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여남 방파제를 지난 해파랑길 17코스는 새롭게 생긴 해안 산책길을 따라 죽천 해수욕장에 도착하고 우목리 어촌 마을을 지나면 영일만항에 도착한다. 우목리 어촌 마을을 지나면 원래는 마을길을 돌아서 영일만항으로 가지만 영일만항 담을 따라 새롭게 조성된 길을 따라 항만 길로 접어든다.

 

앞서 포항시의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과 함께 걸었던 해파랑길은 17코스부터는 송도 해변에서 시작하는 "영일만 북파랑길"과 함께한다. 일명 호랑이 등 오름길이다.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이 호랑이 꼬리를 밟으며 걷는 길이라면 북파랑길은 호랑이 등을 올라가는 길이라는 것이다. 포항시 북쪽 끝자락인 지경리 해변까지 이어진다. 원래의 해파랑길은 여남방파제 뒤편의 산을 넘어가는 것이지만 북파랑길 산책로 덕분에 해안 산책길을 통해서 죽천리까지 갈 수 있다.

 

우리가 갔을 때는 여남 방파제 인근에서 한참 전망대를 만들고 있었다. 만들어진지 얼마 되지 않은 흔적이 역력한 산책길을 걸어간다. 초입에 "임시 개통"이란 표지가 있었다. 이곳에는 스카이워크와 해수 풀장이 생긴다고 한다.

 

영일만 안쪽을 조망하며 걷는 길이다.

 

원래의 해파랑길을 안내하고 있는 표지판. 해안에서 산길로 이어지는 계단을 만들어 놓았지만 우리는 계속 해안길로 이동한다.

 

이 한겨울에 차가운 물속에서 이런저런 해조류를 따고 계신 해녀분과 그분이 끌고 오신 손수레의 모습에서 고달픈 삶의 무게가 느껴진다. 잠시 멈추어서 무엇을 따셨는지 살펴보기에도 미안한 마음이다. 한 광주리 무겁게 해조류를 따셔도 손에 쥘 수 있는 돈은 과연 얼마나 될까? 이분들이 따신 먹거리들을 횟집이나 시장에서는 좋은 값을 쳐줄까? 하는 생각을 하면 이분들에게 눈길을 보내는 것조차 미안한 마음이다.

 

멀리 거대한 크기를 자랑하는 영일만항의 방파제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가파른 절개지 아래로 낙석으로 산책로가 상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나무들이 땅을 잘 붙들어 주면 새로 생긴 이 산책로도 오랫동안 사람들의 사랑의 받지 않을까 싶다.

뒤를 돌아보면 영일만과 바다 건너 호미 반도가 눈에 들어오는 풍경이다.

 

산길에서 내려오는 원래의 해파랑길과 합류하는 지점.

 

죽천 해수욕장이 보이는 해안길을 따라 길을 이어간다. 만나는 사람이라고는 산불 감시와 산불 예방 계도를 담당하는 산불감시원 아저씨뿐이다. 나름 좋은 공공 일자리인데 지자체 별로 어떤 곳은 서류와 면접만으로 뽑기도 하지만, 어떤 곳은 체력 시험을 보기도 한다. 고령의 지원자가 시험을 보다가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고, 어떤 지역은 부정 채용 문제도 있다고 한다. 농한기에 최저 시급 이상의 안정적인 급여를 벌 수 있으니 당연하지 않은가 싶다.

 

이 지역은 영일만항의 거대한 북방파제와 남방파제가 파도를 막아주니 파도 걱정은 없겠다 싶다. 잔잔한 바다 위에서 청둥오리들이 한가로운 한낮의 태양을 즐기고 있다. 바다 건너편 영일만항 끝자락에서 공사 중으로 보이는 것은 울릉 공항에서 사용할 케이슨을 제작하고 있는 현장이라고 한다.

 

죽천 해수욕장으로 가기 위해서는 개천을 하나 건너야 하는데 해안으로는 길이 없다.

 

드디어 17코스의 종점인 칠포 해수욕장 표지가 등장했다. 8.4Km가 남았으니 총 17.1Km 중에 절반 이상을 걸었다. 죽천교를 건너서 20번 지방도의 도로변을 걷다가 죽천 해수욕장의 해안길로 들어간다.

