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치 웹로그 파일처럼 파일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커지는 파일을 윈도우에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그리 녹록치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텍스트 편집기의 경우 파일을 열면 파일 내용 전체를 로딩하기 때문에 파일 크기가 큰 경우 비정상 종료되거나 로딩에 너무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그런데 이런 파일의 변화와 그 내용을 텍스트 편집기로 모니터링 한다는 것은 파일을 반복적으로 열어보는 답답한 작업의 반복입니다. 리눅스나 유닉스의 경우 파일의 끝부분만 잘라서 보는 tail 명령이 있는데 이 명령에 -f 옵션을 주어 "tail -f 파일명"으로 실행하면 해당 파일의 변화를 감지하여 파일 끝에 새롭게 추가되는 내용을 지속적으로 보여 줍니다. 이 tail 명령을 윈도우에서 실행해주는 도구가 "Ta..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파일의 내용을 전용 뷰어나 에디터가 아닌 파일이 저장된 상태 그대로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특히 텍스트 파일이 아닌 바이너리 파일을 다루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경우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파일의 내용이 의도대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바이너리 파일의 경우 해당하는 전용 뷰어나 에디터로 내용 확인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원천적인 정보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저장된 형태 그대로 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이런 필요를 채워주는 것을 헥사(Hex) 뷰어 또는 헥사 에디터등으로 부르는데 이런 도구들은 파일의 내용을 16진수 형태로 덤프(Dump)해서 사람이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문자 코드에 제한 없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위의 그..
폴더 전체를 압축하는 경우에는 윈도우 탐색기에서 팝업 메뉴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파일을 압축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폴더에서 그것도 폴더 전체가 아니라 그중의 일부 파일만 압축하는 경우에는 일일이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또한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해야 하는 작업인 경우에는 윈도우 탐색기로 파일을 선택해서 압축하는 것은 말이 되질 않습니다. 이런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 7-Zip 커맨드 라인 명령입니다. 리눅스나 유닉스에서 tar 명령으로 간편하게 압축할 수 있는 것처럼 7-Zip도 커맨드 라인 명령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커맨드 라인 명령을 활용해서 여러 폴더에 분산되어 있는 파일들을 일괄 압축할 수도 있도 배치 파일을 통해서 작업을 완전 자동화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루에 ..
간단한 화면 녹화 프로그램을 찾다가 국내에서도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화면 녹화라는 것이 시스템 자원을 엄청나게 사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애드웨어나 악성코드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은 어쩔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소스를 공개하고 있는 도구를 찾아 보았고 예전에 한번 사용한 기억이 있었던 캠스튜디오의 소스 코드를 내려받아 빌드해서 사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실제로 캠스튜디오의 경우에도 악성코드가 포함되었다는 논란이 있기도 했었습니다.(https://en.wikipedia.org/wiki/CamStudio 참조) 소스 코드는 http://sourceforge.net/p/camstudio/mercurial/ci/default/tree/CamStudio2.7/에..
스마트폰의 성능이 좋아지다 보니 스마트폰은 전문가용 DSLR 수준은 아니라도 상당 부분 디지털카메라의 영역을 잠식한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뿐만아니라 동영상의 경우에도 디지털 캠코더 수준의 산출물을 만들어 낼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해 왔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만든 영화를 제출하는 영화제가 있을 정도이니 스마트폰 동영상이 낯설지 않은 시대라는 것도 분명합니다.(올레 스마트폰 국제 영화제 http://www.ollehfilmfestival.com/ 참조)최근 약 2분 가량의 음성 없는 동영상 촬영이 필요해서 갤럭시 엣지를 사용하는 동료에게 촬영을 부탁했습니다. 1920 X 1080 해상도도 1분 48초 가량을 촬영했더니 223MB 용량이 나오더군요. 파일 확장자는 *.mp4로 전달 받았는데 화면 크기도 이렇게..
여름철 컴퓨터로 일을 하는 사람에게 더위와 습기도 짜증나게 하는 일이지만 컴퓨터가 갑자기 죽어버리는 일만큼 황당하고 짜증나는 일이 없습니다. 컴퓨터가 갑자기 죽어버리는 일이라면 많은 경우 그 원인이 정전이지만 노트북은 데스크탑과 달리 밧데리가 있어서 UPS가 없어도 갑자기 컴퓨터가 죽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최근 노트북이 풍선 바람 빠지는 소리를 내며 죽는 현상을 몇번 만나고 보니 대책을 강구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웹서핑을 통해 찾아본 대처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BIOS나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한다. - 많은 경우 이 작업은 별 영향이 없습니다.노트북 환기구를 깨끗하게 청소한다. - 오랜 시간 사용한 노트북의 팬 출구를 청소하는 것이지만 외부 청소로는 한계가 있습니다.노트북..
