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랑길 48코스는 변산 해수욕장을 떠나 부안 읍내 방향으로 향한다. 변산로 도로를 따라가다가 대항리패총 유적지가 있는 대항마을을 거쳐서 해안길을 따라 합구마을에 이른다. 원래는 합구마을 이후로 해안길을 거쳐 새만금홍보관을 지나지만 지금은 새만금 챌린지테마파크 공사로 길을 막아놓아서 변산로 도로를 따라 묵정마을까지 가야 했다. 도로변 걷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느끼는 구간이다. 이후로도 계속 도로를 따라 이동하여 소광교차로에서 국도 아래를 통과하고 다시 비득마을에서 국도 아래를 지난다. 도로를 따라 걷는 길은 다시 국도 아래를 통과하여 백련마을에 이르고 부안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속으로 들어가서 산업단지 끝자락에서 여정을 마무리한다. 변산해수욕장 끝자락에 있는 언덕 위에 있는 공원에서 48코스를 시작한다...
고사포 해수욕장에 이른 서해랑길은 변산반도 국립공원 지역을 걷는 것도 얼마 남지 않았다, 고사포 해수욕장의 솔숲길을 걸어 해수욕장 끝자락에 이르면 운산리의 펜션 단지를 가로질러 해안선을 걸으며 북동쪽으로 이동한다. 송포항을 지난 길은 변산 해수욕장을 가로질러 해변 끝자락 언덕 위에 있는 사랑의 낙조 공원에서 코스를 마무리한다. 바닥에 떨어진 솔잎을 밟으며 고사포 해수욕장의 솔숲길을 걸어 해수욕장 끝자락으로 이동한다. 이곳을 방문하신 분들은 바닷물에 몸을 담그는 해수욕 준비보다는 호미와 장화를 장착하고 바다로 나갈 준비에 여념이 없으시다. 솔숲길은 해변 안쪽으로 약 8백여 미터 이어진다. 쾌청한 하늘에서 쏟아지는 햇살과 선선한 바람이 공존하는 봄 날씨 속에서 고사포 해변은 장화를 신고 손에는 호미를 들고 ..
적벽강을 지나 해안선을 따라서 변산반도 국립공원 지역을 걷고 있는 서해랑길 47코스는 북동 방향으로 이동하며 수리봉과 산발이봉 아랫자락의 숲길을 걷는다. 그 옛날 해안 초소길이 있던 자리가 멋있는 해안 산책길로 바뀐 곳이다. 숲길을 벗어나면 성천항을 지나서 고사포해수욕장에 이른다. 변산해변로 도로를 따라서 올라온 길은 수리봉(125m) 아랫자락의 반월마을 인근까지 올라왔다. 바다로는 바로 앞으로 하섬이 시야에 들어오고 내륙으로는 반월마을 너머로 내변산의 봉우리들이 바다처럼 보이는 곳이다. 청명한 하늘과 푸른 바다, 해안 절벽길을 감상하면서 변산해변로 길을 이어간다. 하섬이 좀 더 가깝게 보이는 수리봉 아랫자락에 이르면 도로를 벗어나 해안 산책로로 들어간다. 변산해변로 도로 아래에서 오르락내리락하는 해안 ..
격포항부터 변산 해수욕장까지 변산반도 국립공원 해변을 걷는 서해랑길 47코스는 발걸음을 옮기는 곳마다 절경이 이어진다. 격포항을 출발하면 닭이봉 자락을 넘어서 채석강과 격포해수욕장의 풍경을 감상한다. 해안길을 따라 리조트 지역을 지나면 적벽강에 닿고 적벽강과 유채꽃밭을 지나면 변산해변로 도로를 따라서 북동방향으로 이동한다. 어제는 하루종일 흐리다가 저녁에 비가 시원하게 쏟아졌는데 오늘은 쾌청한 하늘로 하루를 시작한다. 격포항 끝자락에서 방파제길을 따라 여정을 시작한다. 방파제길 도로를 따라서 채석강 주차장 쪽으로 향하던 길은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 석상을 지나 닭이봉 산 아랫 자락으로 이어진 산책로로 진입한다. 해안으로 나가는 길이 변산반도 국립공원 지역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표지석을 통해 알게 된다. 해..