 

죽천 해수욕장은 해안길로 솔숲과 벤치, 주민들을 위한 운동 시설등이 갖추어진 조용한 해수욕장이었다. 이곳 벤치에서 바다를 보며 잠시 쉬어갔다. 마을을 지나는 하천 하구에 대나무가 많았던 곳이라 죽천리라 불렀다고 한다.

 

포항 연탄은행에서 봉사자들과 죽천리 마을 벽화를 그렸다고 한다. "벌과 나비 앉으라고 노란 방석 펴 놓았죠" 하는 오순택 시인의 해바라기 시구가 훅하고 가슴에 들어온다.

 

죽천 방파제를 지나 바라본 광경. 멀리 바다 건너 호미곶이 가물거리는데 그 중간에 있는 거대한 영일만항 남방파제가 수평선을 대신한다. 

 

이 차가운 바닷물에 해녀분이 물질에 여념이 없다. 그런데, 해녀들이 착용하고 있는 해녀복을 입으면 물 온도와 상관없이 3~5시간 물질이 가능하다고 한다. 70년대 이전 광목을 입고 바다에 뛰어들던 제주 해녀의 모습과는 다르다. 2016년 제주 해녀는 인류 무형 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록되었는데 제주 해녀의 경우에는 10대에 물질을 배워서 해녀 생활을 시작했지만 동해안의 해녀들은 30대 이후 생계를 위해서 해녀 생활을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한다. 

 

해녀들이 입는 잠수복과 일반 다이버의 잠수복은 같은 것일까? 하는 호기심이 생겼다. 찾아보니 네오플렌이라는 합성 고무를 사용하고 보온력, 방수력, 부력 등의 기능에도 큰 차이점이 없었다. 디자인과 안감이나 겉감으로 무엇을 대는지 정도가 차이라고 한다. 기성복을 구매해도 되겠지만 대부분은 자신에 체형에 맞게 맞춤 제작을 한다고 한다. 잠수복 재질이 같은 네오플렌이라 해도 생산 업체에 따라 품질 차이가 있고 두께의 차이 그리고 어떤 재질을 붙이는지에 따라 선택의 폭이 다른 것이다.

 

뒤를 돌아보니 바다로 툭 튀어나온 여남곶 뒤로 포스코 공장은 이제 가물가물할 정도로 멀어졌다.

 

방파제와 만 안쪽에 있어 파도 조차도 조용한 우목리로 들어섰다. 누워있는 소의 눈 위치에 있다 해서 우목리라 불렀다고 한다.

 

해안 마을길 옆으로는 아무런 벽도 없기 때문에 잘못하면 해안으로 떨어지므로 차량을 피할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원래의 해파랑길은 마을길 끝에서 우목 우체국, 죽천 초등학교, 우목 보건소를 돌아서 가지만 지금은 철 담벼락에 커다랗게 붙여놓은 영일만 북파랑길 표지를 따라서 영일만항 담벼락 옆으로 조성된 길을 걷는다.

 

담벼락 옆의 길을 걷다가 큰길을 만나서 우회전하면 영일만 대로로 나올 수 있다.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직진한다. 길 건너편으로는 포항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이 있다. 영일만항은 동해안의 유일한 컨테이너 항만이다. 지금은 예상보다 저조한 물동량인 모양이다. 화물 전용역인 영일만항 역이 2020년부터 운행을 시작했다고 한다.

 

영일만항역에서 동해선을 통해 포항역과 연결되는 철로를 넘어간다. 이제는 대부분이 지하에 있거나 다리 위에 있어서 철도 건널목을 건널 일이 거의 없는데 오래간만에 "땡땡 거리"를 지나간다. 주 6회 운행한다지만 철로 위에 녹이 있는 것을 보면 최근에는 운행한 적이 없는 모양이다.

 

큼지막한 영일만항 도로를 가로질러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보통 울릉도에 간다고 하면 영일대 해수욕장 입구에 있는 포항 여객선 터미널에서 쾌속선을 타지만, 이제는 이곳 영일만항에서 울릉도 사동항으로 가는 대형 카페리선을 타고도 갈 수 있게 되었다. 기존보다 3시간 정도 더 걸려 6시간 30분이 걸리지만 뱃멀미가 심한 사람이나 차량을 가지고 가고 싶은 사람 등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겠다 싶다. 2025년이면 울릉 공항이 개항될 텐데 그 이후는 울릉도가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르겠다.

728x90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