파일질라 서버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직접 수정하거나 파일질라 코드를 통해서 프로그래밍 스터디를 원하시는 분의 경우에는 파일질라 코드를 컴파일할 수 있는 환경을 준비하는 것이 우선이며 이러한 개발환경은 파일질라 개발팀의 선행 사례를 따르는 것이 간편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축에 대한 자료는 https://wiki.filezilla-project.org/Compiling_FileZilla_3_under_Windows 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파일질라 개발에 이클립스 CDT나 비주얼스튜디오가 사용되지 않고 MSYS 환경에서 MinGW를 사용합니다. C/C++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파일질라는 오픈 소스 도구를 통해서 간편하게 필드할 수 있습니다. ■ MSYS 환경 설치MSYS는 Minimal..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해 보았지만 처음 3D 도구를 접하면서 드는 생각은 그저 "막막함" 그 자체입니다. 마치 계란으로 바위치기 할 때의 느낌이랄까! 이럴때는 도구의 사용법부터 하나씩 하나씩 따라 하면서 각개 격파하는 방식이 좋습니다. 프로그램을 자주 접하면서 이전에 새롭게 익힌 방식을 반복해서 사용해 보고 새로운 기능을 또다시 접하다 보면 어느덧 자신의 생각을 3D 모델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날이 올것 입니다. 블렌더의 화면 구조는 크게 화면 중앙에 있는 작업창과 우측의 버튼창(Button Window)으로 구성되고 각 윈도우 타입별로 작업창 내부 좌측 상단에는 종류별 속성창(Attribute)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합니다. 작업창은 여러개로 분할하거나 합칠 수 있으며 창을 분할하거나 합치는 기능을..
파일질라를 사용해서 파일 전송을 하다보면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이 "대기열"입니다. "대기열"이란 파일질라 화면 맨 하단에 [대기 파일] 탭으로 표시하는 파일 목록을 의미합니다. 대량의 파일을 전송하고 있다면 전송중인 파일과 전송 대기중인 파일을 함께 표시합니다. 전송을 성공하면 [전송 성공] 탭으로 항목을 이동 시키고 실패한 항목은 [전송 실패] 탭으로 이동합니다.대기열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으로 팝업 메뉴를 위의 그림과 같이 동작시킬 수 있는데 "대기열 처리"와 "중지후 모두 제거"는 항목 선택과 관계 없이 대기열의 전체 항목을 대상으로 동작하는 기능입니다. "대기열 처리"는 아직 전송을 시작하지 않은 항목에 대한 실제 전송을 시작시키는 명령으로 위의 그림에서는 다운로드와 업로드가 모두 있는데 방향과..
기업에서도 무료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는 파일질라(FileZilla)로 업무를 처리하다보면 편리함을 위해서 각 사이트의 접속 비밀번호를 저장하도록 하는데 편리함 이면에 컴퓨터를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면 각 사이트의 접근 권한이 쉽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 매우 주의하셔야 합니다. 보안에 주의를 기울이면서도 파일 전송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바로 북마크 기능입니다. 웹브라우저의 북마크 추가 및 관리 기능 처럼 파일질라에도 북마크 추가(Ctrl+B)와 북마크 관리(Ctrl+Shift+B) 기능이 있습니다. 웹브라우저와 큰 차이점은 웹브라우저의 북마크는 파일 구조처럼 폴더와 북마크로 구성되지만 파일질라의 경우에는 폴더구조없이 특정한 사이트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사이트별 북마..
서버를 접속한 상태에서 특정한 파일을 찾는 방법은 리눅스나 유닉스의 경우에는 "find" 명령을 통해서 이름이나 변경 일시와 같은 기준으로 해당 기준에 맞는 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윈도우의 경우에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탐색기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파일 이름, 변경일시, 크기등을 기준으로 파일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파일 전송을 다루는 FTP 프로토콜 규약에는 파일을 주고 받고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조회하는 명령은 있지만 특정 파일을 찾아내는 명령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파일질라 서버>사용자 명령어 입력 메뉴로 "help" 명령을 입력하여 FTP 서버가 지원하는 명령의 리스트를 확인한 것입니다. 파일전송 과정에서 서버에 있는 특정한 파일을 찾는 방법은 파일질라의 서버>리모트 파..
