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정마을 앞을 지나면서 황산면 부곡리로 들어왔던 서해랑길은 옥동제 저수지를 지나면서 옥동리로 들어서고 국내 유일의 금광인 노루목산을 보면서 옥동리 들판을 걷는다. 들판을 가로지른 길은 작은 대산 아랫 자락을 돌아서 옥동마을과 삼호마을을 지나고 옥매광산이 있는 옥매산을 돌아서 원문마을에서 여정을 마무리한다. 옥동제 저수지를 지난 길은 좌측으로 노루목산을 보면서 들판을 가로지른다. 보슬비가 내릴 때는 우산을 들고 비가 조금 그쳤다 싶으면 우산에 묻은 물기를 탈탈 털어서 배낭에 넣기를 반복한다. 그래도 끊임없이 장대비가 쏟아지는 것이 아니라서 정말 다행이었다. 간척지 논을 가로지르는 농로에서는 좌측으로는 금광인 노루목산이 멀리 정면으로는 옥이 생산되는 옥매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이곳 논에는 연을 심은 모양이다..
서해랑길 2코스 절반과 3코스를 걸어온 우리는 4코스 일부(4Km)를 더 걷기로 한다. 오가는 버스가 많은 황산면사무소 인근의 남리까지 이동하여 늦은 시간까지 운행하는 해남 읍내로 가는 버스도 타고, 내일 아침 일찍 다시 돌아오는 버스도 확보하기 위함이다. 우수영, 화원, 목포로 가는 버스들이 대부분 남리를 거쳐서 간다. 산소마을을 가로질러 시작하는 서해랑길 4코스는 대단위 태양광단지와 논 사이의 길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한다. 한자리를 떠나 호동리와 외입리를 차례로 지난다. 외입리 초월마을을 지나면 서해랑길 경로를 벗어나 국도를 가로질러 덕암삼거리에 있는 남리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고 해남 읍내로 들어가 하룻밤 휴식을 취하고 다음날 다시 남리로 돌아와 어제의 길을 이어 걷는다. 서해랑길 4코스는 산소마을을..
임도를 거쳐 화산면 가좌리로 들어온 길은 고천암 방조제를 횡단하여 고천암자연생태공원을 지난다. 방조제를 지나며 화산면을 지나 황산면 한자리로 들어간다. 한자리로 들어선 대규모의 태양광 단지를 지나서 산소마을에서 여정을 마무리한다. 가좌리로 들어온 서해랑길 3코스는 조용한 마을을 가로질러 길을 이어간다. 그런데, 한 가정집을 지나는데 처마에 걸린 메주가 동글동글한 공 모양이다. 많은 경우 사각틀에 맞추어 만들거나 전통장을 연구하는 분들은 두꺼운 원판 형태로 만드는 것을 본 적이 있고, 필자의 경우에도 작은 냄비를 틀로 해서 원형으로 만들기는 하지만 동그란 공 모양으로 메주를 만드는 것은 처음 본다. 그런데, 자료를 찾아보니 인근 황산면의 한안자 명인이 만들던 해남 동국장을 공모양의 메주로 만들었다. 인터뷰..
관동방조제에서 시작하는 서해랑길 3코스는 가좌리까지 가는 동안 관두산과 대월산 아랫자락의 임도를 걷는다. 위의 그림처럼 관두산 자락을 올라갔다가 내려와 잠시 명성리 들길을 걷지만 다시 대월산 자락의 임도를 거쳐야 한다. 두 개의 산을 지나는 과정에서 오르막과 내리막을 반복하지만 모두 고도가 1백 미터 아래로 크게 부담 가질 필요는 없다. 관동방조제를 지나면 좌회전하여 서해랑길 3코스를 시작한다. 영터정류장까지는 가지 않는다. 광동방조제가 생기기 전의 관두산 아래 바다는 관두량이라는 해협으로 고려시대에는 중국으로 가는 관문, 조선시대에는 제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했다고 한다. 관두산이라는 산 이름도 관두량에서 왔다고 한다. 관두산 위에는 진도의 여귀산과 영암의 마산과 이어지는 봉수대가 있었다고 한다. 바위..
백포만방조제를 통해서 송지천과 현산천을 차례로 건넌 서해랑길 2코스는 두모마을을 지나 백포 해안길을 걷는다. 현산면 백포리를 짧게 지나는 길이다. 백포 해안길을 지나면 화산면 안호리로 넘어가 중정마을을 거쳐 대지마을, 사포마을, 좌일마을을 거쳐서 관동방조제를 지나 여정을 마무리한다. 송암마을에서 다시 시작하는 서해랑길 2코스는 송지천 하구의 수문을 지나 백포만방조제로 들어선다. 백포만방조제는 일제강점기에 축조된 방조제이다. 서해랑길은 방조제 아래 농로를 통해서 이어간다. 지금이야 넓은 평야를 별생각 없이 걷지만 방조제를 만들 당시 맨손으로 방조제를 축조했을 선조들의 피땀을 생각하면 그 노고가 상상이 가질 않는다. 가을색이 완연한 들판 길을 걷다가 방조제 끝자락에서 방조제 위로 올라선다. 아침 바다는 밀물..
서해랑길 1코스를 끝내면 2코스의 절반 정도(8Km)를 더 걷는다. 읍내를 빠져나가 미학리를 지나 산정천을 건너 천변 둑방길을 따라 해변으로 나갔다가 우근리와 학가리의 들판을 북쪽으로 가로질러 송암마을에 이른다. 완만한 평야지대가 이어진다. 송지면사무소 옆길을 통해 읍내를 빠져나간다. 면사무소가 있는 이곳은 송지면 산정리로 이미 18세기부터 산정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고 한다. 해남에서 송지면 읍내로 오려면 산정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오랜 세월의 흔적이 남아 있는 산정리 골목길을 빠져나가 미학 2교 다리를 통해서 산정천을 건넌다. 달마산 자락에서 내려오는 물이다. 멀리 다리너머 예전에는 섬이었던 미학마을이 보이기 시작한다. 산정천을 건너면 굴다리를 통해 77번 국도 땅끝해안로를 가로질러 미학마을로 들어..
