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주얼스튜디오를(이하 VS) 사용하는 VS 고수분들은 자주 사용하는 기능 일 수 있지만 아직 이 기능을 접해보지 않은 개발자에게는 마술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이런 경우를 상정해 볼까합니다.PutLog( ERROR, 1, "Program started!!!"); 같은 형태로 프로그램 실행중 계속적으로 로그를 찍는 프로그램을 쭉 작성해 놓았습니다. 전체 프로그램 개수와 라인은 몇 천일지 몇 만 일지 모르고요. PutLog함수 호출시 첫번째 파라미터는 로그의 종류, 두번째는 심각성을 설정하기로 했었는데 #define문을 찾기도 귀챦고 대부분 GENERAL(1)이어서 Name을 쓰지 않고 그냥 값을 쓴 경우도 허다한 상황이 입니다. 그런데, 코드 리뷰 과정에서 코딩 규칙을 ..
이번 포스팅은 대부분의 서브버전 사용자는 거의 사용할 기회가 없거나 구경조차 할일이 없을 가능성도 있는 기능인 병합(Merge)과 잠금(Locking) 기능입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체크아웃, 업데이트, 커밋이면 대부분의 필요가 해소됩니다. 하지만 때로는 복잡한 상황과 현상을 단순화 시켜 줄 수 있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 병합(Merge) 앞선 포스팅("서브버전(Subversion) 브랜치와 태그" 참조)에서 태그는 특정 시점의 리비전에 표시를 해둔 것으로 태그에 대한 수정 작업을 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는데, 브랜치는 메인 trunk 및 다른 브랜치와는 별개로 독자적인 개발 프로세스를 진행 합니다. 브랜치에 대한 개발 프로세스가 안정화되고 완료되면 다시 메인 trunk나 다른 브랜치와 합치는 작업이 필요..
살아 있는 프로젝트는 끊임없이 진화 및 발전해 나갑니다. 가장 원천적인 속성과 특성, 모양은 유지해 나가면서도 때로는 본류는 아니지만 곁가지를 쳐서 별도의 모습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상용 프로그램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윈도우 시스템의 경우에도 윈도우 XP, 윈도우 7, 윈도우 10등의 발전적 과정이 있지만 각 윈도우 시스템 별로 별도의 업데이트를 운영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제품을 릴리즈한 시점의 코드가 정확히 보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러한 중요 시점별로 태그를 붙여 놓으면 추후 피드백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브랜치와 태그(Branches/Tags) 앞선 포스팅에서 서브버전 저장소를 생성할 때 trunk/branches/tags라는 폴더를 기본 폴더로 자동 생성하도록 했는..
이번 포스팅은 형상 관리하고 있는 저장소를 작업 사본을 통하는 방식이 아니라 특정 버전 상태를 내보내기 해서 전달하거나 프로젝트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을 외부에서 프로젝트 내부로 들여오기 하거나, 변경 사항을 패치 파일로 만들어서 외부로 전달하거나 내부에 반영 시키는 방법을 다룹니다. ■ 들여오기(Import)와 내보내기(Export) 들여오기(Import)와 내보내기(Export)는 기존에 형상 관리 대상이 아니었거나 다른 프로젝트에 있던 파일들을 저장소로 들여오거나 현재의 작업 사본을 일반 파일로 내보내는 명령 입니다. 들여오기는 CLI로 "svn import -m 로그메시지 들여올경로 서브버전URL" 명령으로 수행하거나 저장소 생성때 처럼 일반 파일 폴더의 팝업 메뉴에서 TortoiseSVN>Impo..
형상 관리 시스템 하에서 본격적으로 코드 작성이나 문서 수정 등의 작업을 하려면 저장소에서 작업 사본을 받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개발이나 작업이 여러날에 걸쳐 이루어 지고 있다면 그 사이에 다른 사람들이 작업한 내용이 저장소에 등록 되었을 수도 있는데 이를 내가 작업하고 있는 작업 사본에 반영하는 작업이 업데이트입니다. 자주 업데이트 할 수록 작업의 혼선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내가 수행하는 작업이 일정한 단계를 지나거나 완료되었다면 저장소에 커밋하는 것으로 작업을 완료 합니다. ■ 작업 사본 받기와(Checking out) 작업 사본 만들기는 CLI로는 "svn checkout 서브버전URL 내려받을경로" 명령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서는 토터스 SVN 컨텍스트 메뉴 >SVN Checkout으..