FTP(파일질라)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로컬 컴퓨터와 원격 서버 사이에 파일 전송을 하다보면 양쪽 디렉토리를 비교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서버에서 변경했는데 로컬 컴퓨터로 백업하지 않은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고 싶거나, 로컬 컴퓨터에서 테스트까지 끝냈는데 어떤 파일을 업로드하지 않았는지 헷갈리거나, 파일 크기나 최종 변경 시간으로 변경이 있었던 파일을 찾고 싶다면 파일질라의 "디렉토리 비교" 기능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파일질라 보기>디렉터리 비교 메뉴를 통해서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작업 과정에 디렉토리를 이동하면 디렉토리 비교 기능을 다시 수행해야 하므로 새로고침 F5 단축키와 함께 디렉터리 비교 Ctrl+O 단축키를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파일 목록 창에서 ..
겨울 왕국을 비롯한 수많은 3D 애니메이션과 3D 게임들의 홍수 속에서 조용히 빛을 발하는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3DS MAX, Maya, Mudbox와 같은 3D 모델링 도구입니다. 3D 모델링 자체가 워낙 CPU, GPU를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고사양의 컴퓨터를 요구하기도 하지만 이들 프로그램 또한 고가의 유료 프로그램이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고도의 작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모델러라면 이러한 전문적인 도구가 필요하겠지만 낮은 수준의 3D 모델을 제작하거나 모델링 학습이나 취미로 3D 모델링을 접한다면 기업에서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3D 모델링 도구를 추천할만 합니다. https://www.blender.org/download/에서 윈도우/맥/리눅..
파일질라(FileZilla)를 사용하는데 있어 별다른 설정없이 기본 설정 환경으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작업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설정을 알아두면 보다 효과적으로 파일 전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파일질라의 설정은 편집>설정 메뉴로 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몇가지 설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대량 파일 전송의 경우 "전송" 항목의 설정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대 동시 전송 수는 동시에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작업의 개수로 위의 그림에서 값이 2라는 것은 한 파일 서버에 대해서 동시에 2개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동시에 여러개의 파일을 전송하면 전체 작업 시간이 줄어들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장 상황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2개의 파일만 동시작업해도 시스템..
FTP 프로그램을 자주 사용하다보면 사이트 관리자에 등록해 놓은 여러 사이트 저장을 다른 컴퓨터에 옮기거나 환경 설정에서 나름 나에게 맞도록 설정해 놓은 것을 백업해 두고 싶을 경우가 있습니다. 시스템 관리등의 업무를 다른 사람에게 인계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정보를 넘겨주면 정말 간단하게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고 받는 사람 입장에서도 다시 일일이 FTP 서버를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어 좋습니다. 때로는 대량의 파일 전송중에 일단 작업을 중단했다가 나중에 다시 다운로드를 계속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럴때 사용할 수 있는 파일질라의 기능이 아래의 그림과 같이 파일 메뉴에 있는 내보내기/가져오기 기능입니다. 내보내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XML 파일로 내보내고, 가져오기는 XML을..
빠르고 간편하고 광고 없고 기업에서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FTP 프로그램, 파일질라를 만난지도 꽤 오랜 시간이 지난것 같네요. FTP 클라이언트는 인터넷 확산 초기부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의 하나였는데 최근에는 토렌트나 웹브라우저 자체의 파일전송 기능 등으로 사용 범위가 축소된것도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가정에서 조차도 소규모 파일서버, 스마트폰, 스마트 TV, 노트북, 데스크탑등 사용하는 정보통신 기기가 많아지고 이들 기기간의 대규모 파일 전송 필요가 있으므로 FTP 클라이언트의 존재 가치와 필요성은 꾸준할 것으로 보입니다.특히, 웹 호스팅이나 서버 호스팅을 통해서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관리하는 사용자에게는 성능 좋은 FTP 클라이언트는 필수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성능 좋고 신뢰..
네트워킹이 일반화된 컴퓨팅 환경에서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네트워크 상황을 점검하는 것 만큼 중요한 작업은 없습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문제될 것이 없겠지만 문제가 생겼을 때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섣불리 행동으로 옮기면 시간적 재정적 손실에 후회 막급인 경우가 허다합니다. 윈도우 콘솔창에서 네트웍 점검하기를 참조해 보시면 기본적인 네트웍 점검 요령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네트웍에 문제도 없고 한쪽 컴퓨터에서 서버를 정상적으로 가동시켰다고 했는데 다른 쪽에서 해보면 접속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부분 서버측의 방화벽을 확인해야 하는 상황입니다.방화벽 설정 확인에 앞서 해당 포트가 진짜로 닫혀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포트는 열려있지만 IP를 막을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실제 접..
