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랑길 9코스는 여귀산 자락의 도로를 따라 걸으며 평야 길로 내려간다. 원래의 9코스는 상만 마을 앞에서 등길로 나가서 해안으로 나가지만 8코스에 이어서 9코스를 걷는 우리는 도로를 계속 걸어 중만마을에서 버스를 타고 진도 읍내로 나갔다가 하룻밤 쉬고 다음날 여정을 이어간다. 다음날 엄청나게 내린 눈으로 군내버스가 다니지 않아 비싼 비용을 치르고 택시를 타고 중만마을에서 흰 눈을 밟으며 여정을 이어간다. 해안으로 나간 길은 중만마을과 신동마을을 거쳐 남선마을에 이른다. 서해랑길 8코스를 끝낸 우리는 바로 이어서 9코스 일부를 걷는다. 내일은 9코스와 10코스를 이어서 걸으므로 거리를 조금이라도 줄여야 하고 군내 버스 시간도 남은 까닭이다. 진도대로 도로를 따라 중만마을까지 이동할 예정이다. 최신식 건물..
라즈비안에서 간단하게 VNC 서버를 설정한 경험을 생각하며 우분투에서도 간단하게 되겠지 했는데 쉽지 않다. 우분투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콘솔모드에서 해결할 수 있으니 별 문제가 없었는데 원격 컴퓨터를 데스크톱 모드로 운영하면서 비주얼스튜디오와 같은 GUI를 사용하려니 VNC 서버를 설정하려 했는데 연속된 삽질 가운데서도 하나가 해결되면 또 다른 것이 막혀서 생각을 바꾸어 보기로 했다.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는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굳이 VNC 뷰어를 통해서 접속하지 않고 윈도우에 내장되어 있는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는 방법이 없을까? 했는데 역시 있었다. sudo apt install xrdp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
우분투 데스크톱에서 형상 관리 도구인 서브버전(Subversion)을 설치하고 프로젝트 리포지토리를 만들고 서버를 가동해서 다른 컴퓨터에서도 해당 리포지토리를 통해서 형상관리하고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우선 "sudo apt install subversion"으로 서브버전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음에 해야 할 작업은 리포지토리(저장소)를 만드는 작업인데 여러 프로젝트들의 형상 관리 정보가 모이는 곳이므로 용량이 넉넉한 적절한 공간을 저장소의 루트로 삼는다. 필자의 경우에는 홈 디렉터리에 svnrepo라는 폴더를 만들어 저장소 루트로 사용하기로 했다. 새로운 프로젝트의 형상관리를 시작하려면 저장소 루트로 이동하여 위의 그림과 같이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고 "svnadmin cre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