴 고개를 넘어 이탈리아 쿠르메이유까지 가는 TMB 걷기 4일 차 일정은 한 여름밤에 내린 눈으로 시작부터 난관이었지만 일단 부딪혀 보자! 하는 각오로 걷다 보니 경로의 상당 부분을 지나올 수 있었습니다. 천사 같은 분의 도움도 있었지요. 저희 앞에서 길잡이처럼 앞서 가시던 팀도 시야에서 사라진 지 오래고 노란색 두 줄짜리 표식을 따라서 글레이셔 빙하 하단 지역을 통과하는데 폭포 앞에서 표식을 더 이상 찾을 수 없었습니다. 고개를 들어 등산로 흔적을 찾아보니 폭포 건너편으로 바위에 표시된 두 줄짜리 표식과 망가진 출렁다리만 있을 뿐이었습니다. 아마도 눈사태로 다리가 완전히 망가진 모양이었습니다. 문제는 도통 폭포를 넘어설 길을 찾을 수가 없다는 것..
죽을 고비를 넘겨가며 도착했던 로베르 블랑 산장(Refuge Robert Blanc, 2,750m)에서의 하룻밤은 감사와 3일 연속 산장에서 묵는 강행군의 피곤함 속에 잠을 잔 건지, 그냥 쓰러진 것인지 모를 정도였습니다. 물을 갈아먹어서인지, 체력 소모에 비해서 영양 섭취가 부실해서였는지 속도 좋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산장에서의 하룻밤을 보내고 나면 어느새인가 걸을 힘이 보충되는 것은 그저 신기할 정도였습니다. 프랑스-이탈리아 국경인 세이뉴 고개(Col de la Seigne, 2,520m)까지는 약간의 내리막과 오르막이 있기는 하지만 거의 비슷한 고도입니다. 북쪽으로 글레이셔 침봉(Glaciers, 3816m)을 보면서 글레이셔 빙하(Le glacier des Glaciers)의 아래 부분을 가로..
TMB 3일 차 걷기는 정말로 파란만장했습니다. 눈 비탈에서 굴러 떨어지다가 겨우 목숨을 부지한 행운으로 손등이 다치고 무릎이 긁힌 것은 로베르 블랑 산장에 도착한 이상 영광의 상처일 뿐입니다. 엉덩방아로 넘어지고 긁히고 스틱이 구부러 지는 것은 그저 하찮은 일일 뿐입니다. 정식 TMB길이 아니기에 등산로 표식을 찾아 길을 헤매며 요새와 같은 로베르 블랑 산장(Refuge Robert Blanc, 2,750m)에 도착할 수 있었던 것만으로도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저녁 8시가 넘는 시간에 산장에 도착했으니 산장의 저녁 식사는 모두 끝난 시각이었지만 젊은 산장 지기는 산장 생활에 필요한 것을 하나하나 꼼꼼하게 설명해 주었습니다. 직전 산장이었던 본옴므 산장에 비해면 작은 산장이기에 등산화와 스..
클래식 TMB가 아닌 경로를 10Km 내외로 걸었던 TMB 걷기 3일 차도 이제 마무리되어 갑니다. 몽 통뒤(Mont Tondu, 3,196m) 자락을 넘어서 글레이셔봉(Glaciers, 3,816m) 자락에 위치한 로베르 블랑 산장(Refuge Robert Blanc)에 도착합니다. 체력이 달리는지 이제는 백보 걷고 잠시 쉬고, 백보 걷고 잠시 쉬는 거북이 걸음이 이어집니다. 벨라발 계곡에 있는 아주 작은 호수를 지나 몽 통뒤 산자락을 약 백여 미터 완만하게 오르면 잠시 동안 산허리를 걷습니다. 위의 산허리에서 바라보는 건너편 방향의 모습입니다. 파란 하늘, 흰 구름, 검은 바위산과 하얀 잔설, 초록빛 들판까지 어떤 곳에도 사람의 흔적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태초의 지구를 바라보는 듯합니다. 드문드문 ..
클래식 TMB가 아닌 경로를 걷고 있는 TMB 걷기 3일 차는 두려움과 놀라움과 감격이 이어지는 길입니다. 푸흐 북쪽 봉우리(Tete Nord Des Fours, 2,756m)를 지나서 벨라발 봉우리(Têtes des Bellaval)를 앞에 두고 산 허리를 걷다가 벨라발 봉우리를 지나서 산허리를 따라 벨라발 계곡을 지납니다. 푸흐 북쪽 봉우리(Tete Nord Des Fours, 2,756m)를 지나면서 발므 산장 쪽의 계곡을 바라본 풍경입니다. 산등성이에서 깎여나간 돌과 바위들이 산 무더기입니다. 눈 앞에서 길을 탁 막아 버린 바위 덩어리. 이걸 어떻게 넘으라고! 몇 걸음 앞에서 보면 난감하지만, 또 막상 바위 앞에서 길을 찾아보면 사람들이 지나간 갈 만한 길들이 있습니다. 바위를 넘으니 돌길 너머로..