최근에는 분산 형상 관리 시스템인 깃(Git)을 사용하는 개발자가 많아 졌지만 여전히 서브버전을 애용하는 개발자들도 많습니다. 본격적으로 서브버전(Subversion) 사용법을 다루기 이전에 핵심 용어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서브버전이 설치되어 있는 곳이라면 어떤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명령행 도구(CLI, Command Line Interface)와 윈도우용 도구인 TortoiseSVN 사용법을 모두 다룹니다. ■ 토터스 SVN(TortoiseSVN) 설치 서브버전을 시스템에 설치한다는 의미는 외부의 서브버전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자신의 컴퓨터를 서브버전 서버로 가동시킨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소를 생성하여 서브버전..
트랙(Trac)에서는 프로젝트 내의 이슈나 버그를 추적하기 위해 티켓 시스템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버스나 기차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 티켓을 구입하듯이, 프로젝트 내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크던 작던 모두 티켓 단위로 기록 및 관리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이슈 트래킹 시스템의 이슈를 티켓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아래의 링크들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을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 관련 글을 읽을때 참고할 만한 시스템 설치와 기본 운영에 관련한 글입니다.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를 사용하기 위한 일반적 지식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 꼭 필요한 것중에 하나라면 현재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과 함께 목표 대비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위험을 관리하는 것일 것입니다. 트랙(Trac)의 타임라인과 로드맵은 이러한 필요를 채워주는 기능 입니다. 아래의 링크들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을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 관련 글을 읽을때 참고할 만한 시스템 설치와 기본 운영에 관련한 글입니다.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를 사용하기 위한 일반적 지식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간단한 MySQL 설치 요령Trac 및 서브버전 에지 환경에서 형상관리 도구 사용하..
지난 포스팅에서는 Trac의 위키 페이지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위키 페이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키를 사용하면서 알아두면 편리한 팁과 자주사용하는 기능들을 정리해 볼까 합니다. 아래의 링크들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을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 관련 글을 읽을때 참고할 만한 시스템 설치와 기본 운영에 관련한 글입니다.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를 사용하기 위한 일반적 지식Trac 설치하기 1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Trac 설치하기 2 - Subversion Edge 및 MySQL 기반간단한 MySQL 설치 요령Trac 및 서브버전 에지 환경에서 형상관리 도구 사용하기 Trac UI 변경과 설정 변경하기Tra..
서브버전 에지와 Trac 설치를 통해서 협업 개발 시스템 준비를 했다면 이제는 본격적으로 핵심 도구인 Trac의 사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 첫번째 기능으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키(Wiki)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위키는 여러 사용자가 협업하면서 문서를 작성해 갈 수 있는 아주 효과적인 도구로 위키 백과(http://www.wikipedia.org/)처럼 위키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는 도구들도 있어서 기술적인 배경을 모르는 사람들도 익히 접해 보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들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을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 관련 글을 읽을때 참고할 만한 시스템 설치와 기본 운영에 관련한 글입니다.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를 사..
1년에 한두번은 다녀오던 올레길. 올해도 봄을 맞이해서 올레길 걷기를 떠납니다. 제주도 북부의 올레길 코스들은 대부분 다녀온 까닭에 이제는 남부 지역을 걸을까 합니다. 서귀포를 비롯해서 제주도 남부를 자동차로 여행한 기억이 있기는 하지만 몸으로 걸었던 지역만큼 생생한 기억으로 남아 있지는 않습니다. 대부분 주요 관광지 중심으로 다녔기에 이번에 걸을 계획인 올레 3코스부터 8코스까지의 길이 기대가 되기도 합니다. 이번 여행은 출발부터 조금 특이한 걷기 여행이 될것 같습니다. 예전 같으면 저가 항공사들의 얼리버드 항공권 오픈 시기에 맞추어 티켓을 미리 준비해 놓았을 텐데 이번에는 그 시기를 놓쳐버려서 올레길 여행 계획을 시작할 시점에는 왠만한 항공권은 매진이거나 정상가를 모두 지불해야 하는 상태였습니다. 그..
