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야라바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야라바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619)
    • 사는 이야기 (150)
      • 독서 (26)
      • 사람과 자연(自然) (112)
    • 무료 소프트웨어 (131)
      • 시스템 도구 (51)
      • 사용자 도구 (69)
    • 여행 (969)
      • 파리걷기 (153)
      • 제주올레걷기 (90)
      • 지리산둘레길 (38)
      • 마카오 홍콩 걷기 (51)
      • 산티아고 순례길 (117)
      • 뚜르 드 몽블랑 TMB (78)
      • 해외 트레킹 (156)
      • 해파랑길 (201)
    • 프로그래밍 (207)
    • IT 일반 (90)
    • 웹 및 앱 (24)
    • 컴퓨터 팁(Tip) (44)
  • 방명록

위키 (2)
Trac 위키 사용하기

서브버전 에지와 Trac 설치를 통해서 협업 개발 시스템 준비를 했다면 이제는 본격적으로 핵심 도구인 Trac의 사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 첫번째 기능으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키(Wiki)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위키는 여러 사용자가 협업하면서 문서를 작성해 갈 수 있는 아주 효과적인 도구로 위키 백과(http://www.wikipedia.org/)처럼 위키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는 도구들도 있어서 기술적인 배경을 모르는 사람들도 익히 접해 보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들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Trac과 서브버전(Subversion)을 기반으로한 협업 개발 시스템 관련 글을 읽을때 참고할 만한 시스템 설치와 기본 운영에 관련한 글입니다. 이슈 트래커와 형상 관리 도구를 사..

IT 일반 2019. 3. 6. 15:44
협업 개발 시스템 Trac 분석하기

협업 개발 시스템인 Trac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협업 개발 시스템 Trac 수정을 위한 개발 환경 준비하기"를 통해 개발 환경을 준비해야 합니다. 프로그램 분석 과정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바로 프로그램의 시작점을 찾는 것입니다. Trac 프로젝트의 프로그램의 시작점은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trac-admin이고 다른 하나는 웹 인터페이스를 관장하는 tracd 입니다. Trac의 핵심 기능은 웹서버나 tracd를 통해서 플러그인 형태로 제공되는데 관련 정보는 설치 코드 위치의 Trac.egg-info\entry_points.txt에 있으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console_scripts] trac-admin = trac.admin.console:run tracd =..

IT 일반 2018. 12. 27. 15:28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 2022 여름 제주 올레길 걷기 계획
  • 2021-2022 해파랑길 걷기 여행 종합편
  • 해파랑길 50코스 - 대진 1리에서 명파리⋯
  • 해파랑길 49코스 - 초도해변에서 대진1⋯
  • 해파랑길 49코스 - 김일성 별장에서 초⋯
  • 해파랑길 49코스 - 응봉과 화진포 소나⋯
  • 해파랑길 49코스 - 거진항에서 화포리,⋯
  • 해파랑길 48코스 - 송죽리에서 거진항,⋯
  • 해파랑길 48코스 - 동호리에서 송죽리,⋯
  • 해파랑길 48코스 - 가진항에서 동호리⋯
최근에 달린 댓글
  • 모노(mono) 환경에서 C# 프로그래밍을⋯
  • 고맙습니다.
  • 잘보고가요
  • Set-ExecutionPolicy를 수행하고 Get해⋯
  • 감사합니다.
  • 도구>환경설정에서 [기본설정]을 선택하⋯
  • 안녕하세요. 최근에 프리마인드 깔아서⋯
  • dnspy 추천 감사합니다. 평소 Reversin⋯
  • dotpeek?? 은 캐쉬 때문에 재부팅 전까⋯
  • 즐거운 걷기 되세요
«   2022/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22/07 (40)
  • 2022/06 (24)
  • 2022/05 (12)
  • 2022/04 (17)
  • 2022/03 (24)
  • 2022/02 (5)
  • 2022/01 (31)
  • 2021/12 (38)
  • 2021/11 (19)
  • 2021/10 (2)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