송지저수지 옆길을 통해 고개를 넘으면 송지면 송호리에서 마봉리로 들어간다. 마봉리를 지나 다시 소죽리의 작은 언덕을 넘으면 송지면사무소가 있는 읍내에서 서해랑길 1코스를 마무리하게 된다. 길을 걸으며 달마산의 풍광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송호리에서 마봉리로 넘어가면서 그리고 소죽리를 지나면서 두 개의 고개를 넘지만 1백여 미터의 높지 않은 고개이다. 송지저수지 상류 끝자락의 조릿대 숲을 지나면 수많은 나무 말뚝이 쌓여있는 작업 현장을 만나게 되는데 "잇까리"라는 생소한 단어를 만나지만 아래가 뾰족하게 깎인 나무는 남파랑길에서도 서해안 해변에서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었던 나무 모양이다. 이까리라고도 하고, 말대, 말목이라고도 부르는데 바다에 박기 쉽도록 아래를 뾰족하게 깎은 것이 특징이다. ..
송호리 해수욕장에 도착한 서해랑길 1코스는 해수욕장을 벗어나면 해안 숲길을 거쳐 땅끝황토나라테마촌을 지난다. 땅끝해안로를 오가며 송종마을을 거쳐 송지저수지를 향하여 완만한 오르막 길을 오르기 시작한다. 이국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고정식 파라솔을 보니 뜨거운 여름 태양 아래의 송호리 해수욕장이 상상된다. 동해안 어떤 해변의 파라솔은 지붕조차도 플라스틱이었는데, 이곳의 파라솔은 자연에서 온 것을 정성스레 얹어 놓았다. 뒤쪽의 솔숲도 좋지만 여름에 저 파라솔 아래서 태양을 피하고 싶다는 마음이 굴뚝같다. 나들이 나오신 분들은 각종 포토존 앞에서 인증숏을 남기기에 여념이 없으시다. 깨끗한 공중화장실과 여러 식당도 있고 편의점과 카페도 있어서 송호리 해수욕장은 쉬어가기에 좋은 곳이었다. 우리는 편의점에서 따뜻한 ..
땅끝마을에서 땅끝탑으로 이동하여 삼천리를 훌쩍 넘기는 기나긴 서행랑길을 시작한다. 시작점으로 이동도, 땅끝탑에서 송호리 해수욕장으로 가는 길도 갈두산 아랫자락으로 조성된 깔끔한 산책로를 걷는다. 이른 새벽 광주 유스퀘어 터미널에서 해남으로 가는 6시 20분 고속버스를 타니 땅끝마을을 들러 사구미로 가는 08:00 버스를 탈 수 있었다. 교통카드는 탈 때만 찍으면 된다. 고속버스에서 내려 농어촌 버스를 탈 때까지 화장실도 다녀오고 점심용 김밥도 구입할 정도로 시간 여유가 있었다. 버스는 한 시간 정도를 달려 땅끝마을에 우리를 내려다 주었다. 남파랑길을 끝내면서 만났던 땅끝마을과 땅끝 전망대 풍경이 따스한 아침 햇살과 함께 우리를 반겨준다. 땅끝마을 정류장에 내려 해변으로 이동하면서 잠시 공중 화장실에 들렀..
해파랑길을 걸을 때만 해도 남파랑길과 서해랑길을 걸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남파랑길도 그렇고 서해랑길도 걸을까 말까 망설인 결과는 "그냥 걷자"이다. 이번에는 옆지기의 적극적인 제안이 한몫했다. 해남군 땅끝마을에서 강화도 평화전망대까지 103코스(부속 코스를 포함하면 109개) 1,800Km의 거리이다. 한반도를 삼천리 금수강산이라고 하는데 삼천리가 약 1,200Km 정도이니 남파랑길도 서해랑길도 삼천리를 훌쩍 뛰어넘는다. 서해안을 많이 다녀 보았다고 하지만 걸어서 구석구석 다니는 맛은 새로움을 선사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이번 여행은 4일 일정으로 7개의 코스를 걷는 조금은 힘든 여정이 될 것 같다. 광주를 중간 기착지로 하여 이동한다. 광주 터미널에서 땅끝마을로 바로 가는 버..
송호리 임도를 지난 길은 개재봉 작은 산을 넘고 땅끝해안로 도로 위를 건너는 구름다리를 지나서 땅끝전망대에 도착하고 전망대 아래 해안으로 내려가 땅끝탑에서 남파랑길의 모든 여정을 마무리한다. 송호리 임도에서 바로 앞으로 보이는 77번 국도 땅끝해안로 방면으로 내려가 땅끝마을로 가고 싶지만 남파랑길의 남은 여정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작은 봉우리들을 오르락내리락해야 한다. 땅끝마을을 품고 있는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산야는 조림이 한창이다. 임도를 벗어난 길도 조림지로 보이는 작은 산을 오른다. 이 지역은 후박나무와 같은 활엽수를 심은 모양이다. 아담한 돌계단이 이곳이 산행길임을 알려주는 유일한 표식이다. 멀리 달마산을 뒤로하고 땅끝 전망대를 향해서 길을 이어간다. 길은 중간에 갈산입구에서 올라오는 임도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