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교토역은 1997년에 세워진 15층 건물로 이세탄 백화점을 비롯한 여러 쇼핑몰, 영화관 등이 함께 있는 형태이지만 역이 처음 생긴 때는 1877년으로 거슬러 올라 갑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인천-노량진)이 놓여진 것이 1899년이니까 딱 20년전이네요. 일본을 비롯한 열강의 침탈이 그 목적이었죠. ㅠㅠ 교토역 앞 광장에는 버스 정류장에 자리하고 있어서 버스로 이동하는 사람들이 간편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광장 아래로는 지하에 쇼핑몰과 식당가들이 자리하고 있고 지하로 길건너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지하로 길건너로 이동할 수 있지만 지상으로도 횡단보도가 잘 되어 있어 편리했습니다. 교토역에서는 신칸센으로 오사카 뿐만아니라 나고야나 도쿄로 이동할 수 있고, 공항철도, 전철등..
이번 일본 교토 여행의 숙소는 교토역에서 멀지 않은 재패닝 호텔 하코엔(Japaning Hotel Hakkoen, ジャパニングホテル 八宏園) 이었습니다. 무인 방식으로 운영하는 곳이라 처음 접하는 체크인 방식이 조금 생소하기는 했지만 태블릿을 이용한 체크인 아이디어가 신선했고, 짐을 미리 받아 주는 서비스도 좋았고, 비싸지 않은 가격에 왠만한 펜션 수준의 부엌과 화장실, 샤워실등 나름 만족도가 있었던 숙소였습니다. 체크인이 오후 4시 부터 이기 때문에 오전에 도착한 저희는 우선 호텔 사무실을 방문해서 짐을 맡겨두고 교토 1일차 걷기를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사무실은 교토역 큰길 건너편 모서리에 있는 빌딩으로 지하도 바로 앞이기도 하고 큰길을 신호등을 통해 건너서 가도 됩니다. 빌딩 1층의 모습입니다. 메일..
간사이 공항 2 터미널에서 무료 셔틀을 타고 1 터미널에 도착한 다음에는 기차역 표지판을 따라 이동합니다. 한국에서 1인당 1,600엔으로 미리 구매한 하루카(HARUKA) 자유석 티켓을 가지고 있다보니 티켓을 끊을 필요가 없어 편리했습니다. 한국에서 가져온 사각형 모양의 실물 티켓을 개찰구에 넣고 들어 가면 됩니다. 신오사카와 교토행 열차가 4번 플랫폼에서 출발한다는 표시가 있으므로 3, 4번 플랫폼 쪽의 개찰구로 가면 됩니다. 개찰구를 통과하면 위의 그림처럼 티켓에 작은 구멍이 뚫립니다. 신오사카와 교토 방면으로 출발하는 4번 플랫폼 입니다. 특급 열차이지만 우리나라 지하철 플랫폼과 비슷한 형태라서 특이할 것은 없었습니다. 플랫폼에 도착하면 자유석 차량인 4호~6호차 앞에 줄을 섭니다. 위의 그림을 ..
드디어 일본 걷기 여행을 출발합니다. 역사적, 정치적 배경을 생각하면 마음에 썩 내키는 여행지는 아니지만 일본 사람들의 사는 모습과 자연 환경을 만나는 걷기 여행에 나섭니다. 비행기도 일본 국적의 저가 항공사인 피치 항공을 타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새벽 시간이라 그런지 동편 주차 타워 근처에도 빈자리가 넉넉하게 있었습니다. 주차 위치를 사진으로 남겨두고 부지런히 입국장으로 향합니다. 인터넷 뱅킹으로 환전 신청한 것을 찾으러 가야 하는데 24시간 문을 여는 은행 창구가 입국장에 있기 때문입니다. 새벽이 아니라면 출국장에도 있기는 하지만, 아무튼 새벽시간인데도 친절하게 환전 서비스를 하고 있는 은행 직원들이 대단해 보였습니다. 엔화 환전을 하다보면 소액권을 많이 주지 않는데 그나마 소액권 위주로 부탁을 드렸..
협업 개발 시스템이 준비된 상태에서 개발자들의 입장에서 형상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요령을 다룰까 합니다.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을 다루고 있는데 아직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았다면 시스템 설치는 아래의 두 글을 참조합니다.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 형상 관리 도구 사용은 코드를 체크아웃(check out) 받아 개발을 수행하고(문서 수정이나 코드 수정) 형상 관리 서버에 커밋(commit)하는 단계로 이루어 집니다. ■ 윈도우 환경에 서브버전(Subversion) 설치하기 리눅스나 윈도우등 운영체제에 관계없이 서브..
서브버전 에지(Subversion EDGE)와 MySQL 기반의 Trac 설치로 협업 개발 시스템의 틀이 준비된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절차를 다룹니다.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을 다루고 있는데 아직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았다면 시스템 설치는 아래의 두 글을 참조합니다.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 협업 개발 시스템이 모두 정상 가동 중임을 전제로 새로운 프로젝트의 생성 절차를 다룹니다. Trac 프로젝트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생성, Trac 프로젝트 환경 생성, 관리자 권한 부여, 형상 관리 저장소 설정등의 절차로 ..
XAMPP 포터블을 이용하면 정말 간편하게 웹서버와 PHP 및 DBMS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간단한 MySQL 설치 요령" 참조) 이번 글은 웹서비스의 가동 포트를 변경하는 요령을 다룰까 합니다. 통상 웹서비스는 기본 포트인 80포트를 통해 서비스 하는데 한 시스템에 웹서버를 여러개 동작 시켜야 하는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포트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특정 웹서비스는 기본 포트 80이 아닌 포트로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 기존 시스템 동작 확인 위의 그림은 XAMPP 포터블을 설치한 이후 웹서비스를 가동한 이후의 서비스 상태와 웹브라우저로 서비스를 확인한 결과입니다. 서비스 상태의 Port 영역을 보면 "80, 443"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http 프로토콜은 80 포트로, https 프로토콜은 443 ..
