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야라바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야라바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620)
    • 사는 이야기 (150)
      • 독서 (26)
      • 사람과 자연(自然) (112)
    • 무료 소프트웨어 (131)
      • 시스템 도구 (51)
      • 사용자 도구 (69)
    • 여행 (970)
      • 파리걷기 (153)
      • 제주올레걷기 (91)
      • 지리산둘레길 (38)
      • 마카오 홍콩 걷기 (51)
      • 산티아고 순례길 (117)
      • 뚜르 드 몽블랑 TMB (78)
      • 해외 트레킹 (156)
      • 해파랑길 (201)
    • 프로그래밍 (207)
    • IT 일반 (90)
    • 웹 및 앱 (24)
    • 컴퓨터 팁(Tip) (44)
  • 방명록

논 한마지기 (3)
논 한마지기로 자급자족하기 - 탈망, 염수선, 온탕소독, 침종

한국 사람에게 주식이 쌀밥이니 자급자족의 근원은 벼농사에 있겠지요! 4인 가족이 1년 먹을 양식으로 논 한 미지기면 충분합니다. 몇년간 농약없이, 비료없이 키워본 경험치입니다. 논 한 마지기는 대략 200평 정도를 말하지만 실제 저희 논의 크기는 150평 정도니까 엄밀히 말하면 한 마지기도 않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자급자족이 가능하고 일부는 선물로도 드릴 수 있으니 참 다행이다 싶습니다. 너른 들판 한 가운데 위치하고 있으니 농사 짓는 분들에게 모를 얻어다가 심을 수도 있겠지만 저희집은 볍씨에 싹을 내어 모를 키우고 모내기하여 수확하는 모든 과정을 직접 합니다. 그래야 진정한 농사고 진정한 자급자족 일 것입니다. 보리가 이삭을 올려서 논에 연두색 보리 이삭이 가득할 무렵 본격적인 논 농사를 시작합니다...

사는 이야기/사람과 자연(自然) 2021. 4. 19. 09:03
깡패 참새를 어찌해야 할까? - 논 한마지기로 자급자족하기

코로나 19 때문에 계절의 여왕 5월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게 어느새 6월을 바라보고 있다. 예산과 당진, 아산, 서산에 걸쳐 있는 이곳 예당평야는 모내기도 막바지에 이르러, 너른 논에는 물이 차고 드문드문 노구를 끌고 뜬모 작업을 하는 어르신이 푸른 모 속에 잠겨 있는 듯하다. 뜬모는 이앙기가 모를 심었지만 모가 땅속에 잘 박히지 않고 물에 뜬 모를 다시 심거나 이앙기가 심기 어려운 장소를 손으로 모내기하는 것이다. 사실 드넓은 논에 모가 몇 개 심기지 않았다고 굳이 힘들게 뜬모를 하실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저분들에게는 저렇게 한 바퀴 돌아야 일을 끝낸 마음을 들것이다. 아무튼 주변의 논들은 이제 모내기가 끝나서 뿌리를 잡고 있지만, 한 마지기 우리 논은 위의 그림처럼 보리와 밀이 이제 영글고 있다..

사는 이야기/사람과 자연(自然) 2020. 5. 26. 19:14
논 한마지기로 자급자족하기 - 발아, 최아

침종까지 잘 끝낸 볍씨는("논 한마지기로 자급자족하기 - 탈망, 염수선, 온탕소독, 침종" 참조) 이제 논농사의 가장 중요한 작업 중에 하나인 싹틔우기를 해야 합니다. 볍씨 싹트우기를 최아(催芽) 또는 발아(發芽)라고 해서 큰 농사를 짓는 분들은 볍씨의 안정적인 싹틔우기를 위해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공기를 공급해 주는 발아기 또는 최아기라는 장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논 한마지기 농사에서 고가의 장비를 확보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물고기를 키우는 어항에 장착하는 간단한 도구와 수작업을 통해서 간단하게 DIY 발아기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볍씨 발아를 위한 최적 온도는 30~34도라고 합니다. 위의 도구는 어항의 물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물온도가 지정한 온도보다 낮으면 하단의 코일을..

사는 이야기/사람과 자연(自然) 2016. 4. 22. 11:55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 올레 21코스, 세화 해변에서 하도리까지
  • 2022 여름 제주 올레길 걷기 계획
  • 2021-2022 해파랑길 걷기 여행 종합편
  • 해파랑길 50코스 - 대진 1리에서 명파리⋯
  • 해파랑길 49코스 - 초도해변에서 대진1⋯
  • 해파랑길 49코스 - 김일성 별장에서 초⋯
  • 해파랑길 49코스 - 응봉과 화진포 소나⋯
  • 해파랑길 49코스 - 거진항에서 화포리,⋯
  • 해파랑길 48코스 - 송죽리에서 거진항,⋯
  • 해파랑길 48코스 - 동호리에서 송죽리,⋯
최근에 달린 댓글
  • 위에 소개된 국산 ERP 기업들은 100% 소⋯
  • 모노(mono) 환경에서 C# 프로그래밍을⋯
  • 고맙습니다.
  • 잘보고가요
  • Set-ExecutionPolicy를 수행하고 Get해⋯
  • 감사합니다.
  • 도구>환경설정에서 [기본설정]을 선택하⋯
  • 안녕하세요. 최근에 프리마인드 깔아서⋯
  • dnspy 추천 감사합니다. 평소 Reversin⋯
  • dotpeek?? 은 캐쉬 때문에 재부팅 전까⋯
«   2022/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22/08 (1)
  • 2022/07 (40)
  • 2022/06 (24)
  • 2022/05 (12)
  • 2022/04 (17)
  • 2022/03 (24)
  • 2022/02 (5)
  • 2022/01 (31)
  • 2021/12 (38)
  • 2021/11 (19)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