경제적이면서도 나름 의미가 있던 교토, 구마노 고도 걷기 여행을 총 정리 합니다. ■ 교토 1일차 걷기 한국 출발과 간사이 공항 도착 - 교토 구마노고도 걷기 여행기 1 하루카 타고 교토역 이동과 기차표 예매하기 - 교토 구마노고도 걷기 여행기 2 교토의 숙소 재패닝 호텔 하코엔 - 교토 구마노고도 걷기 여행기 3 교토역 옥상에서 바라본 교토 - 교토 구마노고도 걷기 여행기 4 교토역에서 니시혼간지를 거쳐 니조성까지 - 교토 구마노고도 걷기 여행기 5 니조성 - 교토 구마노고도 걷기 여행기 6 교토 아트 센터와 편의점 카페 - 교토 구마노고도 걷기 여행기 7 니시키 시장과 폰토초 - 교토 구마노고도 걷기 여행기 8 ■ 교토 2일차 걷기 히가시 혼간지와 교토 시내버스 타기 - 교토 구마노고도 걷기 여행기 ..
토케이 신사(Tokei Shrine, 闘鶏神社)와 오기가하마 공원(Ogigahama Park, 扇ヶ浜公園) 등을 둘러보는 타나베 시내 걷기로 시작한 교토, 구마노 고도 걷기 여행 마지막날 여정은 와카야마(Wakayama, 和歌山) 시내의 와카야마 현립 박물관과 근대 미술관, 와카야마 성과 공원을 둘러 보는 것으로 마무리하고 이제 와카야마역으로 돌아가서 공항 리무진 버스를 이용해서공항으로 이동하여 한국으로 돌아갑니다. 태양광 전지판을 층마다 붙여 놓은 와카야마 시청 앞에서 와카야마(Wakayama, 和歌山) 역까지는 1.7Km 내외의 직선 거리로 걸어가도 30분이면 충분한 거리이지만 마침 시청 앞에서 대기하고 있던 택시도 있고 택시 뒷편 유리창에 적혀 있는 기본 요금을 보니 700엔 내외로 역에 도착할 수..
와카야마성(和歌山城)의 천수각(天守閣)에서 와카야마를 둘러본 다음에는 계단을 내려가며 역사관을 관람합니다. 복원된 천수각인 만큼 소실된 원래 건물의 파편들을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기슈 토쿠가와((紀州徳川家) 가문의 문양이 새겨진 장도. 임진왜란 이후 기슈 토쿠가와(紀州徳川家) 가문이 와카야마성에 살면서 관련 유물들이 많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19세기 유물로 안전 장치가 달린 독일제 권총입니다. 철제 투구. 청동으로 만든 건축물 장식. 에도 시대의 유물로 새들을 그린 스케치입니다. 에도 시대의 물건들로 범죄자를 잡는데 사용했던 도구들이라고 합니다. 기슈(紀州) 지역의 영주가 타고 다녔다던 군선의 모형입니다. 기슈 테마리(紀州 てまり)라 부르는 공입니다. 촉강금(蜀江錦)이라는 비단으로 만든것으로 궁녀들이 ..
와카야마 현립 근대 미술관 관람과 북카페에서의 도시락 만찬을 즐긴 저희는 미술관 길 건너에 있는 와카야마 성으로 향합니다. 큰 길을 건너서 주차장 쪽으로 들어가서 계단을 오르면 됩니다. 계단을 오르기는 하는데 아주 많은 것은 아니니 힘들까 염려할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녹색 빛이 도는 특이한 색깔을 가진 계단을 오르는 재미도 있습니다. 와카야마성의 안내도. 저희는 남쪽에서 계단을 올라 천수각을 먼저 관람하고 내려 오면서 2층의 역사관을 관람한 다음 북쪽으로 내려가 공원을 관람하는 경로를 선택했습니다. 한쪽에 동물원도 있지만 생략합니다. 계단을 오르다 보면 특이한 빛의 돌들을 만나는데 녹색편암(기슈청석)이라고 합니다. 계단에서 바라본 천수각의 모습입니다. 천수각으로 들어가는 입구입니다. 저문 안으로 들어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