속도도 빠르고, 광고 없고,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며 사용자와 폴더 관리가 용이한 파일 전송 서버(FTP 서버)로 여러가지를 사용해 보았지만 무엇보다 파일질라 서버(FileZilla Server) 입니다. 파일질라 클라이언트의 성능과 안정성에 비추어 보면 서버 또한 기대를 저버리지 않습니다. 최근의 PC는 나름의 방화벽을 가지고 있어서 외부로 나가는 것도 일부분 통제를 받지만 들어오는 연결 제한에 비하면 개방적인 편입니다. 대부분의 네트웍 공격은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웹 브라우징에 사용하는 HTTP프로토콜이나 다른 대부분의 TCP/IP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을 하지만 FTP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명령을 주고 받는 컨트롤 세션은 내부에서 ..
요즘 처럼 네트웍이 발달한 시대에도 컴퓨터 간의 파일 복사나 이동을 여전히 USB메모리나 USB 연결 방식을 통해서 해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웹하드나 크라우드 저장소를 경유해서 작업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그리 효율적이지는 않습니다. 스마트폰의 엄청난 보급이 이루어진 현 시점에서 스마트폰과 데스크탑간의 빠른 파일 전송의 필요가 더욱 높아진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기에 별도의 케이블을 꽂지 않고도 고속으로 파일 전송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고 그 중에서도 전통적인 FTP를 사용하는 것입니다.데스크탑에 간단한 FTP 서버를 띄우고 스마트폰이나 다른 기기에서 FTP클라이언트를 통해서 간단하게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다양..
작업을 하다보면 특히 규모가 큰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윈도우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에는 사양 확인이 필수 입니다. 물론 중고로 컴퓨터를 구입했거나 직장에서 새롭게 컴퓨터를 배정받은 경우에도 새롭게 사용할 컴퓨터의 사양을 알아두는 것은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꼭 필요한 일입니다. 장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일을 시켜야지 그렇지 않으면 장애를 유발하여 귀중한 자료를 잃거나 컴퓨터 복구나 이전에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할 우려가 있습니다.컴퓨터 사양 확인을 위한 전문적인 도구도 있지만 운영체제를 만든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만큼 정확하고 자세한 것은 없죠. 컴퓨터 사양 확인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msinfo32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컴퓨터 사양 정보를 텍스트 파일로 내보내기 할 수 있어..
CDex가 오디오 CD의 음원 추출기로의 충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CD를 MP3로 변환하는 무료 프로그램 CDex를 통해서 살펴보았습니다. CDex의 CD 리퍼(ripper)로서의 기본 기능 외에도 CDex에 내장되어 있는 일괄 파일 변환 기능은 여러 오디오 파일 형식 간의 변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WAV파일을 인코딩된 압축 파일(*.mp3, *.wma, *.flac...)로 변환하거나 인코딩된 압축 파일을 WAV파일로 변환하기는 위의 그림과 같이 우측의 아이콘을 사용하거나 변환 메뉴 , 또는 F11이나 F12 단축키를 사용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아래의 그림과 같이 작업은 모두 폴더 단위로 수행하고 하위 폴더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변환 대상인 원본을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디렉토리에서 대상 파일..
컴퓨터에서 이미지나 사진을 표현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첫번째는 점 또는 화소(픽셀, pixel)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웹 페이지나 디지털 사진기에서 사용하는 *.jpg, *.gif, *.bmp, *.png 등등이 모두 점으로 표현된 이미지 파일로 이런 이미지를 비트맵 이미지(bitmap) 또는 래스터 이미지(raster)라고 하고 어도비사의 포토숍(Photoshop), 오픈소스인 김프(GIMP), 윈도우의 그림판, Paint.net등의 프로그램으로 이런 비트맵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표현하는 두번째 방법은 벡터 방식으로 점, 직선, 곡선, 도형등의 객체를 활용하여 대상을 단순한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비트맵보다 정교함이 떨어질 수 있지만 이미지를 확대, 축소하면 비트맵은..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찾으면 찾기 어려운 프로그램이라서 메모겸 포스팅 합니다. 오디오 CD는 파일을 저장하는 CD나 DVD와는 성격이 다릅니다. 그래서 오디오 CD를 드라이브에 삽입한다고 해서 개별 음악에 대한 파일을 읽거나 복사 할 수는 없습니다. rip이란 영어 단어는 "찢다, 벗기다, 잡아 뜯다"등의 의미이며 CD ripping은 CD에 담겨진 음원을 파일 형태로 끄집어 내는 추출 작업을 말합니다. 음원 추출기, CD 리퍼등으로 부릅니다.CDex는 오픈소스로(GPL2 라이선스) 기업에서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오디오 CD를 MP3로 추출해줄 뿐만아니라 음원 편집시 기초 파일로 사용할 수 있는 WAV파일 형태로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 CD 추출과 관계없이 WAV 파일과..