변산반도 서쪽 해안선을 따라 올라가고 있는 서해랑길은 언포 해수욕장을 지나서 상록해수욕장에 이른다. 상록해수욕장 이후로 작은 고개를 하나 넘으면 궁항에 닿는다. 궁항을 지나면 봉화봉 자락의 임도를 넘어가야 하는데 1백여 미터 고도의 고갯길이다. 이 길은 지나면서 궁항전라좌수영 세트장도 거쳐 간다. 임도를 내려가면 바로 격포항이고 격포항 끝자락에서 코스를 마무리한다.언포에서 상록해수욕장으로 넘어가는 작은 야산의 산책길은 그 옛날 군인들의 해안 초소길을 따라간다. 언젠가 이 땅에 이념문제로 나라와 사회가 갈라지는 일이 종식될까? 하는 막연한 생각을 해본다. 통일이 되면 될까? 지금의 MZ 세대가 할머니, 할아버지가 되면 될까? 매년 엄청난 물량의 폐타이어가 발생하는데 그 타이어로 벽을 만드는 작업은 그나마..
변산반도의 서쪽 끝자락을 걷는 서해랑길 46코스는 아름다운 해안선과 함께하는 길이다. 변산로 도로를 따라서 모항을 출발하면 연덕을 지나서 산림청연수원 방향으로 해안선을 따라 들어간다. 해안 절벽길을 따라 이어지는 데크길과 숲길을 차례로 걸어서 전북학생해양수련원을 통과한다. 해양수련원 앞의 모래 해변과 작은 숲길을 통과하면 언포해수욕장에 닿는다. 모항 해수욕장을 출발하는 46코스는 오르막 언덕을 넘는 것으로 시작한다. 언덕길에서 모항마을을 내려다본다. 나름 깔끔한 휴양지로 찜해놓는다. 도로를 따라 오르는 언덕길에서 오늘의 목적지인 격포가 등장했다. 도로를 따라 걷던 길은 작은 암봉이 정면으로 보이는 곳에서 도로를 벗어나 산림청연수원 방향으로 이동한다. 변산반도 국립공원 지역이라 그런지 작은 암봉들도 멋지다..
변산반도의 해안선을 따라서 국립변산자연휴양림에 도착한 서해랑길은 옛 해안초소길을 따라 이어진 숲길을 걸어서 모항갯벌체험장에 이르고 모항 주위를 한 바퀴 돌아서 모항해수욕장에서 코스를 마무리한다. 휴양림으로 들어오니 곳곳으로 관리된 조경이 확실히 차이가 난다. 작은 습지에도 그에 알맞은 식물을 심어 놓았다. 노랑꽃창포라는 유럽이 원산지인 식물이다. 잎사귀는 물 웅덩이에서 보던 우리네 창포와 닮았지만 창포물에 머리 감던 그 창포는 아니다. 그래도 숲과 갯벌의 단조로운 색상만 보다가 밝은 노란색을 보니 눈이 확 떠진다. 길은 휴양림 앞 해변을 가로질러 건너편 산으로 올라간다. 깔끔하게 지어진 숙소들 옆을 지나는 길이다. 가족단위로 차를 가지고 오면 독채 숙소 옆에 세우고 좋은 바다 전망을 보며 쉬어가기 좋겠다..