TMB 3일 차 걷기를 시작합니다. 모험과 스릴, 공포와 기도, 절망과 기쁨이 함께 했던 경로입니다. 클래식한 TMB 경로가 아니다 보니 TMB 표지판도 없고 미리 준비한 GPS 경로가 담긴 스마트폰 지도와 돌무더기나 바위에 노란색 페인트로 칠해진 두 줄짜리 표식을 따라갈 수밖에 없는 경로입니다. 한 가지 더 앞서간 이들의 발자국도 있기는 합니다. 본옴므 산장(Refuge de La Croix du Bonhomme, 2,477m)은 여러 갈래의 길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산장으로 저희처럼 TMB를 역 시계 방향으로 걷는 분들의 경우 3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로는 산장에서 바로 본옴므 고개(Col de La Croix du Bonhomme)를 통해 하산하는 방법으로 이 산장에서 머물지 않는 ..
드디어 TMB 2일 차 걷기의 마지막 단계인 본옴므 고개에서 본옴므 산장까지 가는 길이 남았습니다. 지도에서 보듯이 경사는 급하지 않지만 본옴므 교차로까지 산허리를 고도를 높이며 걷고, 교차로에서 산장까지는 내리막을 약간만 걸으면 됩니다. 길은 어렵지 않은데 날이 쌀쌀한 데다가 몸이 지쳐서 상당히 힘들었던 구간입니다. 본옴므 고개에서 바라본 풍경입니다. 세찬 바람과 함께 엄숙함이 분위기를 지배합니다. 날씨도 춥고 바람도 세차서 몇 사람이 들어가서 쉴 수 있는 대피소에서 잠시 휴식을 취했습니다. 대피소는 의자만 있고 별다른 시설이나 장치는 없는 그야말로 오늘 같은 날을 위한 장소였습니다. 다행히 사람들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만의 휴식처로 잠시 동안 머물 수 있었습니다. 나중에 한 청년이 들어왔는데, 공간이 ..
17Km가 넘는 거리를 주파해야 하는 TMB 걷기 2일 차의 마지막 고비입니다. 고도 1,210m의 노트르담 예배당에서 시작한 오르막을 이어가서 2,329m의 본옴므 고개(Col du Bonhomme)에 도착하면 큰 고비는 넘긴 것입니다. 조베 평원에서의 쉼을 뒤로하고 다시 오르막을 오릅니다. 신발을 벗고 조베 호수에서 얼음 계곡물에 살짝살짝 발을 담그다 보니 산 그림자가 햇빛을 가려 금방 쌀쌀한 기운이 밀려옵니다. 오후 2시 10분이 지나는 시각, 10여분의 휴식을 접고 우측의 TMB 경로 표지판을 따라 본옴므 고개를 향해 걸음을 옮깁니다. 이곳은 조베 호수로 가는 갈림길인데 좌측의 조베 호수 방향으로 가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에 그냥 따라 가면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조베 평원 위로는 양 떼들을 방목..
낭보랑 산장(Refuge de Nant Borrant, 1,459m)을 지난 TMB 2일 차 걷기는 중반 넘어서고 있습니다. 날이 맑은 만큼 이제 알프스의 강한 햇빛도 감내해야 합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숲은 없어지고 햇빛을 그대로 받아야 합니다. 나중에 보니 팔 토씨를 착용한 부분은 괜찮은데 챙이 긴 모자를 착용했어도 얼굴과 종아리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선크림 바르기 싫어하는 필자도 나중에는 챙겨 발랐습니다. 낭보랑 산장을 떠난 여정은 얼마가지 않아 "Nant du Lancher"라는 이름의 급류를 하나 지납니다. 산 꼭대기에서 내려온 이 급류 또한 봉넝강으로 합류합니다. 낭보랑 산장 이후 얼마간은 약간의 경사가 있는 길로 고도를 높이지만, 이 구간을 지나면 한동안 평탄한 오르막길, 넓은 초원길을 걷습..
트휙 산장에서부터 레 꽁따민느(Les Contamines)까지의 내리막 길과 평탄한 레 꽁따민느 시내를 걷은 다음은 오늘의 목적지인 본옴므 산장까지 이어지는 오르막 길입니다. 노트르담 예배당(Eglise de notre Dame de la Gorge, 1,210m) 앞에는 널찍한 잔디밭이 있는데 잔디밭에 놓인 야외 테이블에서 넉넉한 쉼을 갖고 이제 오르막 길에 나섭니다. 이곳은 관리를 깔끔하게 잘하고 있었습니다. 사진에 보이는 작은 지붕을 가진 공간은 쓰레기통으로, 저희가 있을 때 보니 작은 밴이 와서 쓰레기를 수거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식수도 있고 조용하고, 휴식에 참 좋은 공간이었습니다. 노트르담 예배당을 지나면 위의 지도에서 보듯이 낭보랑 산장(Refuge de Nant Borrant,..
트휙 산장에서 본옴므 산장(Refuge de La Croix du Bonhomme)까지의 16.8Km를 걷는 TMB 2일 차를 걷고 있습니다. 여정은 트휙 산장을 떠나 레 꽁따민느(Les Contamines) 시내까지 내리막 길을 내려오는 1단계를 끝내고 레 꽁따민느-몽주와 트리니티 성당 앞 벤치에서의 꿀맛 같은 휴식을 취한 다음, 평탄한 레 꽁따민느 시내를 걷는 단계에 들어섭니다. 길에는 아침 산책을 나온 주민들과 TMB 걷기에 나선 배낭족이 반반입니다. 강변에는 눈길을 사로잡는 놀이터가 있었습니다. 흙과 잔디가 조화롭게 관리되고 있는 것도 인상적이지만 이목을 끄는 것은 검정 바닥의 자전거 연습장이었습니다. 산악자전거가 유명한 동네이니만큼 어릴 적부터 저런 곳에서 연습하는가 보다 라고 생각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