작업을 하다보면 소스 코드나 텍스트 파일, 최근에 설정 파일의 대세를 이루는 XML파일, 다국어 체계에서 사용하는 프로퍼티 파일까지 이전 내용과 현재 내용에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간편하게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파일 간에 비교하면서 라인 단위로 손쉽게 넣고 빼고 싶을 경우가 있는데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윈머지(WinMerge)입니다. 윈머지를 사용하면 폴더 단위로 비교해서 변경된 파일을 찾아서 어느 부분이 변경되었는지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새롭게 추가된 파일과 삭제된 파일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http://sourceforge.net/p/winmerge/code/HEAD/tree/trunk/에서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직접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
예전 같으면 DIVX 플레이어나 DVD 플레이어에서 돌려보았던 동영상을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포터블 프로젝터 등 그 한계를 정의할 수 없을 정도로 넓어지고 다양해 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기기의 경우에는 지원하는 코덱의(Codec)의 한계 때문에 영상은 나오는데 음성이 들리지 않거나, 음성은 나오는데 영상은 먹통인 경우를 종종 만나기도 합니다. 어렵게 구한 동영상인데 ...... PC에서는 볼수 있지만 모바일 기기나 프로젝터에서는 볼수 없는 안타까운 상황이죠. 이런 경우 VLC 미디어 플레이어의 파일 변환 기능을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게 파일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두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https://wiki.videolan.org/How_to_Batch_Encode/ 참조) 탐..
동영상 플레이어 또는 미디어 플레이어 하면 떠오르는 이름들이 있습니다. 예전에 MP3 플레이어로 사용하던 Winamp부터 곰 플레이어, 여러 포털에서 제공하는 플레이어, 윈도우의 미디어 플레이어까지 종류도 다양할 뿐만아니라 코덱(Codec) 유무에 따라 어떤 것은 플레이가 되고 어떤것은 열수 없어 코덱을 찾아 설치해야 하는 등 사람마다 참 사연을 많이도 만들어 주었던 도구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런 혼란이 생긴 근본적인 원인을 따라가 보면 음성 또는 영상 미디어 파일의 압축 기술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파일 압축의(*.zip 등) 경우에는 원본을 100% 복원하는 무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하지만 음성이나 영상의 경우에는 원본에 얼마나 가까운 품질을 유지하는 가에 따라 파일을 크기와 실행 속도에 영..
"압축 프로그램"은 말 그대로 큰 크기의 파일을 작은 크기로 줄여주거나, 여러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하나의 파일로 압축과 동시에 하나의 파일로 묶어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요즘 세대에서 컴퓨터를 접하는 사람들은 구경도 못한 플로피 디스크 또는 디스켓을 사용 시기에는 디스켓 한장에 들어갈 수 있는 데이터 용량이 5.25인치 디스크는 1.2MB, 3.5인치 디스크는 1.44MB 이었으니 왠만한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싶다면 용량을 줄여주는 압축 프로그램은 거의 필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CD와 DVD, USB가 널리 쓰이기 전까지는(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까지) 플로피 디스크와 압축 프로그램은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필수 아이템이었습니다. 5.25인치 디스켓3.5인치 디스켓 5.25인..
압축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도 컴퓨터를 만지고 얼마되지 않아 다루게 되는, 많은 사람이 애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알집을 비롯한 우리에게 익숙한 여러 프로그램들이 개인적인 용도로는 문제가 없지만 기업이나 기타 기관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에는 익숙치 않습니다. 또한, Windows7 등의 탐색기에는 기본적으로 압축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도 지나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개인적으로 익숙한 것을 회사에서도 쓰고 싶고..... 친구들에게도 알리고 싶고.... 좋은 마케팅 소재이기는 한데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있으니 소개할까 합니다. 무료에다가 프로그램의 소스까지 공개하고 있으니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있고 해당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기술을 나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