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밀반 보리반!", "물반 고기반"도 아니고 이게 뭔소리여! 할것 같다.
다름아닌 2012년 우리 자그마한 논의 현주소다.
지난 목요일인가 퇴근후에 시동이 잘 걸리지 않던 예초기를 겨우 겨우 시동 걸어 등에 메고 사이사이를 이발 해주었더니,
스포츠로 머리를 깎은것 처럼 마음이 다 상쾌하다.
지난 가을 벼를 수확한 논을 경운기로 정리좀 하고 밀반, 보리반을 뿌려놓고 짚을 잘라 덮어주었는데 제법 컷다.
주위 어르신들은 이제 못자리 준비를 하고 계신데, 앞으로 2개월 가량 열심히 커서
수확의 기쁨을 누릴 수 있으리라....
여기서 문제 하나를 풀어보자 위의 사진에서 어느쪽이 밀이고, 어느쪽이 보리일까?
.
.
.
.
.
사진만 보고도 알아 맞춘다면 정말 박사님이라 불리우셔도 될 만한 분일것 같습니다.
좌측에 있는것들이 잎이 조금더 넓습니다.
이정도 힌트라면 혹시 맞출 수 있을까요?
.
.
.
.
좌측이 보리고 우측이 밀입니다.
그런데, 알고 보면 둘다 맥류라고 합니다.
맥이 보리를 총칭하는 의미이므로 보리류에 속한다고 할 수 있죠.
사전을 찾아보면,
* 보리는
영어로 barley라 하고, 볏과이고, 맥주/위스키의 재료로도 쓰이고 엿기름 내어 식혜를 만들때도 쓰죠
작년 수확때를 기억하면 이삭 앞에 까끄라기가 있어 정선이 어려웠습니다. 껍질이 단단했습니다.
*밀은
영어로 wheat라 하고, 볏과이고, 빵/과자의 주 재료이죠, 물론 라면/국수의 주재료임은 말할것도 없지만요.
밀 이삭은 재미있는 것이 뚜껑처럼 겉껍질이 열려서 안에 있는 동글동글한 통밀이 잘 빠져 나옵니다.
작년에 거두었던 통밀로 해먹은 수제비 맛은 .........:-) 진짜 좋았습니다.
비슷한듯 하면서도 결실은 아주 다른 밀과 보리,
사람도 비슷한것 같습니다.
비슷한 인생을 사는것 같지만 전혀 다른 인생의 열매를 맺는 것 처럼,
남을 겉모습으로 쉽게 판단하지 말고,
나의 인생을 참되게 살아가야 겠다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사는 이야기 > 사람과 자연(自然)'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아침 (0) | 2014.12.08 |
---|---|
표고 한 송이가 주는 기쁨 (0) | 2014.10.20 |
봄비 머금은 복숭아 꽃 (0) | 2012.04.21 |
같은 시간 양파의 두 모습을 통해 바라본 삶 (0) | 2012.04.11 |
꽃따로 잎따로 신기한 머위 (0) | 2012.04.11 |
- 런타임 에러 76은 경로를 찾을수 없다는 메시지 이군요. 입력하신 경로를⋯
- Set folder = fso.GetFolder(sFolder) 에서 런⋯
- [승인대기]
- 표준 시간은 제주 올레 홈페이지를 참조하시는 것이 좋을듯 하네요. 이 포⋯
- 안녕하세요. 리뷰 감사해요 소요시간이 어떻게 되나요? 저도 가보려고요
- 제주 올레길 / 까미노 데 산티아고 길 을 가봤는데 아직 해파랑 남파⋯
- 아 오르세... 제 가 갔을땐 실내 촬영이 안됬는데 지금은 된다고 하지요⋯
- 법환 포구 빌라 자리엔 원래 각종 맛집들이 있엇는데 말이죠.. 싹 밀어서⋯
- 리눅스의 쉘 환경과 같은 준비를 해주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을듯 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야라바님 초면에 갑작스럽겠지만 제 생명의 은인입니다.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