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드 모양의 고흥반도를 돌아가는 길 65코스는 독대마을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독대 마을을 나오면 논길을 가로질러 화덕마을에 이른다. 화덕 마을을 지나면 송곳산 자락을 돌아가는 포장길을 걷는다. 숲 속 포장길로 가끔씩 차가 다니기는 하지만 거의 임도에 가깝다. 숲길을 벗어나면 자연 해변이 나오는데 범벅골이라는 계곡이 있는 곳이다. 64코스에 이어서 걷는 65코스는 독대마을 회관 앞 정자에 앉아 넉넉한 휴식 시간을 가진 후 이어간다. 커다란 나무가 그늘을 만들어 주는 정자에 앉아서 쉬며 마을 분위기를 둘러본다. 이곳이 마을의 중심지인 모양이다. 바로 옆 매점을 오가는 사람들, 독대 회관으로 들어가는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끊이지 않는다. 독대 마을 버스정류장 쪽으로 도로를 따라 이동하며 마을을 ..
장동마을을 지난 남파랑길 64코스는 오도 1,2 방조제를 지나면서 외호마을을 거친다. 이후로는 월악산과 옥녀봉 아랫자락에 자리한 슬항마을과 연등마을을 지나 옥녀봉 아랫자락의 숲길을 통과하여 독대마을에서 여정을 마무리한다. 도새비골의 두릅농장을 지나온 길은 장동 마을의 저수지를 지나 해안으로 나간다. 장동의 장이 휘장 장(帳) 자를 쓰는데 초기에 이곳에 정착한 분들이 집을 짓지 못하고 천막을 치고 살았다고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들길에 탐스럽게 핀 아까시 꽃이 지기 시작하는 모습을 보니 이곳은 5월 중순에 봄의 정절을 지나 여름을 향하는 모양이다 하는 생각도 든다. 장동 마을을 벗어나면 구불구불 이어진 농로를 따라서 해안으로 나간다. 모내기가 끝난 논들은 마치 거울처럼 하늘과 주변 산들을 비추고 있다. 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