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호산 자락의 고개를 넘어 강계마을로 내려온 길은 죽림마을을 지나면 다시 오르막길을 오르기 시작한다. 옛 서해랑길은 해변을 돌아 탑립마을을 거쳐갔지만 지금은 진도대로 도로와 도로 인근의 길을 따라 여귀산 자락을 걷는다. 강품미재 고개에서 도로를 벗어나 보덕산 임도로 들어서고 산을 내려와 귀성마을을 지나서 귀성삼거리에서 여정을 마무리한다. 봉호산 자락에서 내려온 길은 강계마을 외곽을 지나 죽림마을로 향한다. 강계마을 앞바다는 접도라는 섬이 커다란 방파제 역할을 하는 모양새다. 접도는 다리로 의신면 금갑리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길을 걷다가 그만 젖은 흙에 미끄러져 바지가 흙투성이가 되고 말았다. 다치지 않아 다행이지만, 전혀 생각하지 못한 곳에서 넘어지는 것은 추운 날씨에 몸이 굳은 까닭일까? 나이..
덕심산(399m) 자락의 고개를 넘어서 옥대리에 이른 서해랑길 8코스는 의신면 읍내와 들판을 가로질러 송정지 저수지에 이른다. 송정지를 벗어나면 계곡을 따라 봉호산(193m) 자락의 무지개 고개를 넘어서 해변에 있는 강계마을에 닿는다. 봉호산 자락의 고갯길이 조금 가파른 임도이기는 하지만 고도 140여 미터로 무난하게 걸을 수 있다. 이른 아침부터 흐리고 서늘했던 날씨는 좀처럼 개이지 않고 오히려 바람이 더 강해졌다. 옥대리 버스 정류장에서 잠시 바람을 피하며 휴식을 취했지만 손은 시리고 몸은 으슬으슬하다. 다음 겨울 걷기에서는 따뜻한 손난로를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옥대리를 떠나 의신면 읍내로 향하는 길, 시야에는 읍내와 함께 멀리 백구 모양의 의신백구 작은 도서관이 보이기 시작한다. 진도 대파..
한 겨울에 다시 찾아온 진도 서해랑길은 첨찰산 쌍계사 입구에서 시작한다. 운림예술촌과 운림삼별초공원을 거쳐서 덕심산 자락의 고개를 넘어 옥대저수지를 지나 옥대리에 이른다. 고도 2백여 미터의 고개를 임도로 넘는 무난한 길이다. 해남 걷기만 해도 광주를 중간 기착지로 했었는데, 진도 서해랑길 걷기를 위한 중간 기착지는 광주에서 목포로 바뀌었다. 목포역에서 내리니 역 바로 앞의 버스 정류장에서 목포터미널로 가는 시내버스가 바로 탈 수 있었다. 다른 번호의 버스에 목포터미널이 쓰여 있는 것을 보고 "터미널 가죠?" 하며 버스에 타려 했더니 가긴 가는데 돌아서 간다고 친절하게 안내해 주신다. 아니나 다를까 목포 터미널로 가는 1, 1A, 200 버스가 바로 이어서 도착한다고 버스정보시스템에 나온다. 목포에서 6..
진도로 진입한 서해랑길로 가기 위해서 이번 여행부터는 목포를 중간 기점으로 삼는다. 남파랑길 후반부와 서해랑길 초반은 광주를 기점으로 하는 것이 적절했지만 진도에서 나오는 버스들이 광주를 향하더라도 대부분 목포를 들러서 가기 때문에 금요일 일과를 끝내고 내려가는 여행이니 목포에서 하룻밤 자고 첫차로 진도로 들어가 농어촌 버스로 서해랑길 8코스 시작점인 사천 쌍계사 입구로 이동하기로 했다. 목포로 내려가는 KTX와 목포 터미널 인근의 숙소 "목포 설레임"(목포시 비파로 125)으로 예약해 두었다. 목포역에서 목포터미널까지는 역 바로 앞에서 1, 1A, 1-2, 좌석 200 버스를 타면 된다. 목포 터미널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숙소까지는 도보로 5백 미터이다. 다음날 아침 일찍 진도로 가는 버스들이 있어 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