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서버(우분투) 설치하기", "리눅스 서버(우분투)에 서브버전 설치하기", "리눅스 서버(우분투)에 트랙(Trac) 설치하기" 에 이은 글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는 Ubuntu 16.04 32비트 서버 시스템을 설치하고 서브버전을 웹서버 기반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준비한 다음에 파이썬 및 웹 기반 협업 개발 시스템인 트랙(Trac)을 설치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웹 서비스 환경인 APM(Apache + PHP + MySQL) 환경을 apt-get으로 간편하게 설치하고 MySQL DBMS를 웹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인 phpMyAdmin을 설치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apt-get 기반으로 시스템 설치 작업을 수행하려면 항상 sudo apt-get update 명령으로 업데이트 ..
"리눅스 서버(우분투) 설치하기"와 "리눅스 서버(우분투)에 서브버전 설치하기"에 이은 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협업 개발 시스템의 하나인 파이썬 기반의 트랙(Trac)을 설치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시스템을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WSGI 모듈 및 Trac 설치 파이썬으로 개발한 Trac 시스템을 웹으로 서비스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WSGI 모듈을 적용합니다. 아파치 웹서버의 WSGI(Web Server Gateway Interface)과 함께 Trac은 sudo apt install trac libapache2-mod-wsgi 명령으로 설치합니다. The following additional packages will be installed: ..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root 사용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로 로그인하도록 하기 때문에 시스템 관련 작업을 할때면 가끔은 귀챦을 때도 있습니다. 시리얼(직렬) 포트와 같은 시스템 장치를 다루는 것도 마찬가지로 기본 사용자로는 권한이 없어서 단순한 프로그램인데도 왜 안되지? 하는 혼란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은 접근 권한이 없기 때문입니다."dmesg | grep tty" 명령은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시리얼 포트가 무엇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명령입니다. 위의 예제를 보면 ttyS0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같으면 COM1 쯤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시스템 디바이스가 있는 /dev/ttyS0를 ls -l로 조회해보면 소유자(root)와 그룹(dialout)에만 접근 권한이 있으므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닷넷 프레임워크가 발전을 거듭하면서 자바(Java)진영 처럼 어느덧 크로스플랫폼(Cross platform)이라는 말에 어울리는 수준에 도달하고 있지 않나하는 생각입니다. 자바 기반의 이클립스를 리눅스에서도 윈도우에서도 동일한 사용 경험으로 사용할 수 있듯시 닷넷 기반의 응용을 윈도우 뿐만아니라 리눅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것을 가능해주는 프로젝트가 바로 모노 프로젝트(http://www.mono-project.com/)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리눅스(우분투)에서 모노(mono)를 설치해서 닷넷 응용의 크로스 플랫폼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sudo apt-key adv --keyserver hkp://keyserver.ubuntu.com:80 --recv-keys 3..
윈도우에서 다른 컴퓨터에서 동작중인 우분투 리눅스에 로그인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나누고자 합니다. 우분투 12.04에서 테스트 했지만 14.04에서도 동작한다고 합니다.우선 sudo apt-get update로 시스템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sudo apt-get install xrdp로 XRDP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연관 모듈 설치에 대해서 y 엔터로 설치를 진행합니다.XRDP가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위의 그림과 같이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되고 이때부터 원격 접속 준비가 되지만 실제로 접속해 보면 Compiz가 구동되면서 실패하는 현상이 나타나더군요.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아래의 과정을 추가로 적용해서 XFCE를 사용하여 로그인합니다.sudo apt-get install xfce4 로 XFCE4를 ..
2013년 30회 대회부터 정보 올림피아드 대회의 본선 개발 환경이 기존 비주얼스튜디오를 가지고 Visual C++ 이나 Visual Basic을 사용하던 것에서 혁명적인 변화가 있었습니다. 윈도우-비주얼스튜디오 환경에서 리눅스-이클립스 환경으로 Gnu C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리눅스를(우분투 12.04) 설치하고 개발 환경을 준비할 수도 있겠으나 필자는 이미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는 가상 머신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 이후 환경을 설치했습니다. 가상 머신 종류가 여러개 있으나 오라클의 VirtualBox로 진행했습니다. 크기도 작고 좋았습니다. 우분투 12.04 이미지는 VirtualBox 사이트와 다른 여러곳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링크로는 http://sourceforge.n..
- 런타임 에러 76은 경로를 찾을수 없다는 메시지 이군요. 입력하신 경로를⋯
- Set folder = fso.GetFolder(sFolder) 에서 런⋯
- [승인대기]
- 표준 시간은 제주 올레 홈페이지를 참조하시는 것이 좋을듯 하네요. 이 포⋯
- 안녕하세요. 리뷰 감사해요 소요시간이 어떻게 되나요? 저도 가보려고요
- 제주 올레길 / 까미노 데 산티아고 길 을 가봤는데 아직 해파랑 남파⋯
- 아 오르세... 제 가 갔을땐 실내 촬영이 안됬는데 지금은 된다고 하지요⋯
- 법환 포구 빌라 자리엔 원래 각종 맛집들이 있엇는데 말이죠.. 싹 밀어서⋯
- 리눅스의 쉘 환경과 같은 준비를 해주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을듯 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야라바님 초면에 갑작스럽겠지만 제 생명의 은인입니다.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