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는 사람의 두뇌에 해당하는 것으로 컴퓨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위의 그림은 국내에서 퍼스널 컴퓨터 붐이 처음 일어날 당시 주로 장착되던 Z80 CPU의 아키텍처입니다. 1976년에 등장 했을 정도로 오래된 CPU이지만 이 칩을 제조하기 위해서 라이선스를 받은 회사가 한둘이 아닐 정도로 인기가 있었기 때문에 CPU를 공부하기 위한 참고 자료로 주목할만 합니다. CPU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어 장치(CU, Control Unit) : 메모리에서 명령을 받아 해독과(Decode) 실행을 지시하는 핵심 요소입니다.연산 장치(ALU, Arithmetic Logic Unit) : 제어 장치의 지시에 따라 산술, 논리..
컴퓨터 메모리에 2진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를 문자를 비롯한 다양한 코드값으로 인식할 수도 있지만("코드와 데이터 표현 - 정보처리 필기 해설 7" 참조) 값 자체를 수치로 인식할 수도 있습니다. 이와같이 컴퓨터 메모리를 가지고 수치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소수점 위치의 고정 여부에 따라 고정 소수점(Fixed point) 표현과 부동(浮動) 소수점 또는 유동(流動) 소수점(Floating point) 표현으로 나뉘고 고정 소수점 표현의 경우에는 2진 표현 방식과 10진 표현 방식으로 나뉩니다. 물론 표현에 사용하는 저장소의 크기에 따라 표현 가능한 수치의 범위도 달라집니다. ■ 고정 소수점(Fixed point) 표현 컴퓨터 내부에서 정수 표현에 사용하는 것으로 부동 소수점에 비해 연산 속도가 빠르고..
논리식은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해설 1 - 논리게이트"와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해설 2 - 부울 대수"를 통해서 살펴 본것 처럼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회로나 주어진 게이트가 없는 상태에서도 입력과 출력이 주어진다면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 최적화된 논리식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입력과 출력은 우선 진리표로 표현합니다. Input Output A B Y 0 0 1 0 1 0 1 0 0 1 1 1 진리표의 각 입력 상태를 0이면 A', 1이면 A처럼 표시해서 두입력을 논리곱으로 표현한 것을 최소항이라 합니다. 진리표의 각 입력 상태를 0이면 A, 1이면 A'처럼 표시해서 두입력을 논리합으로 표현한 것을 최대항이라합니다. Input Output 최소항 최대항 A B Y 0 0 1 A'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