서브버전 에지(Subversion EDGE)를 사용하면 사용자 관리와 저장소(리포지터리, repository) 관리 및 모니터링을 콘솔 모드가 아닌 GUI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지만 개별 저장소에 대한 접근 권한 관리는(Repository Access Rules) 서브 버전(Subversion)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 오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텍스트 파일에 접근 권한을 기술하는 요령을 다룹니다.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을 다루고 있는데 아직 설치 이전이라면 시스템 설치는 아래의 두 글을 참조합니다.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Trac과 서브버전의 사용자 관리하기 입니다. 시스템 설치는 아래의 두 글을 참조합니다.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 서브버전 에지 기반으로 Trac을 설치한 환경에서는 기본적인 사용자 관리는 서브버전 에지에서 수행합니다. Trac의 사용자 인증을 서브버전 에지에서 관리하는 인증 체계를 활용하도록 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서브버전 에지에서 사용자 추가/삭제등의 기본 작업과 형상 관리 리포지토리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고, Trac에 대해서는 각 프로젝트의 기능에 대한 권..
이번 글에서는 협업 개발 시스템의 얼굴 역할을 담당하는 Trac의 UI를 변경하는 요령과 Trac의 동작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윈도우 시스템에서의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을 다루고 있습니다. 시스템 설치는 아래의 두 글을 참조합니다.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 Trac 시스템은 각 프로젝트 폴더 아래의 conf 폴더에 있는 trac.ini를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조정할 수 있고 동작 방식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용 방법은 https://trac.edgewall.org/wiki/TracIni를 참조합니다. ■ 프로젝트..
"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앞선 글에서는 DBMS와 서브버전 에지를 설치하여 기반 환경을 준비했다면 이번 글에서는 본격적으로 파이썬을 사용하는 Trac을 설치 합니다. ■ 파이썬 레지스트리 등록과 기본 도구 설치 Subversion EDGE에 파이썬이 포함되어 설치되는 과정에서 환경변수에 파이썬 경로를 설정하는 작업은 하지만 레지스트리에 등록하는 작업은 누락되어 파이썬 배포판을 설치하거나 기타 여러 작업에서 레지스트리를 통해서 파이썬의 설치 여부와 버전등을 확인하는 작업이 있으면 파이썬이 서브버전 에지에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작업들은 모두 실패 합니다. 그래서, 레지스트리 등록 작업이 꼭 필요한데 아래의 코드를 setreg..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환경에서 여러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이슈 트래커 등을 포함하는 협업 개발 시스템을 검토하는 곳을 대상으로 Subversion EDGE, Python 및 Trac, MySQL(XAMPP 기반)을 설치하여 고성능의 협업 개발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나눌까 합니다.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Git(http://git-scm.com/)나 Mecurial(http://mercurial.selenic.com/)와 같은 분산형 형상 관리 도구도 있지만 오랜 기간 개발자들로 부터 사랑받아온 대표적인 형상 관리 도구로 CVS(http://www.nongnu.org/cvs/)와 Subversion(http://subversion.apache.org/)을 들 수 있습니다. Sub..
MYSQL DBMS 설치를 검토하는 사람이라면 일단 MySQL 홈페이지(https://www.mysql.com/downloads/)의 다운로드 페이지를 뒤지기 시작하지만 오래전 이미 오라클로 주인이 바뀐 MySQL은 상용 버전의 제품들이 페이지의 중앙을 차지 하고 있습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버전은 MySQL 커뮤니티 에디션(MySQL Community Edition)으로 https://dev.mysql.com/downloads/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DBMS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DBMS 가동/중단도 쉽고, DB 관리도 용이한 환경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데 MySQL 홈페이지에서 배포하는 것으로는 용량도 크고 조금 복잡한 느낌을 받습니다. ..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참여 주체간의 원활한 소통은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 중의 하나라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고객 및 사용자, 기획 및 설계자, 개발자, 품질 보증 조직 등 참여 주체간에 커뮤니케이션을 명확히 하여 혼선을 막고, 요구 사항 또는 이슈의 처리 결과를 예측 가능하도록 하여 각 주체가 수행 할 역할에 각 자원을 집중 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 하는 것이 필요 합니다. 이런 필요를 돕는 도구로 이슈 트래커, 형상 관리 도구, 위키 등과 같은 협업 도구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에 초점을 맞추어서 일반적인 사항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 이슈트래커 이슈트래커(Issue tracker)는 버그 트래커(Bug tracker)라고도 불리는..
우리가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창에 단어나 문장을 입력하여 검색하면 각 포털의 검색 엔진은 입력한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는 자료들을 뒤져서 입력한 문장에 가장 근접한 자료들을 결과로 내놓습니다. 그렇지만, 검색이란 기본적으로는 텍스트를 찾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지 속에 있는 글자를 검색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일부에서 OCR 기술을 이용해서 검색에 활용하는 기술이 적용되고는 있습니다). 또한, 파일이 프로그램 제작사의 입맛에 따라 별도의 형식으로 저장되어 순수 텍스트 형태가 아닌 이진 파일 형태라면 검색은 더욱 어려워 집니다. 포털 검색을 사례로 든것은 검색이라는 것이 텍스트 기반이라는 전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텍스트 검색 과정에서 텍스트 중간 중간에 특수 문자가 끼어 있는 이진 파일(PDF문서등) 문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