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를 거쳐 화산면 가좌리로 들어온 길은 고천암 방조제를 횡단하여 고천암자연생태공원을 지난다. 방조제를 지나며 화산면을 지나 황산면 한자리로 들어간다. 한자리로 들어선 대규모의 태양광 단지를 지나서 산소마을에서 여정을 마무리한다. 가좌리로 들어온 서해랑길 3코스는 조용한 마을을 가로질러 길을 이어간다. 그런데, 한 가정집을 지나는데 처마에 걸린 메주가 동글동글한 공 모양이다. 많은 경우 사각틀에 맞추어 만들거나 전통장을 연구하는 분들은 두꺼운 원판 형태로 만드는 것을 본 적이 있고, 필자의 경우에도 작은 냄비를 틀로 해서 원형으로 만들기는 하지만 동그란 공 모양으로 메주를 만드는 것은 처음 본다. 그런데, 자료를 찾아보니 인근 황산면의 한안자 명인이 만들던 해남 동국장을 공모양의 메주로 만들었다. 인터뷰..
관동방조제에서 시작하는 서해랑길 3코스는 가좌리까지 가는 동안 관두산과 대월산 아랫자락의 임도를 걷는다. 위의 그림처럼 관두산 자락을 올라갔다가 내려와 잠시 명성리 들길을 걷지만 다시 대월산 자락의 임도를 거쳐야 한다. 두 개의 산을 지나는 과정에서 오르막과 내리막을 반복하지만 모두 고도가 1백 미터 아래로 크게 부담 가질 필요는 없다. 관동방조제를 지나면 좌회전하여 서해랑길 3코스를 시작한다. 영터정류장까지는 가지 않는다. 광동방조제가 생기기 전의 관두산 아래 바다는 관두량이라는 해협으로 고려시대에는 중국으로 가는 관문, 조선시대에는 제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했다고 한다. 관두산이라는 산 이름도 관두량에서 왔다고 한다. 관두산 위에는 진도의 여귀산과 영암의 마산과 이어지는 봉수대가 있었다고 한다. 바위..
파이썬언어의 매력 중의 하나를 꼽으라면 작업에 필요한 도구들을 찾아보면 웬만한 것이 이미 존재하고 해당 도구를 pip 도구를 통해서 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리눅스 환경이라면 더 간단하겠지만 윈도우에서 해당 환경이 준비되지 않았다면 다음의 포스팅을 통해서 어렵지 않게 환경을 준비할 수 있다. 일단 윈도우에 파이썬이 정상적으로 설치되고 경로까지 잡아졌는지 "python3.exe -V"로 버전을 확인한다. 파이썬 버전을 확인했으면 curl 도구를 활용하여 get-pip.py를 다운로드한다. 명령은 "curl https://bootstrap.pypa.io/get-pip.py -o get-pip.py"를 사용하면 된다. 다운로드가 끝나면 위의 그림처럼 "python3.exe get-pip.py" 코드를 ..
백포만방조제를 통해서 송지천과 현산천을 차례로 건넌 서해랑길 2코스는 두모마을을 지나 백포 해안길을 걷는다. 현산면 백포리를 짧게 지나는 길이다. 백포 해안길을 지나면 화산면 안호리로 넘어가 중정마을을 거쳐 대지마을, 사포마을, 좌일마을을 거쳐서 관동방조제를 지나 여정을 마무리한다. 송암마을에서 다시 시작하는 서해랑길 2코스는 송지천 하구의 수문을 지나 백포만방조제로 들어선다. 백포만방조제는 일제강점기에 축조된 방조제이다. 서해랑길은 방조제 아래 농로를 통해서 이어간다. 지금이야 넓은 평야를 별생각 없이 걷지만 방조제를 만들 당시 맨손으로 방조제를 축조했을 선조들의 피땀을 생각하면 그 노고가 상상이 가질 않는다. 가을색이 완연한 들판 길을 걷다가 방조제 끝자락에서 방조제 위로 올라선다. 아침 바다는 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