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농사일의 끝을 잊을 정도로 일이 몰린다는 망종과 감자와 마늘을 캐는 하지도 지난 2020년 6월 말은 따가운 뙤약볕이 내리쬐면서 혹독한 여름 더위를 예고하고 있다. 최악의 여름 더위가 될 것이라는 예고들이 조금씩 현실화하는 것 같아서 더위 걱정이 스멀스멀 올라온다. 에어컨 없는 농가 주택에서의 10년 세월은 그동안 잘 넘겨 왔는데 과연 올해는 어떻게 될는지......
한낮의 땡볕은 따갑지만, 이른 아침과 저녁으로는 짧지만, 텃밭일을 하기에 무리가 없는 시원한 기온이다. 작년 겨울 서울 처갓집에 갔을 때, 장모님께서 엄중하게 부여한 임무가 하나 있었다. 신문지에 싸인 자색 당근을 내오시더니 씨앗을 받아 오라는 명령이었다. 밭을 떠난 지 오래인 자색 당근을 겨울을 나고, 봄을 지나 꽃을 피워 씨앗까지 받아야 한다니 당시에는 그 앞날이 캄캄했었다. 비닐하우스라도 있다면 하우스 한편에 당근을 묻어두고 잊을만하면 결과를 볼 수 있을 텐데 자급자족하는 작은 텃밭이 고작이니 그런 시설이 있을 리 만무했다. 아무튼 당근을 화분에 심어 두고 겨우내 베란다에서 당근이 얼지 않도록 해주었더니 줄기를 내고 심지어 꽃대도 올리는 생명력을 뽐내 주었다. 더 이상 실내에서는 무리겠다 싶어 화단에다 옮겨 심었는데 그 당근들이 별로 좋지 않은 환경 속에서도 꽃을 한창 피우고 있다.
하얀 꽃이 아름다운 자색 당근의 꽃 모습이다. 당근 꽃을 처음 만났던 기억은 제주 올레길에서 거의 방치하다시피 놀려진 당근 밭에서였는데 이렇게 나의 텃밭에서 자색 당근의 꽃을 만났다. 필자도 텃밭에 당근을 심었던 적이 있었다. 씨앗을 뿌려 놓으면 푸릇푸릇 싱싱한 줄기 끝에 홍당무를 선물로 주는 작물이었다. 예쁜 홍당무도 매력이지만 싱싱한 줄기도 인상적인 그러한 작물이었다. 그러나, 작물은 그 보관성과 쓰임새가 키우는 사람과 맞지 않으면 다시 손이 가지 않는 법. 당근 재배 첫해에는 싱싱한 줄기가 아까워서 효소도 담고, 홍당무도 나름 잘 먹기는 했지만 이후로는 심지 않았다. 그런 당근을 장모님의 명에 의해 이렇게 씨앗이 맺히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당귀를 키운지는 벌써 4년째이다. 5일장에서 당귀 모종 너 다섯 개를 사다가 심어서 독특한 향이 나는 잎을 쌈채소로 잘 먹고, 이듬해도 쌈으로 먹다가 꽃대가 나와서 맺힌 씨앗을 한 곳에 묻어 두었는데 그것이 이제 당귀 밭이 되었다. 씨앗이 겨울을 나고 다시 꽃대가 올라왔으니 4년째가 된 것이다.
당근 꽃과는 비슷한 듯하면서도 차이가 있다. 당귀는 이미 씨앗을 맺힌 곳도 있다. 꽃이 피는 모습을 꽃차례(화서)라고 하는데 당근, 당귀, 방풍나물은 모두 산형 화서(傘形花序), 우산 꽃차례라는 비슷한 모습으로 꽃을 피우는 것이다.
작년 옆지기의 아는 지인으로부터 방풍나물을 몇 뿌리 받아서 늙은 포도나무 가지 아래에 대충 심어 놓았는데, 올해는 그 방풍나물이 지역을 점령하고 주인공 행세를 하고 있다. 늙은 포도 나무는 방풍 나물 때문인지, 아니면 나이 값을 하는지 줄기도 늦게, 아주 늦게 조금 내고 겨우겨우 생존을 표시만 하고 있다. 물론 생명력이 강한 방풍 나물 덕에 나물 무침도 먹고, 방풍 나물 장아찌도 즐길 수 있었다.
줄기도 잎도 도톰한 방풍나물의 꽃은 앞서 살펴본 당근, 당귀와 역시 비슷한 듯 하지만 차이가 있다. 모양도 쓸모도 다른 식물들이 세대를 이어가기 위해 피우는 비슷한 꽃들 사이에서 신묘막측(神妙莫測)이라는 단어를 떠올려 본다.
'사는 이야기 > 사람과 자연(自然)'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창오리에게 송전선이 미치는 영향 (0) | 2023.03.02 |
---|---|
논 한마지기로 자급자족하기 - 탈망, 염수선, 온탕소독, 침종 (0) | 2021.04.19 |
깡패 참새를 어찌해야 할까? - 논 한마지기로 자급자족하기 (3) | 2020.05.26 |
잎이 터진다, 봄이 터진다 (0) | 2019.04.18 |
봄이 움트는 소리 (0) | 201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