왕포마을에 도착한 서해랑길은 계속 이어서 해안길을 걷는다. 마을을 빠져나가며 청자로 도로로 나갔다가 작당마을로 들어가며 마을길로 나왔다가 마을을 빠져나가며 다시 청자로 도로로 나간다. 이후로는 해안 산책길을 따라 국립변산자연휴양림에 닿는다. 곰소항을 떠나서 옛날에는 그렇게 고기가 많이 잡혔다는 왕포마을로 들어간다. 독특한 화풍의 벽화가 인상적인 마을이다. 낚시꾼의 그림을 보니 이 동네로 어떤 연예인이 낚시를 자주 온다는 이야기가 떠오른다. 옛 명성은 없지만 깔끔한 해안 풍경을 가지고 있는 마을이다. 왕포마을을 빠져나가는 길에는 물고기 조형물과 함께 양식장으로 사용했던 공간으로 보이는 장소를 지난다. 어선이 양식장 안쪽에 들어와 있는 것을 보면 둑을 개방한 모양인데 자세한 사정은 모를 일이다. 갯벌에서 노..
젓갈 가게가 즐비한 곰소항을 떠나면 처음에는 청자로 도로를 따라서 걷다가 곰소초등학교를 지나서 작도마을에서 해안으로 나가서 해안 제방길을 걷는다. 제방길을 걷다가 관선마을 인근에서 다시 청자로 도로로 나오지만 이내 해안 제방길로 다시 들어가 왕포마을에 닿는다. 5월 중순에 다시 돌아온 곰소항은 봄의 절정을 넘어서 초여름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날이 흐려서 비를 맞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있지만 구름이 해를 가려 주어서 걷기에는 좋은 날씨가 되지 않을까 싶다. 흰색과 노란색이 마치 계란 프라이처럼 생겨서 계란꽃이라는 별칭을 가진 샤스타데이지가 화사하게 우리를 맞아준다. 물이 빠진 이른 아침의 곰소항 풍경은 흐린 하늘 아래로 쓸쓸함 느낌이다. 지난번 곰소항에 도착하면서 만난 곰소항의 풀치 건조 풍경은 다시 보..
고창군 흥덕면 사포마을을 출발한 서해랑길은 후포마을과 목우마을의 농로를 끝으로 고창군을 뒤로하고 부안군 줄포면 우포리로 넘어간다. 줄포만 노을빛 정원 앞의 해안 방조제길을 따라 계속 이동한다. 도보 여행자를 위한 인도가 잘 마련된 길이다. 호암마을과 구진마을을 지나면 곰소염전에 닿고 곰소항에서 여정을 마무리한다. 고창군 흥덕면에서 시작하는 서해랑길 44코스 안내판에는 벌써 부안 44 코스로 소개하며 부안군의 로고가 등장했다. 지난번 여행과 이번 여행을 통하여 고창군에 대한 새로운 만남과 인식이 있었다는 것은 나름 큰 수확이었다. 길은 사포마을을 떠나 북쪽 후포마을로 향한다. 동학 농민 혁명군 진격로라는 표식이 있는데 호포마을까지는 그 당시의 농민 혁명군이 갔던 길을 함께한다. 땡볕이 내리쬐는 날씨에 들판..
소요산 고개를 넘어온 길은 평탄한 들길과 고창군 부안면의 북쪽 해안선을 걸어서 고창군의 북쪽 끝자락인 흥덕면으로 넘어간다. 미당서정주생가가 있는 선운리를 지나면 들길로 나가 북쪽으로 이동하여 반월마을에 이른다. 북쪽 해안선을 돌아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상포마을을 지난다. 해안으로 수많은 양식장들이 즐비한 곳이다. 해안선을 따라 걷던 길은 갈곡천 하구를 지나 김소희 생가를 거쳐 사포마을에서 코스를 마무리한다. 고창 소요산에서 내려와 선운제 저수지를 지나고 있는 길은 멀리 서쪽 해안선을 보면서 마을로 내려간다. 질마재로 도로를 따라 내려가던 길은 좌회전하여 마을길을 통해서 서쪽으로 내려간다. 미당 서정주 생가 쪽으로 내려가는 마을길, 마을 정자에 그늘을 만들어 주고 있는 커다란 나무가 마을의 역사를 말해주는..
선운산 입구에서 시작하는 43코스는 선운천을 따라서 계곡을 빠져나온다. 고창읍내에서 흘러 내려오는 주진천을 건너면서 고창군 아산면에서 부안면으로 넘어간다. 소요산 자락의 완만한 고갯길을 임도로 넘어가야 하는데 연기제 저수지를 돌아가는 길이다. 42코스에 이어서 서해랑길 고창 43코스 걷기를 시작한다. 다양한 조형물이 서 있는 선운산 도립공원 입구를 출발한다. 선운산 일대는 생물권 보전 지역이기도 하고 국가 지질 공원이기도 하다. 주차장 옆에 지질 공원 관련 조형물을 세워 놓았는데 낙조대, 천마봉, 용문굴 등 서해랑길 42코스에서 지나왔던 암석 지대가 지질공원의 주요 포인트이다. 선운산 입구를 벗어난 길은 공원길을 걷다가 선운사로 도로를 따라 조성한 인도를 걸어서 계곡을 빠져나간다. 삼인리라는 명칭은 4..
낙조대를 지난 길은 도솔암을 거쳐 하산길에 접어든다. 완만한 내리막길로 계곡물을 옆으로 두고 아름드리나무들이 만들어 주는 환상적인 숲길을 걸어 내려간다. 나무가 주인공인 길이다. 계곡 산책로는 선운사 옆을 거쳐서 선운산 입구에 이른다. 천상봉(295m)을 지나 능선을 걸어온 길은 낙조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가파른 계단길을 보니 어후! 하는 긴 한숨이 절로 나온다. 그래도 계단이 없었다면 험한 바위 길을 올라갔어야 했었을 텐데 하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계단을 오르기 시작한다. 계단길 좌우로도 나무가 우거져서 여전히 숲길을 걷는 느낌이다. 계단을 오르고 나면 봉우리 아래에서 보았던 바위를 제대로 만난다. 산 아래로 탁 트인 경관도 한눈에 들어온다. 선운산 산행길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낙조대에 (335m) ..
서해랑길 42코스는 선운산 자락의 산을 넘어가는 산행코스이다. 개이빨산과 소리재를 넘어서 천마봉 인근의 낙조대까지 가는데 견치산이 347 미터 정도인데 위의 그림처럼 완만한 오르막이라 천천히 오르다 보면 산 능선길에 이른다. 설악산과 같은 큰 산은 아니어도 그것들에 견줄만한 아름다움을 가진 산이다. 정읍에서 흥덕을 거쳐서 심원면 신기마을에서 버스를 내린 우리는 바로 서해랑길 42코스를 시작한다. 4월 중순에 이곳을 지나며 봄기운을 만끽했던 지난 여행 이후 2주가 지나니 벌써 4월 말이다. 쾌청한 하늘 아래 선운산을 넘어가는 여정을 시작한다. 심원로 도로를 따라서 이동하던 길은 심원초등학교 앞을 지나서 연화교 다리를 건너기 전에 우회전하여 월산천 하천을 따라 올라간다. 학교 입구에 "참, 힘, 꿈"이라는 ..
해리천을 건너면서 고창군 해리면에서 심원면으로 넘어온 길은 곰소만 안쪽을 향하여 동쪽으로 이동한다. 서해안바람공원에 있는 작은 언덕과 같은 계명산에서 주위 풍경을 감상하고 내려오면 만돌리의 해안 둑방길을 따라 심원면 읍내로 향한다. 갯벌 풍경과 함께하는 길로 가는 길에 람사르고창갯벌센터도 지난다. 제방에 마련된 산책길을 걷고 있는데 방송에서만 보던 갯벌로 사람을 실어 나르는 트랙터의 그림을 본다. 갯벌 체험을 위해 사람들이 모인다는 것 자체가 신기하기도 하다. 서해안바람공원에 도착했다. 유네스코 세계 자연 유산에 등재된 고창 갯벌 전망대도 있다. 우리가 지나온 해리면, 그리고 앞으로 지나갈 심원면과 부안면의 갯벌이 대상이다.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여러 가지 조형물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뜬금없이 큰 닭이 ..